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독선 사회

독선 사회

  • 강준만
  • |
  • 인물과사상
  • |
  • 2015-07-31 출간
  • |
  • 368페이지
  • |
  • ISBN 978895906354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왜 우리는 독선에 중독되었는가? _ 005

제1장 언어의 신비와 함정
01 왜 우리는 ‘왜냐하면’에 쉽게 넘어가는가? 왜냐하면 효과 _025
02 왜 매년 15만 명이 자신의 이름을 바꾸는가? 이름 효과 _031
03 왜 우리는 대화를 하면 상황이 나아질 거라고 착각하는가? 메라비언의 법칙 _037
04 왜 페미니스트는 일부 남성의 적이 되었는가? 본질주의 _042
05 왜 날이 갈수록 ‘~처럼’이라고 말하는 게 위험해지나? 유추의 오류 _047

제2장 콤플렉스의 독재
06 왜 우리는 ‘개천에서 난 용’ 신화를 포기하지 않는가? 앨저 콤플렉스 _055
07 왜 근육질 몸매를 과시하는 식스팩 열풍이 부는가? 아도니스 콤플렉스 _061
08 왜 인간은 몸을 길게 보이려고 애를 쓰는 동물과 다를 바 없나? 하이티즘 _067
09 왜 정치인들은 대형 건축물에 집착하는가? 거대건축 콤플렉스 _073
10 왜 세계적인 마천루는 아시아·중동 지역에 몰려 있나? 마천루 콤플렉스 _079

제3장 증후군 또는 신드롬
11 왜 여배우 엠마 왓슨은 자신을 사기꾼처럼 여기는가? 가면 증후군 _087
12 왜 사이버공간은 관심을 받기 위한 아수라장이 되었나? 뮌하우젠 증후군 _092
13 왜 한국 정치는 ‘리셋 버튼’ 누르기에 중독되었는가? 리셋 증후군 _097
14 왜 한국의 가족주의를 ‘파시즘’이라고 하는가? 빈 둥지 신드롬 _103
15 왜 우리는 ‘자신 속의 아이’에 빠져드는가? 피터팬 신드롬 _109

제4장 지능과 고정관념
16 왜 인간의 평균 IQ는 30년 만에 20점이나 올랐는가? 플린 효과 _117
17 왜 인간을 한 가지 지능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가? 다중 지능 _122
18 왜 무식한 대통령이 훌륭한 지도자가 될 수 있는가? 감성 지능 _129
19 왜 고정관념에 세금을 물려야 하는가? 고정관념 _135
20 왜 지능의 유연성을 믿으면 학업성적이 올라가는가? 고정관념의 위협 _141

제5장 능력과 경쟁
21 왜 ‘능력주의’는 불공정하며 불가능한가? 능력주의 _149
22 왜 경쟁은 우리의 종교가 되었는가? 초경쟁 _154
23 왜 성공한 사람들이 자살을 할까? 지위 불안 _161
24 왜 기업과 정치는 피 튀기는 싸움에만 몰두하는가? 블루오션 _167
25 왜 한국 TV드라마는 방송 당일까지 촬영하고 방송 직전까지 편집할까? 붉은 여왕 이론 _173

제6장 우연과 확률
26 왜 우연은 준비된 자에게만 미소 짓는가? 세렌디피티 _181
27 왜 ‘우연한 발견의 즐거움’이 누군가에겐 악몽이 될 수도 있나? 디지털 세렌디피티 _186
28 왜 마이클 조던은 흑인 청소년들에게 해악을 끼쳤는가? 기저율 무시 _193
29 왜 동전을 6번 던지면서 앞뒤가 반반씩 나오길 기대하나? 작은 수의 법칙 _199
30 왜 우리는 집단의 특성으로 개인을 평가하는가? 통계적 차별 _205

제7장 공동체와 다양성
31 왜 대형마트가 들어선 지역의 투표율은 하락하는가? 사회적 자본 _213
32 왜 동성애자가 많은 지역에서 첨단산업이 꽃을 피우는가? 게이 지수 _219
33 왜 독일은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우승할 수 있었는가? 필수적 다양성의 법칙 _225
34 왜 친구가 해준 소개팅은 번번이 실패할까? 약한 연결의 힘 _230
35 왜 ‘최고 이의 제기자’가 필요한가? 악마의 변호인 _237

제8장 소수와 다수
36 왜 세상은 자꾸 ‘20대 80의 사회’로 가는가? 파레토의 법칙 _243
37 왜 1,000개의 단어만 알아도 75퍼센트의 일상대화를 이해할 수 있나? 지프의 법칙 _249
38 왜 어떤 기업들은 소비자를 일부러 쫓아내려고 애쓰는가? 디마케팅 _255
39 왜 1퍼센트의 사람들이 전체 조직을 뒤흔들 수 있는가? 1퍼센트 법칙 _260
40 왜 꼬리가 머리 못지않게 중요해졌을까? 롱테일 법칙 _267

제9장 공포·분노·충동
41 왜 결정을 내리는 걸 두려워하는가? 결정공포증 _275
42 왜 ‘마녀사냥’이 일어나는가? 도덕적 공황 _280
43 왜 폭력의 공포에 떠는 사람들은 정치적으로 보수화되는가? 배양효과 이론 _287
44 왜 미국 정부가 9·11 테러를 공모했다고 믿는가? 음모론 _294
45 왜 양극화 해소를 더이상 미루어선 안 되는가? 야성적 충동 _301

제10장 위험과 재난
46 왜 작은 변화가 예측할 수 없는 엄청난 결과를 낳는가? 나비효과 _311
47 왜 극단적인 0.1퍼센트의 가능성이 모든 것을 바꾸는가? 블랙 스완 이론 _317
48 왜 우리는 재앙의 수많은 징후와 경고를 무시하는가? 하인리히 법칙 _323
49 왜 사고는 반드시 일어나게 되어 있는가? 정상 사고 _331
50 왜 재난은 때로 축복일 수 있는가? 재난의 축복 _337

도서소개

우리의 진정한 적은 좌도 우도, 진보도 보수도 아닌 독선이다! 한국이 독선 사회가 된 것은 ‘다름’을 인정하지 않았던 한국 특유의 사회문화적 동질성이 만들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쟁을 지나면서 ‘다 함께 잘 살아보세’라는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게 되다보니 우리는 각기 다른 생각과 소통하고 타협하면서 살아오지 못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독선 사회』는 그런 ‘독선’을 경계하며 소통과 타협, 화합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독자를 이끈 책이다.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의 한계를 인정하는 동시에, 왜 우리가 독선을 범해선 안 되는지 자연스럽게 깨닫도록 만든다. 저자는 “자신의 확신을 의심하라”는 메시지를 담아, 인간이 얼마나 감정적 습관적 판단에 취약한지 글로 보여준다. 특히 개혁과 사회적 진보를 위해 똑똑해지기보다는 자신의 똑똑함과 확신의 ‘한계’를 깨달으라고 조언한다. 즉 자신과 반대되는 정치 세력을 쓰레기로 매도하면서 면책 심리를 키우고, 반대 세력을 악마화하는 증오 마케팅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왜 ‘독선적인 사람’의 똑똑함은 독약이 될 수 있는가?

우리는 대체적으로 나라가 잘되기 위해서는 국민이 똑똑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국민이 똑똑해진다고 해서 나라가 반드시 잘되는 것일까? 혹시 ‘똑똑해진 사람들’이 자신의 똑똑함을 과신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견해나 생각은 무시하고 자신만 옳다고 생각하는 독선에 빠질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 우리는 인간관계에서 독선적인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 사람이 아무리 똑똑해도 ‘싸가지 없는 인간’이라며 상종하길 꺼린다. 그러나 우리는 정치를 대할 땐 특정 당파 집단의 일원이 되거나 익명성을 얻는 순간 전혀 다른 인간으로 태어난다. 자신이 갖고 있는 어떤 이념이나 당파성의 옹호자가 되면서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노골적으로 경멸감이나 적대감을 드러낸다. 그런 토양에서 정치인이나 논객의 인기는 반대편을 조롱하거나 아프게 만드는 언어를 잘 구사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언론은 “이게 웬 떡이냐” 하는 자세로 그런 증오의 언어를 미주알고주알 열심히 보도하는 ‘증오 상업주의’에 탐닉한다. 지지자들의 환호와 언론의 관심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시대의 논쟁이란 상처를 주고받는 게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젠가 고종석이 잘 지적했듯이, 그런 게임에선 아픔을 느끼는 능력이 가장 모자란 사람이 최후의 승자가 된다. 독선은 이성일까? 아니다. 감성이다. 독선적인 사람의 똑똑함은 독약이 될 수 있다. 소통과 타협과 화합을 원초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이성은 감성의 노예”라고 했는데, 이 말은 갈등이라는 밥을 먹고사는 정치에선 진리에 가깝다. 감성의 지배를 받는 이성의 용량을 아무리 키워봐야 나라가 똑똑해지는 데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왜 한국은 ‘독선 사회’가 되었는가?

거시적으로 보자면, ‘독선 사회’는 ‘다름’을 인정하지 않았던 한국 특유의 사회문화적 동질성이 만든 것이다. 그런데 그게 나쁘기만 했던 건 아니라는 데에 우리의 고민이 있다. 한국 사회는 다양성을 박해하면서 획일성을 예찬해왔기 때문에 전 국민이 ‘전쟁 같은 삶’을 살면서 “잘 살아보세”라는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게 만들 수 있었다. 그래서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로 대변되는 압축성장이 가능했다. 성공과 행복의 기준이 다양했다면, 우리가 그렇게 미친 듯이 일하고 공부할 수 있었을까? 그러나 ‘다름’의 불인정은 물질이 아닌 정신 영역에서는 재앙을 몰고 왔다. 우리는 각기 다른 생각과 소통하고 타협하면서 화합하는 삶을 살아오지 못했다.
물론 독재자들의 독선만이 독야청청했던 독재정권 때문이다. 폭력적 독선에 대항하는 길은 신념적 독선 이외엔 없었다. “싸우면서 닮아간다”는 말은 사실상 “일방적으로 당하면서 독선을 강요당했다”는 걸 표현한 것이지만, 한 번 형성된 체질은 세상이 바뀌어도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가 온갖 갈등과 분란과 이전투구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이유도 바로 그 후유증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세월이 해결해주겠지만, 그렇게 넋 놓고 기다리다간 나라가 망할지도 모르니, 우리는 소통과 타협과 화합을 모색하기 위해 애를 써야만 한다. 우리의 진정한 적은 좌도 우도, 진보도 보수도 아닌, 독선이다.

왜 ‘순수’와 ‘정치’의 만남은 문제가 되는가?

독선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역은 정치다. 왜 그런가? 순수주의자들은 가능성을 추구하는 정치를 이상을 추구하는 종교처럼 대하기 때문에 타협을 거부하는 극단적 강경파로 활약하기 마련이다. 어느 집단에서건 이런 강경파는 소수이지만 지배력을 행사한다. 그들의 강점은 뜨거운 정열과 헌신이기 때문이다. 순수는 독선과 동전의 양면 관계를 이룬다. 순수주의자들은 자신의 순수를 무기와 명분으로 삼아 정쟁을 종교 전쟁으로 몰고 간다. 정치를 혐오하고 저주하는 유권자들은 그런 명쾌한 접근법에 환호한다. 대다수의 유권자들은 정치에 등을 돌린 가운데 그런 소수의 전사들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정치권 역시 그런 ‘시장 논리’에 굴복한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10대 0’의 정치다.
여야 싸움에서건 같은 당내 싸움에서건, 정치인들은 자신의 정당성을 10, 상대편의 정당성을 0이라고 주장하는 고질병을 앓고 있다. 진실은 7대 3이거나 6대 4이거나 5대 5일 텐데도 언행은 ‘10대 0’에 근거한 과장과 과격과 극단을 치닫는다. 그래야 열성 지지자들의 피를 끓게 만들 수 있다는 생각 또는 그렇게 해온 체질 때문이겠지만, 이게 나중엔 부메랑이 되어 타협의 발목을 잡는다. 양쪽 진영 모두에서 타협을 야합이라고 욕해대니 죽으나 사나 출구가 없는 격돌의 길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순수와 정치가 만나면서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날이 갈수록 우리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