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역주 악서 5 악도론

역주 악서 5 악도론

  • 진양
  • |
  • 소명출판
  • |
  • 2017-11-25 출간
  • |
  • 316페이지
  • |
  • 160 X 233 X 27 mm /620g
  • |
  • ISBN 9791159052279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진양은 『악서』에서 유가사상의 바탕 위에 노장사상을 수용한 독특한 악론을 펼친다. 그는 예악이 온전하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도와 덕이 바탕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예악에서 도덕으로 나아가게 되면 바로 무위(無爲)를 하는 것이다’라고 하여, 유가와 노장사상을 대립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같은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진양은 ‘도에 내 몸을 싣고 더불어 하나가 되는 단계’를 지향하는데, 그 단계는 ‘만물의 합주가 일어나 모두 즐거워하며 성난 소리를 찾으려야 찾을 수 없고, 그윽하고 어두운 가운데 아무 소리도 없으며, 천지 사이에 충만하여 넓은 우주를 감싸며, 무한한 경지에서 움직여 다니다가 그윽하고 어두운 근원의 세계에서 조용히 머무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바로 장자가 말한 ‘함지악(咸池樂)을 통해 도달하게 되는 천지 대자연과 일체가 되는 도의 경지’인 것이다. 결국 진양의 음악관은 유가의 방법을 따라 수양을 하되, 이를 뛰어 넘어 궁극적으로 도와 일체가 되는 경지에 이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총 200권으로 이루어진 악서는 크게 『훈의(訓義)』와 『악도론(樂圖論)』으로 나뉜다. 『훈의』에서는 『예기(禮記)』·『주례(周禮)』·『의례(儀禮)』·『시경(詩經)』·『상서(尙書)』·『춘추(春秋)』·『주역(周易)』·『효경(孝經)』·『논어(論語)』·『맹자(孟子)』 등의 경전에서 악(樂)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풀이함으로써 악을 통해 추구하는 이상향(理想鄕)을 서술하였다.
『악도론』에서는 실질적으로 악을 시행에 필요한 사항인 악률이론(樂律理論)·악기(樂器)·가(歌)·무(舞)·잡악(雜樂)·오례(五禮)를 서술해 놓았는데, 아부(雅部)와 속부(俗部) 외에 호부(胡部)까지 포괄하여 중국뿐 아니라 중국 주변 민족의 악가무(樂歌舞)일체에 대해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특히 『악도론』은 12율ㆍ5성ㆍ8음과 같은 음악이론과 함께, 한족(漢族)과 중국 주변민족의 악가무(樂歌舞 ) 전반에 대한 정보 및 예악제도를 그림과 함께 상세히 밝혀놓았다.

풍부한 그림자료가 수록된 『역주 악서』시리즈를 통해 살펴볼 한민족 음악

상기하였듯이 『악서』의 『악도론』 호부(胡部) 편에는 한족(漢族)외의 중국 주변 지역의 여러 민족의 악가무를 상세히 밝혀놓아서 마한(馬韓)·신라(新羅)·백제(百濟)·고구려는 동이(東夷)라는 항목에 서술되어 있다. 특히 권158 호부(胡部)의 가(歌) 항목에는 신라ㆍ백제ㆍ고려 등의 항목이 따로 있어 고대부터 이어진 한민족 음악의 편린 또한 엿볼 수 있다.
또한, 『악서』는 세종대 아악 정비 및 성종대 『악학궤범(樂學軌範)』 편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악학궤범』에는 『악서』·『주례(周禮)』·『율려신서(律呂新書)』·『문헌통고(文獻通考)』·『송사(宋史)』·『석명(釋名)』·『풍속통의(風俗通儀)』 등 많은 책이 인용되었는데, 이 중 가장 많이 인용된 책이 바로 진양의『악서』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아악을 연구하는 데는 『악서』에 대한 이해가 필수불가하다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번 『역주 악서 5』에는 고대 가요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와 『공후인(··引)』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종래 국문학계에서 『공무도하가』와 『공후인』 연구의 근거자료가 되었던 최표의 『고금주(古今注)』와 설명이 다른 부분이 있어 주목할 만하다.
『고금주』에서는 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가 ‘백수광부가 술병을 끼고 비틀거리면서 강물을 건너다가 빠져 죽고, 이를 말리던 백수광부의 아내 또한 울부짖다가 공후를 타면서 『공무도하가』를 부르고는 강물에 스스로 몸을 던진 광경’을 목격하고 집에 돌아와 자기 아내 여옥에게 구슬펐던 노래를 들려주자, 여옥이 그 노래를 바탕으로 공후를 연주하고는 『공후인』이라 이름 붙였다고 설명하였는데, 이와 달리 『악서』에서는 『공무도하가』의 작자는 백수광부의 아내인 여옥이고, 『공후인』의 작자는 곽리자고라고 하였다. 슬픈 광경을 목격한 곽리자고가 너무나 애달파서, 금(琴)을 잡아 당겨 ‘백수광부의 아내가 공후를 타면서 슬픔을 토로한 소리’를 본떠 연주한 곡이 『공후인』이라 서술하고 있다.
또한, 『역주 악서5 』에는 당나라의 칠성관(七星管)에 대나무의 얇은 막(膜)을 붙인 청공(淸孔)이 있었다는 설명이 있어, 국악기인 대금·퉁소에 갈대 속청으로 만든 청공(淸孔)이 있는 것과 비교해볼 수 있는 그림 및 상세한 자료를 제공한다.

목차

악 도 론
권125 악도론
호부 / 팔음 / 금지속

권126 악도론
호부 / 팔음 / 석지속
토지속

권127 악도론
호부 / 팔음 / 혁지속

권128 악도론
호부 / 팔음 / 사지속 상

권129 악도론
호부 / 팔음 / 사지속 하

권130 악도론
호부 / 팔음 / 죽지속

권131 악도론
호부 / 팔음 / 포지속

권132 악도론
호부 / 팔음 / 목지속

권133 악도론
속부 / 팔음 / 금지속 상

권134 악도론
속부 / 팔음 / 금지속 중

권135 악도론
속부 / 팔음 / 금지속 하

권136 악도론
속부 / 팔음 / 석지속

권137 악도론
속부 / 팔음 / 토지속

권138 악도론
속부 / 팔음 / 혁지속 상

권139 악도론
속부 / 팔음 / 혁지속 중

권140 악도론
속부 / 팔음 / 혁지속 하

권141 약도론
속부 / 팔음 / 사지속

권142 약도론
속부 / 팔음 / 사지속

권143 약도론
속부 / 팔음 / 사지속

권144 약도론
속부 / 팔음 / 사지속 상

권145 약도론
속부 / 팔음/ 사지속 중

권146 악도론
속부 / 팔음 / 사지속 하

권147 악도론
속부 / 팔음 / 죽지속

권148 악도론
속부 / 팔음 / 죽지속

권149 악도론
속부 / 팔음 / 죽지속

권150 악도론
속부 / 팔음 / 포지속

부록
정오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