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 5
차례에 따른 내용 / 6
이 이야기를 하는 목적 / 7
감사 인사 / 10
제1부 공교육의 위기 / 15
1. 인성 교육의 위기 / 19
자기를 벌레로 생각하는 아이 / 19
인성 정말 얼마나 나쁜가? / 21
인성 교육은 어떻게 하고 있나? / 29
2. 사고력 교육의 위기 / 32
일단... 궁금한 게 없어요! / 32
우리 학생들의 사고력, 지적 수준 / 34
지적 호기심 / 41
3. 교육 기회 균등의 위기 / 44
누구나 열심히 하면 공부 잘할 수 있는가,
누구나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가? / 44
학업 성취도, 사교육비의 양극화 / 49
4. 국가 교육과정의 파행적 운영 / 55
우리 아이들은 몇 점짜리인가? / 55
주입식 암기 교육의 폐해 / 58
제2부 한국인의 특성 / 65
교육과 사회는 닮은꼴 / 67
물질주의, 관계주의 / 70
5. 물질주의 / 74
돈이면 안 되는 것이 없는가? / 74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물질주의 / 79
6. 관계주의 / 83
혼자선 못 살아 / 83
동양적 한국적 집단주의로서의 관계주의 / 88
7. 교육열 / 92
한국 선녀는 달라 / 92
8. 사회와 교육 / 102
물질과 관계 획득의 도구가 된 교육, 외재적 목적의 교육과
친한 주입식 암기 교육 / 102
제3부 인간의 욕구와 교육 / 109
인간 행동의 원인에 대한 설명 / 111
9. 동기 이론과 한국인의 욕구 구조 / 114
인간이 하고 싶어 하는 것들, 인간의 욕구 구조 / 114
한국 사람이 하고 싶어 하는 것들, 한국인의 욕구 구조 / 122
10. 자아실현과 교육의 목적 / 131
자아실현자의 특성 / 131
잠재력과 정체성 / 140
11. 성장 욕구의 강화와 학교 교육 / 147
요람에서 무덤까지 / 147
발달이론과 학교의 역할 / 150
교육과정과 교육철학 / 154
교과목, 인류의 문명과 조상들의 삶 / 157
욕구 구조의 변화, 주입식 암기 교육과 자기 주도적 체험 학습 / 160
제4부 우리 안의 무의식 / 171
12. 물질과 관계에 대한 트라우마 / 173
한국인의 트라우마, 무엇이 이토록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가? / 173
전쟁, 부정적인 인간 본성의 무대 / 182
?역사 앞에서?, ?마을로 간 전쟁? / 188
물질과 관계에 대한 외상(트라우마)의 치유 / 194
나가기 / 199
13. 학교에서 우리 아이 찾기 / 201
14. 교육의 전제 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