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아빠와 수염 고릴라 그리고 나 2

아빠와 수염 고릴라 그리고 나 2

  • 코이케 사다지
  • |
  • 대원씨아이
  • |
  • 2017-12-26 출간
  • |
  • 118페이지
  • |
  • 148 X 211 X 18 mm /202g
  • |
  • ISBN 9791133466948
판매가

7,000원

즉시할인가

6,3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3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 서문(序文)

제1부 여주이씨(驪州李氏) 연원(淵源)에 대한 자료
제1장 우리나라 성씨(姓氏)의 보급과 본관(本貫)
 1. 성씨(姓氏)의 보급
 2. 관향(貫鄕)의 생성(生成)
제2장 여주이씨 시조산(始祖山)의 존재
 1. 여주향교(驪州鄕校) 앞산 소재설
 2. 추읍산(鄒邑山) 기슭 무시곡(無時谷) 소재설
 3. 여주읍 서쪽 천녕폐현(川寧廢縣) 소재설
제3장 여주이씨의 세 갈래 시조
제4장 여주이씨의 귀화 성씨설
제5장 실증(實證)이 안 되는 몇 가지 보서(譜書)
제6장 여주 지방 약사

제2부 우리 선세(先世)의 개경(開京) 시대
제1장 우리 가문 상대(上代)의 변천 과정
제2장 대몽항쟁기(對蒙抗爭期)와 중랑장공(中郞將公)의 생애
 1. 개경(開京) 진출과 금오위(金吾衛)의 사환(仕宦)
 2. 몽고의 침략과 강도(江都) 생활
 3.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의 기록과 세 아들
제3장 정당문학공(政堂文學公)과 그 시대
 1. 출생과 과환(科宦)
 2. 원나라 지배하의 관록(官祿)
제4장 학사공(學士公)의 관직과 그 사회
제5장 사인공(舍人公) 시대의 사회상과 그 지행(志行)
제6장 목사공(牧使公)과 홍건적(紅巾賊)의 전란
 1. 결혼과 정치관(整治官)의 활동
 2. 충주목사(忠州牧使)와 그 최후
제7장 기우자(騎牛子)선생의 생애와 풍절(風節)
 1. 출생과 유년 시절
 2. 취학(就學)과 결혼
 3. 문과 급제와 신진사관(新進史官)
 4. 평해 낙향(落鄕)과 기우유상(騎牛遊賞)
 5. 복직(復職)과 두 번째 낙향
 6. 탐라선유사(耽羅宣諭使)와 간관(諫官) 활동
 7. 왕명(王命)의 출납과 기울어진 국운(國運)
 8. 신왕조(新王朝)의 수립과 강음(江陰)의 하야(下野)
 9. 사초(史草) 사건과 울진(蔚珍) 유배
 10. 월송정(越松亭)에서의 자정(自靖)
 11. 지속적인 출사 불응과 명나라 사행(使行)
 12. 한양(漢陽) 이사 후 누차의 관직 천망(薦望)
 13. 후진 교육과 강산의 주유(周遊)
 14. 한양과 강음 사이 왕래와 민정(民政)의 협조
 15. 왕실과의 통혼(通婚)과 세종의 지우(知遇)
 16. 서세(逝世)와 영원한 의표(儀表)

제3부 한양에서의 우리 가문
제1장 가문의 개요
제2장 제학공(提學公)의 출조(出朝)와 사상
 1. 성장 배경과 국자감시(國子監試)의 장원(壯元)
 2. 문과 급제와 신왕조의 진출
 3. 어머니의 거상(居喪)과 기복(起復)
 4. 불가(佛家)의 교류와 고승(高僧)의 평시(評詩)
 5. 은퇴와 조용한 귀천
제3장 부훤당공(負暄堂公)의 파란만장한 관료 생활
 1. 문과 2등 급제와 형제명환(兄弟名宦)
 2. 선공(先公)의 가르침과 농상(農桑)의 장려
 3. 폐세자(廢世子)의 논의와 상왕(上王)의 신임
 4. 자부(姉夫)의 구명 운동과 강서(江西) 생활
 5. 함길도(咸吉道) 유배와 특사(特赦)의 은전
제4장 여천군(驪川君)의 생애와 그 공훈(功勳)
 1. 소년기의 학업과 무과(武科) 급제
 2. 계유정난(癸酉靖難)의 참여와 공신군호(功臣君號)
 3. 정경(正卿)의 승진과 봉조하(奉朝賀)의 은전
제5장 돈녕공(敦寧公)의 왕실 혼인과 벼슬
 1. 할아버지의 무육(撫育)과 청소년 시절
 2. 세종의 명으로 이루어진 혼사와 관직
 3. 류방선(柳方善) 문하의 수학(修學)
 4. 승중상(承重喪)과 복직 및 별세
제6장 재령군주(載寧郡主)의 생애와 부도(婦道)
 1. 어린 시절의 고난과 조모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보살핌
 2. 출가 후 삼종지도(三從之道)의 실천
 3. 사패지(賜牌地)의 유택(幽宅)과 내외 자손
제7장 중화공(中和公) 형제와 그 자질(子姪)
 1. 중화공(中和公) 내외분의 평온한 금슬(琴瑟)
 2. 포천공(抱川公) 증약(曾若) 내외분과 그 묘소
 3. 침류당공(枕流堂公)의 풍류와 교우(交友)
 4. 별좌공(別坐公) 사연(師衍)과 첨사공(僉使公) 보(?) 부자
 5. 직장공(直長公) 사진(師鎭)과 그 자손의 출계(出系)
 6. 포천공(抱川公) 아랫대의 낙향과 세거(世居)
 7. 충순위공(忠順衛公)의 밀양 입향(入鄕)

제4부 밀양 입향(入鄕) 후 문벌(門閥)의 형성
제1장 문벌 형성의 토대
제2장 진사공(進士公)의 가업(家業)과 염퇴(恬退)
 1. 결혼과 사마시(司馬試)의 합격
 2. 낙남(落南) 후의 통혼(通婚)과 향선생(鄕先生) 추존
제3장 월연공(月淵公)의 깨끗한 풍표(風標)와 생애
 1. 출사(出仕)와 청직한 사관(史官) 활동
 2.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예견과 귀향(歸鄕)
 3. 월연정(月淵亭)의 창건과 필한(筆翰)의 취미
 4. 후산시풍(后山詩風)과 명류(名流)와의 시교(詩交)
 5. 출처(出處)의 고민과 권신(權臣)에 대한 혐오
 6. 월연에서의 자적(自適)과 그 신후(身後)
제4장 생원공(生員公)의 재망(才望)과 조세(早世)
 1. 뛰어난 재사(才思)와 별시직부(別試直赴)
 2. 김하서(金河西)와의 우정과 안타까운 하세(下世)
제5장 금시당공(今是堂公)의 벼슬과 금시(今是)의 깨달음
 1. 태학(太學) 시절과 유생(儒生) 활동
 2. 대과(大科) 급제와 한림원(翰林苑)의 활동
 3. 목민관(牧民官)의 체험과 출처(出處)의 고민
 4. 이단(異端)의 배척과 왕권의 옹위
 5. 사유(師儒)의 간택과 은대(銀臺)의 충언
 6. 귀향의 결심과 용호(龍湖) 위의 장수(藏修)
제6장 제헌공(霽軒公)의 지상(志尙)과 선업(先業)의 수호
 1. 과거 공부와 주지(州誌)에 실린 소담(笑談)
 2. 깨끗한 행의(行義)와 담박한 수양
제7장 증참의공(贈參議公)의 분거(分居)와 치가(治家)

제5부 각 파 자손들의 세거(世居)와 인물
제1장 밀양 사파(四派)의 성립과 임진왜란
제2장 용성구장(龍城舊莊)을 지켜온 진사공(進士公) 자손들
 1. 승벌(僧伐)과 사인당(舍人堂) 마을 이름
 2. 진사공(進士公) 경승(慶承)과 임진왜란 창의(倡義)
 3. 선교랑(宣敎郞) 래()의 결혼과 배위의 유한(遺恨)
 4. 처사공(處士公) 장윤(長胤)의 승종(承宗)
 5. 사과공(司果公) 만용(萬容)의 자손들
 6. 처사공(處士公) 만성(萬宬)과 자손들
 7. 처사공 만최(萬?)와 그 자손들
 8. 용성처사(龍城處士) 만시(萬蒔)와 그 자손들
 9. 자유헌공(自濡軒公) 만백(萬白)과 그 자손들
제3장 백곡(栢谷)의 선업을 가꿔온 근재공(謹齋公) 자손들
 1. 아름다운 별서의 수호와 자손들의 복거(卜居)
 2. 근재공(謹齋公)의 생애와 학행
 3. 통덕랑(通德郞) 옹(?)과 향사림(鄕士林) 활동
 4. 선교랑(宣敎郞) 창윤(昌胤)과 그 배위
 5. 백곡공(栢谷公)과 그 자손들
제4장 월연(月淵)의 청풍을 기려온 겸재공(謙齋公) 후예들
 1. 교위공(校尉公)과 내금공(內禁公) 경청(慶淸) 형제
 2. 겸재공(謙齋公)의 생애와 불행한 최후
 3. 전화(戰禍)를 딛고 일어선 증참의공(贈參議公)의 가업(家業)
 4. 병자호란 때 의기(義氣)를 떨친 번수공(樊?公)
 5. 증참판공(贈參判公) 만형(萬亨) 형제와 환고(還故)의 염원
 6. 월암공(月庵公)의 합경(合慶)과 그 자손
 7. 월연공 손자 경옥(慶沃)의 출계 사실 오류와 그 시정
 8. 첨헌공(?軒公) 만전(萬全)의 출세와 그 아들
 9. 무중군자(武中君子) 오호공(午湖公)의 건절(建節)과 자손
 10. 처사공 장신(長新)의 분파(分派)
 11. 묵헌공(?軒公)의 행검(行檢)과 그 자손
제5장 무리실(茂李谷) 전통을 이어온 창암공(滄菴公) 자손들
 1. 무리실(茂李谷)마을과 여주이씨 복거(卜居)의 내력
 2. 창암공(滄菴公)의 청직(淸直)한 생애와 시혜(施惠)
 3. 증정부인(贈貞夫人) 풍산류씨(豊山柳氏)의 규범(閨範)
 4. 매원공(梅園公)의 제가(齊家)과 그 후손
 5. 국창공(菊?公)의 인술(仁術)과 사환 및 자손
 6. 물헌공(勿軒公)의 문행(文行)과 그 자손
 7. 호우공(湖憂公)의 학행(學行)과 그 후손

■ 색인(索引)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