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서의 구성 및 내용
★ 최신판례문제
- 7년간 최신판례(2011년-2017년) 수록
- 2017년 대법원 최신판례 반영(12월 1일 판례공보까지)
- 2017년 헌법재판소 최신결정례 반영
- 출제되지 않은 판례 및 출제예상 판례 수록
★ 최신기출문제
- 2017년도 시행 경찰·해경·검찰·법원직, 변호사·법원행시 등 최신기출수록
- 최근 14년간 경찰시험(일반경찰, 경찰간부, 경찰승진, 형사법능력평가) 기출문제 수록
- 최근 14년간 국가직(검찰·마약수사·철도경찰직 등) 7급·9급 핵심기출반영
- 최근 14년간 법원직(법원9급, 법원승진, 법원행시) 핵심기출반영
- 최근 8년간 해양경찰시험(해경채용, 해경간부, 해경승진) 기출문제 수록
- 최근 8년간 법원행시, 사법시험, 변호사시험 등 최신기출 반영
★ 그 이전 기출문제 중 출제가능논점 반영 및 풍부한 해설수록
★ 2018년 시험대비 출제경향분석 및 출제예상문제 중심 구성
♣ 본서에 수록된 ‘2017년도 시행 최신기출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 경찰공무원 정기 승진시험(경감 이하 통합) ⇨ <17-경찰승진>
② 제6회 변호사시험 ⇨ <17-변호사>
③ (해양경찰청)경찰공무원 정기 승진시험 ⇨ <17-해경승진>
④ 법원 9급(법원사무직렬) 공개경쟁채용시험 ⇨ <17-법원 9급>
⑤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순경) 채용시험(해경학과특채 1차) ⇨ <17-해경학과>
⑥ (해양경찰청)경찰관(경찰간부) 채용 필기시험 ⇨ <17-해경간부>
⑦ [제1차]경찰공무원(순경)[공채(남·여)·전의경경채·101경비단]시험 ⇨ <17-경찰 1차>
⑧ 국가직(검찰직, 마약수사직)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 ⇨ <17-검찰·마약수사 9급>
⑨ 국가직(철도경찰직)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 ⇨ <17-철도경찰 9급>
⑩ [제1차]경찰공무원(순경-‘경기북부 여경’) 채용 필기시험 ⇨ <17-경기북부(여경)>
⑪ 경찰특공대 경력경쟁채용시험(전술(남여), 폭발물처리) ⇨ <17-경찰특공>
⑫ 법원사무관승진 제1차 시험 ⇨ <17-법원사무관>
⑬ (법원주사보)능력검정시험 제1차 시험 ⇨ <17-법원주사보>
⑭ (경찰청시행)경찰공무원 형사법 능력평가(경위 이상) 시험 ⇨ <17-형사평가>
⑮ (경찰청시행)경찰공무원 형사법 능력평가(경사 이하) 시험 ⇨ <17-형사평가>
⑯ 제35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 <17-법원행시>
⑰ (국가공무원)국가직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검찰사무직) ⇨ <17-검찰 7급>
⑱ [제2차]경찰공무원(순경)[공채(남·여)·경행특채·학교경채·법학경채·101경비단]시험
⇨ <17-경찰 2차>
⑲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순경) 채용시험(해경학과특채 2차) ⇨ <17-해경학과>
⑳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순경) 채용시험(공채분야) ⇨ <17-해경>
㉑ (인사혁신처) 5급 일반승진 필기시험(검찰직) ⇨ <17-검찰(5급)승진>
㉒ (2018년도) 제67기 경찰간부후보생 선발 필기시험 ⇨ <18-경찰간부>
- 본서의 효율적인 활용방법
① 제1단계➝체계적 이해와 정리 : 본서를 서점에서 구입하여 처음으로 읽는 단계이다.
이 때에는 1) 먼저 각 지문별로 정확하게 아는 내용인지 아닌지를 체크해야 한다(예를 들어,중요한 것은 ☆, 틀린 것은 , 애매하게 아는 것은 △ 등).
2) 그리고 해설을 읽을 때에는 기본서를 정독하듯이 해야 하고, 역시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Underline을 하거나 표시를 해 두어야 한다.
3) 만약에 해설만으로 이해가 안 갈 경우에는 반드시 기본서를 찾아서 관련된 부분을 정독해서 완벽하게 이해를 해야 한다(이 때 기본서로서는 “형법요론”이나 “MASTER 형법”을 추천한다).
② 제2단계➝문제풀이 능력의 향상 :
1) 문제를 가볍게 풀어서는 안 되고, 실제 시험장에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진지하게 문제를 풀어야 한다. 이 때에도 각 지문별로 위에서 언급한 방식대로 체크를 하고,
해설과 기본서의 참고를 통해서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노력을 해야 한다.
2) 기출문제는 형법 전반에 걸친 논점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아직 이해가 되어 있지 않은 내용까지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부분도 나중에 다 정리될 것이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고, 미리 예습한다는 마음으로 공부하면 될 것이다.
③ 제3단계➝반복을 통한 철저한 암기 : 제1단계와 제2단계를 통해서 이해 위주로 공부함으로써 실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가 아는 부분과 잘 모르는 부분도 명확하게 드러났다.
중요한 부분, 잘 모르는 부분들이 결국은 실제 시험에서 나의 점수를 좌우한다. 그러므로 이제부터는 체크된 부분을 철저하게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암기는 반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세종대왕의 어릴 적의 학습방법은 공부한 내용을 “백번 읽고, 백번 써보는(百讀百習)” 방법이었다고 한다. 시험이 다가올수록 암기가 중요하고, 시험공부는 암기를 통해서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