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곁에 있는

곁에 있는 스물여덟 언어의 사랑시

  • 한국외대 지식출판원 편집부
  • |
  • HUEBOOKs
  • |
  • 2017-12-18 출간
  • |
  • 292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91159012464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1,64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64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서문]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시집 『곁에 있는』이 출판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이 시집의 부제인 ‘스물여덟 언어의 사랑시’가 잘 나타내주고 있듯이, 이 시집은 한국외국어대학교 28개 언어학과의 문학 전공 교수 30인이 스물여덟 언어로 각각 쓰여 진 사랑에 관한 시들을 번역한 것을 담고 있다. 이러한 다국어 시집의 발간은 한국에서 그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참신하고 획기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한국외국어대학교가 외국어 교육의 메카로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역량과 전통을 축적해왔기 때문이다.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는 『곁에 있는』을 필두로 해서 앞으로 다양한 주제에 관한 다국어 시집이 기획 시리즈로서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계속 출판되기를 기대해 본다.

『곁에 있는』의 출판을 위해서 지난 여름에 기획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위원회는 4명으로 구성되었는데, 필자(정치외교학과)를 포함해서 가정준 교수(법학전문대학원), 정은귀 교수(영미문학·문화학과), 최성은 교수(폴란드어과)가 참여했다. 정치사상을 전공으로 하고 있는 비문학도인 필자가 위원장 역할을 맡았는데, 이것은 본인이 연장자이기도 했지만, 비문학 전공자로 하여금 문학을 보완하려는, 시집 기획자이자 지식출판원 원장인 가정준 교수의 혜안(?)이 아니었나 싶다. 기획위원회의 주된 역할은 30인의 교수 각자가 선정하여 번역한 5편 내외의 시를 기획 취지에 맞춰서 선별하는 것과 어색한 번역 용어나 번역 문장을 번역자에게 조심스럽게 다시 살펴보아 달라고 부탁하는 것이었다. 각 언어마다 특색이 있을 터이고 번역자의 시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이 있을 터이니, 해당 언어를 전공으로 하지 않는 위원들이 강하게 수정을 요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기획 취지와 아울러 지면상의 제한 때문에 각 교수님들이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소중한 작품들을 모두 이 시집에 다 담지 못했다는 점을 이 자리를 빌려 사과드린다.
『곁에 있는』은 다국어 시집이니 만큼, 일반 독자가 잘 알지 못하고 접근하기조차 힘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적을 지닌 동·서양 시인들의 작품을 담고 있다. 물론 필자가 문외한이어서 그렇겠지만, 필자가 익히 아는 시나 이름을 들어본 시인은 주로 한국어권, 영어권, 독일어권, 프랑스어권, 이탈리아어권에 한정되어 있다. 위 언어권에 포함된 시들도 제대로 알지 못하니, 이 시집에 수록된 시 전체 중에서 필자가 조금이나마 알은체를 할 수 있는 시는 기껏해야 15퍼센트에도 못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기준에서 볼 때 필자의 사정이 특별하다거나 평균 이하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85퍼센트 이상의 시들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 시집은 말미에 ‘시평’ 섹션을 따로 두고 있는데, 번역자들은 여기에서 원작자에 대한 소개 및 시를 감상하는 포인트를 간결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 시평이 특별히 뒤에 있는 이유는 독자들이 시에 몰입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시를 즐길 수 있는 여유를 주기 위한 것이다. 『곁에 있는』이 다국어 시집의 면모를 갖추긴 했지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지면상의 제한으로 인하여 스물여덟 언어로 된 원시를 수록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원시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은 한국외대 지식출판원 홈페이지(press.hufs.ac.kr)에서 원시를 찾아볼 수 있다.

기획위원회에서 시들을 어떻게 배열할 것인가에 관해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상식적으로 해결하자는 데 뜻이 모아졌다. 시들이 포함된 언어권을 일단 동양어권와 서양어권으로 나누고, 두 언어권을 각각 주(major) 언어권과 부(minor) 언어권으로 다시 나눈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해당언어학과가 창립된 순서에 따라 시를 배열하기도 하였다. 우리가 익숙한 ‘사랑시’가 서양어권에 많이 있기 때문에 서양어권 시를 동양어권시의 앞에 배치하였다. 그래서 시집의 목차는 서양어권1 - 서양어권2 - 동양어권1 - 동양어권2의 순서를 따르게 되었다. 시들의 배열이 어떤 논리적인 규칙을 따르지 않고 있기 때문에 독자들은 목차 순서에 상관없이 자기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시부터 읽어나가기 시작하면 된다. 서로 다른 언어권에서 사랑이 어떻게 노래되고 있는지 알고 싶은 독자는, 예를 들어 태국어 시와 그리스어 시를 비교해가면서 읽으면, 새로운 감동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곁에 있는』은 외국 문학, 특히 다국어 시에 관심이 많은 독자를 주요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주요 서양어권의 시에 익숙해져서 그 시만을 무의식적으로 편식해왔다. 다양성의 시대인 지구촌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에서 다국어 시에 대한 갈망은 점차 커지고 있는데, 이는 아주 바람직한 문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곁에 있는 『곁에 있는』은 다국어 시에 대한 갈증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더 많은 다국어 시의 출현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곁에 있는』의 출판을 계기로 하여, 한국에서 더 많은 다국어 시의 출판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곁에 있는』의 탄생은 한국외대 구성원의 공동작업의 결과이다. 이 시집의 아이디어를 낸 가정준 교수님과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구체화시킨 기획위원회 교수님, 시집의 취지에 호응하여 흔쾌히 번역을 맡아 주신 30인의 교수님, 그리고 좋은 시집의 모습을 갖추도록 편집, 교열, 디자인에 힘써 주신 지식출판원 직원들 모두에게 다시 한 번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곁에 있는』을 많은 독자들 곁에 자리 잡게 해서, 다국어 시에 대한 색다른 감상을 경험하도록 만드는 일일 것이다. 다시 한 번 『곁에 있는』의 탄생을 축하한다.

2017년 12월 12일
기획위원회를 대표해서
김용민이 쓰다.

목차

 

서문 5

 

I. 서양어권 1 _ 21

 

영어

소네트 116(1609) 23

<휘파람 불면 내가 갈게예> 중에서 (1793) 24

인적 드문 곳에 그녀는 살았지 (1799) 25

천상의 융단을 소망하지요 (1899) 26

내가 만약 (1864) 27

때로 내가 사랑하는 이와 (1891) 28

 

독일어

내 곁에 있는 당신 (1796) 29

, 내가 발 받침대라면 (1827) 30

거울로 보듯 (1844) 31

내 눈을 못 보게 하여도 (1901) 33

사랑 (1905) 34

 

프랑스어

미라보 다리 (1912) 35

집은 장미로 가득하리라... (1894) 37

그대에게 꽃다발을 보내오니... (1555) 38

나는 외롭지 않아 (1901) 39

낙엽 (1892) 40

 

러시아어

빌로드 천의 애무를 받으며 (1914) 42

릴리치카에게_편지 대신 쓴 시 (1916) 44

낯선 여인 (1906) 48

사랑은 여름에 시작하여 (1908) 51

애석하다. 지금이 겨울인 것이 (1920) 53

 

II. 서양어권 2 _ 55

 

스페인어

구스따보 아돌포 베께르 86편의 시중에서 (1867) 57

나는 하얀 장미를 키웁니다 (1891) 59

노래하기 위한 시 (1939) 60

소망 (1920) 62

 

이탈리아어

지극히 고귀하고 정숙한 자태라

신생 Vita Nuova중에서 (1293-1294 집필, 1295년 출간) 64

축복이어라. 그 날, 그 달, 그 해

칸조니에레 Canzoniere중에서 (1336년 출간) 65

실비아에게 (1828) 66

 

포르투갈어

소네트 5(연대 미상) 70

사랑 그 주고받음 (연대 미상) 71

테레자의 작별인사 (연대 미상) 72

길 한가운데서... (1888) 74

사랑은 내보이고자 하면 (1928) 75

모든 연애편지는... (1935) 77

 

네델란드어

사랑 시 (1170년경) 79

달콤한 입맞춤 (1570) 80

내 사랑, 내 사랑, 내 사랑 (1609) 81

너무도 사랑스럽고 화사한 당신 (1890) 82

 

폴란드어

사랑 (1926) 83

사랑 (1927) 84

* * * (1963) 85

내 모든 죽음 (1966) 86

서정적인 대화 (1950) 87

번민 (1924) 89

 

체코 슬로바키아어

<오월> 중에서 (1836) 90

사랑은 가냘픈 초처럼 타버렸다 (1857) 92

가을의 사랑 (1885) 93

연인 (1924) 94

 

헝가리어

리더가 배를 타고 (1906) 95

너의 눈을 보호하리 (1913) 96

덤불이 떨리는 건... (1846) 97

그대의 두 팔에 안겨 (1941) 99

사랑하는 이가 거리를 지날 때 (1925) 101

그대 놀아보고 싶지 않은가? (1912) 103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어

일몰(日沒) (1901) 105

현실과 꿈 사이에 (1863) 107

귀환 (1920) 108

 

우크라이나어

나의 저녁 별이여 (1847) 109

농가 옆 체리밭 (1847) 111

왜 당신은 내 꿈 속에 나오시나요? (1896) 112

마브카의 질문 (1912) 115

마리아에게 (1931) 117

 

그리스어

심장의 서사시 (1886) 119

돌아와서 (1912) 120

연서 (연대 미상) 121

사랑 (연대 미상) 123

사랑 (1919) 125

당신 곁에서 (1928) 126

 

불가리아어

영원히 함께 (1892) 127

사랑해 (1906) 130

어여쁜 두 눈 (1906) 132

<당신에게> 중에서 (1906) 134

널 그대로 기억하고 싶어 (1913) 135

낙엽 (1919) 137

나의 아내에게 (1942) 140

 

아프리카어

사랑 (연대 미상) 141

나의 작은 배 (연대 미상) 142

그녀에게 가서 말해주오 (연대 미상) 143

아미나 (1966) 144

 

III. 동양어권 1 _ 147

한국어

당신이 아니더면 (1926) 149

먼 후일 (1922) 150

호수 (1930) 151

내 마음을 아실 이 (1931) 152

생시에 못 뵈올 님을 (1924) 153

내 애인이여 가까이 오렴 (1935) 154

채련곡(採蓮曲) (1500년대) 155

협구소견(峽口所見) (1700년대) 156

상사몽(想思夢) (1500년대 초중반) 157

 

중국어

우연 (1926) 158

날 버리지 말아요 (1932) 159

그대 오래 오래 살기를 (1072) 160

기증 (1958) 162

더블베드 (1960) 163

 

일본어

만엽집(萬葉集)중에서 (8세기 중) 165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중에서 (10세기 초) 166

첫사랑 새싹집(若菜集)중에서 (1887) 167

헝클어진 머리(みだれ)중에서 (1901) 168

꿈인지 생시인지 시로 쓴 일기(うた日記)중에서(1905) 169

간절한 생각을 알리 ()중에서(1928) 171

 

IV. 동양어권 2 _ 173

말레이 인도네시아어

정원 (1943) 175

언어와 조국 (1921) 176

 

아랍어

사람들이 그녀를 기만했네 (20세기) 178

그녀에게 (20세기) 179

사랑아 (20세기) 180

만약에 (20세기) 181

웃음과 장난 사이로 (20세기) 183

 

태국어

<쿤창쿤팬> 중에서 (1872) 184

<프라아파이마니> 중에서 (1845) 185

<이나오> 중에서 (1874) 186

<싸꾼따라> 중에서 (1912) 187

<리릿프라러> 중에서 (연대 미상) 188

 

베트남어

산호덩굴꽃 빛깔 (1937) 189

말해야만 합니다 Thơ Thơ(時時)중에서 (1938) 192

相思 (1939) 194

흰 옷 (1941) 196

해변 (1962) 198

 

인도어

아마루샤따까중에서 (7세기 또는 8세기) 200

쪼우르빤짜쉬까<도둑의 50> 중에서 (11세기) 201

사뜨사이(Satasaī)에서 도하(2행시) 2(17세기) 202

<까빗뜨(Kabitta)>중에서 (17세기 또는 18세기) 203

재스민 꽃봉오리 (1916) 204

 

터키 아제르바이잔어

너의 사랑은 나를 (1968) 206

손님 (1943) 207

피라예를 위해 쓴 저녁 9~10시의 시중에서 (1944) 208

1945924(1945) 210

아내에게 (1955) 211

 

이란어

로바이 514(13세기) 212

로바이 597(13세기) 213

가잘 509(13세기) 214

가잘 270(14세기) 215

나 당신 오길 고대합니다 (1958) 217

가잘 41(20세기 초) 218

몽골어

(1931) 219

가슴 속 연인 (연대 미상) 220

 

우즈베크어

그대는 오랫동안 내 삶에 있었네 (1936) 221

내 젊음이 만개하던 그 시절에... (1937) 223

알리세르 나보이(1441-1501)4행시 묶음 중에서 (연대 미상) 225

 

시평 _ 227

서양어권 1 229

서양어권 2 238

동양어권 1 263

동양어권 2 272

 

역자 _ 289

 

 

 

 

도서소개

 

 

곁에 있는은 다국어 시집이니만큼, 일반 독자가 잘 알지 못하고 접근하기조차 힘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적을 지닌 동·서양 시인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시집의 부제인 스물여덟 언어의 사랑 시가 잘 나타내주고 있듯이, 이 시집은 한국외국어대학교 28개 언어학과의 문학 전공 교수 30인이 스물여덟 언어로 각각 쓰여 진 사랑에 관한 시들을 번역한 것을 담고 있다. 이러한 다국어 시집의 발간은 한국에서 그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참신하고 획기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한국외국어대학교가 외국어 교육의 메카로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역량과 전통을 축적해왔기 때문이다. 특히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시들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 시집은 끝에 시평부문을 따로 두고 있는데, 번역자들은 여기에서 원작자에 대한 소개 및 시를 감상하는 포인트를 간결하게 제시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