01 직무탐색과 결정 3
1. 인사담당자의 첫 번째 질문은 지원직무이다. 4
2. 하고 싶고,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것부터 확인하라. 6
3. 자신에게 확신이 서야 성공취업이 가능하다. 8
02 자기탐색과 이해 11
4. 성공한 선배들은 이미 성공할 수밖에 없었다. 12
5. 나를 이해하는 것이 성공취업이다. 14
6. SWOT 정확하게 분석하고 활용하라. 16
7. 내가 적성에 맞는지를 확인하라. 19
8. 인턴, 현장실습은 적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21
03 비전이해와 설계 24
9. 학업과정과 학습내용이 최고의 스토리이다. 25
10. 지금의 계획과 활동이 비전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27
11. 직업적 추구가치가 비전이다. 30
12. 자신의 진로감정을 정리해 보라. 32
13. 비전과 목표를 명함에 담아 알려라. 34
04 성공취업 출발 37
14. 자신의 인생에 부여된 소명이 직업이다. 38
15. 노력과 열정의 흔적은 면접과정에서 나타난다. 40
16. 인재상의 핵심 메시지를 이해하라. 41
17. 성공취업, 중요한 것부터 먼저 하라. 43
18. 왜 진로를 정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라. 47
19. 진로고민 중이면 취업상담센터의 문을 열어라. 49
20. 실행하는 것이 계획이고 목표이다. 52
01 역량인식과 개발 57
21. 학점, 어학, 자격은 도전의 용기와 자신감을 촉구한다. 58
22. 전공/복수전공은 도전의 방향과 가능성을 펼쳐준다. 60
23. 전공은 지원 서류 분류의 1순위 기준이다. 63
24. 전공의 확장가능성을 실무자를 만나 확인하라. 64
02 역량내용과 평가 66
25. 직무수행 지식은 전공과 학습내용으로 평가한다. 67
26. 과제수행스킬로서 직무역량이 평가된다. 68
27. 합격의 결정적 요소는 태도이다. 70
28. 진정한 스펙은 4가지의 필요조건을 요구한다. 72
29. 스펙을 연결하는 스킬을 학습하라. 74
30. 블라인드 채용, 새로운 기회가 아니다. 76
31. 차별적 실행 스토리로서 블라인드 장벽을 넘어라. 78
03 조직역량 이해 81
32. 조직의 상사는 조직역량을 우선한다. 82
33. 중소기업 정규직 인턴으로 조직역량을 개발하라. 84
34. 기업분석 없이는 인․적성 검사 통과 쉽지 않다. 86
35. 아르바이트도 경력이고 역량이다. 90
04 역량개발 방향 92
36. 취업역량은 차별화 역량이다. 93
37. 역량개발의 로드맵을 그려라. 95
38. 역량개발을 위한 실천계획은 SMART해야 한다. 97
01 직무이해와 결정 105
39. 직무탐색은 직업을 탐색하는 것이 아니다. 106
40. 직무는 직업의 원천인 것이다. 109
41. 직무결정은 자기 자신의 정립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111
42. 직무탐색에 앞서 비즈니스 시스템을 이해하라. 112
02 직무탐색 방법 115
43. 직무탐색의 과정이 대학생활이다. 116
44. 직무탐색은 4차원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119
45. 직무탐색, 공부하듯이 해야 한다. 120
46. 생산제품과 개발계획을 전시장에서 확인하라. 122
47. 전시장 탐방소감이 면접합격을 통보한다. 124
48. 취업포털사이트, 가장 손쉬운 직무탐색 정보源이다. 125
03 직무탐색 계획 127
49. 직무탐색을 위한 활동계획을 수립하라. 128
50. 직무탐색은 직무역량개발을 위함이다. 130
51. 신문, 직무역량을 배가시켜주는 확실한 참고서이다. 132
52. 실무부서의 장이 채용여부를 결정한다. 134
53. 실무자와의 면담도 전략적으로 준비하라. 136
01 기업분석 필요성 141
54. 똑똑해 보이고 싶다면 기업을 분석하라. 142
55. 인사담당자는 기업분석을 했는지를 안다. 144
56. 기업분석 없는 입사지원은 반드시 실패한다. 145
02 기업분석 항목 148
57. 기업분석의 제1항목은 조직문화이다. 150
58. 직무분석이 입사지원서의 매력을 만든다. 152
59. 채용공고분석은 최소한의 기업분석이다. 154
60. 채용공고분석은 중점사업탐색과 병행되어야 효과적이다. 155
61. 과거와 현재의 채용공고 내용을 비교해 보라. 157
03 조직문화 이해 160
62. 기업문화는 조직구성원의 개성이다. 161
63. 기업문화는 7S요소의 특성종합이다. 162
64. 조직문화의 총체적 이미지를 도출하라. 164
04 조직문화 해석 166
65. 경쟁가치모형으로 조직문화를 이해하라. 167
66. 조직문화 분석과 함께 자기 자신도 분석하라. 169
67. 조직문화 유형과 자기성향 유형을 비교해보라. 171
68. 재무지표분석은 성과배경을 탐색하는 과정이다. 173
01 지원서 작성의 목적 179
69.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모두 제출하게 하는 이유가 있다. 180
70. 통(通)하게 작성하는 것이 목표임을 명심하라. 181
71.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는 ‘이것을 질문하라’는 메뉴표이다. 182
72. 지원서의 첫 인상은 읽는 사람이 결정한다. 184
73. 서류전형 합격통보는 면접초대장이다. 185
02 이력서 작성의 핵심 188
74. 이력서에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라. 189
75. 이력서를 전략적으로 작성하라. 190
76. 질문을 유도하는 것은 이력내용만이 아니다. 192
03 자기소개서 작성의 핵심 195
77. 당신은 이미 무궁무진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196
78. 방학은 스토리를 만드는 기간이다. 198
79. 자기소개서의 질문(항목) 전략적 시각으로 이해하라. 201
80. 자기소개서에도 정답이 있다. 203
81. 가독성과 구체성이 자기소개서의 매력 포인트이다. 206
82. 3줄 넘어간 문장은 읽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이다. 208
83. 멋진 은유적 소제목으로 소설을 쓰지 마라. 209
84. 이렇게 하면 최소한은 通한다. 211
01 면접대응 기본인식 217
85. 면접관은 조직인으로서의 매력을 보고자 한다. 218
86. 면접관은 재치와 순발력을 평가하지 않는다. 219
87. 면접은 자신의 시나리오를 연출하는 무대이다. 221
88. 면접관은 지원서류를 보고 질문한다. 222
02 단계별 면접전략 225
89. 면접유형에 따라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226
90. 나만의 답변으로 빈출질문을 준비하라. 228
91. 압박면접은 본인이 느낀 것이다. 231
92. 영어면접, ‘영어를 면접’하는 것이 아니다. 233
03 면접차별화 포인트 235
93. 3차원의 차별화 전략이 성공의 핵심이다. 236
94. 첫인상도 연출할 수 있다. 237
95. 마지막 한 마디가 합격을 결정한다. 239
04 면접자신감 강화 242
96. 자신감은 스스로 믿기 때문에 생긴 능력이다. 243
97. 열정은 오버하는 액션이 아니다. 245
98. 사소한 부주의가 준비한 자신감을 망친다. 247
99. 주도적인 준비로 면접들러리를 탈피하라. 248
100. 면접은 어렵지 않다. 자신감을 가져라.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