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최초의 물고기 이야기 신우해이어보

최초의 물고기 이야기 신우해이어보

  • 최헌섭
  • |
  • 경상대학교출판부
  • |
  • 2017-12-05 출간
  • |
  • 342페이지
  • |
  • 152 X 210 mm
  • |
  • ISBN 9788962571547
판매가

17,000원

즉시할인가

16,49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49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魚譜,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
두 인문학자의 손에서 새롭게 태어나다!


담정 김려의 『우해이어보』 원문에서부터 번역문, 지금의 우해 앞바다 물고기 이야기까지 생동감 있는 글과 해설, 생생한 그림과 사진으로 『우해이어보』의 거의 모든 것을 이 책 한 권에 담았다.

10여 년 전, 서점에 들른 한 인문학자는 우연히 책 한 권을 보게 된다. 그때만 해도 그는 그 책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잘 알지 못했다. 그는 일단 책을 샀고, 나중에 번역자의 해제를 읽고 나서야 그 책이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인 〈우해이어보〉라는 걸 알고 깜짝 놀라게 된다. 게다가 책에 나오는 ‘우해’는 바로 그가 살고 있던 도시의 앞바다였던 것. 그 후로 그 책은 그의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그러나 바쁜 일상에 쫓겨 한동안 잊고 지내다 이 책의 존재를 알고 있던 또 다른 인문학자를 만난 후에 마침내 〈우해이어보〉를 새롭게 쓰기로 마음먹게 된다.

이 책 〈최초의 물고기 이야기-신우해이어보〉는 최헌섭(두류문화연구원) 원장과 박태성(해동문화재연구원) 박사가 200여 년 전 〈우해이어보〉 현장을 직접 답사하고 각종 문헌을 샅샅이 뒤져 오늘의 시점에서 우해 앞바다 물고기 이야기를 새롭게 적은 책이다. 낚시에는 전혀 취미가 없던 두 저자는 이 책을 위해 우해 앞바다에서 1년 남짓 강태공 생활을 해야만 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 〈우해이어보〉
〈우해이어보〉는 조선의 문인 담정 김려(1766~1822)가 우해 일원의 바다 생물에 대해 1803년에 저술한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이다. 흔히 바닷물고기를 다룬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 하면 손암 정약전(1758~1816)의 〈현산어보(자산어보)〉로 잘못 알고 있지만, 실은 우해이어보가 최초의 어보이다. 〈현산어보〉가 1814년에 나왔으니, 1803년에 나온 〈우해이어보〉는 그보다 11년이나 앞서 나온 것이다. 특이한 건 김려와 정약전 두 사람 다 신유박해에 연루되어 바다가 있는 진해와 흑산도로 각기 유배됐고 둘 다 바다 생물을 관찰하여 비슷한 시기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두 어보를 저술했다는 것이다.

〈우해이어보〉를 쓴 담정은 1801년 4월부터 옛 진해현(지금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일원) 율현촌 염밭마을의 소금 굽는 사람 이일대의 집에서 유배 생활을 시작한다. 담정은 이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보수주인(유배 죄인의 거처를 제공하고 죄인을 감시하는 사람)의 열두어 살 된 아들과 작은 배를 타고 바다에서 잡거나 본 어류와 갑각류 및 패류 등 72종의 어족에 대해 적은 책 〈우해이어보〉를 저술하게 된다.

〈우해이어보〉는 “우해牛海에서 나는 이상한 고기(이어, 異魚)의 족보族譜”라는 의미다. ‘우해牛海’는 옛 진해의 다른 이름인데, 고현리에 있는 우산牛山(198.3m)에서 비롯했다. ‘이어異魚’는 서울 사람인 김려의 눈에는 잘 알지 못하는 특이한 물고기들을 가려 적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 수록된 어패류는 연체동물과 민물고기를 포함한 어류 53종, 갑각류 8종, 패류와 소라류 11종 등 모두 72종이다. 각 어족에 대한 서술 순서는 어명, 이명異名, 형태, 습성, 요리법, 맛, 효능, 어획 방식과 사용 어구, 유통, 민속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반이 조금 넘는 39종에 대해서는 〈우산잡곡牛山雜曲〉으로 시를 지었다.

새롭게 쓴 물고기 이야기, 〈신新우해이어보〉
현재 〈우해이어보〉에 관한 책은 번역서를 포함해 몇 종이 출간된 상태다. 그러나 대개 학술서 형식에 단순 번역서가 많아 독자들이 이 책을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두 인문학자는 아주 쉬운 필체로 물고기에 대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엮어서 어류 기행 에세이 형식으로 〈신우해이어보〉를 썼다.
박정희와 삼불 김원룡이 평생 잊지 못했다는 꼬시래기, 소동파가 죽음과도 바꿀 수 있는 맛이라고 했던 복어, 그 맛을 모르면 평생 후회한다는 기운을 돋우는 조기, 여름 최고의 보양식으로 논밭 다 팔았다는 민어, 천대받던 물고기에서 효자어종으로 변신한 물메기, 그 맛이 일품이어서 용의 알이라 불리던 삼치 알, 죽음도 함께하는 사랑의 물고기 전갱이, 겨울철 별미의 대명사 과메기를 만드는 청어, 물에서 나는 더덕 미더덕, 조조가 즐겨 먹었다는 전복, 비를 좋아하는 상비어, 안개가 끼면 나타난다는 멸치, 옛날에는 봄도다리가 아닌 가을도다리였다는 사실, 가오리와 홍어의 구별법 등 다양한 어종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싣고 있다.

〈신우해어어보〉는 〈우해이어보〉에 나오는 어류 등을 역사적, 문헌적으로 살펴봄과 동시에 오늘날의 해양 환경과 어족 현황 등도 살펴보고 있다. 아직도 그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어패류가 적지 않아서 72종을 모두 다루지는 못했으나, 실체가 확실한 어류 36종, 갑각류 6종, 조개 8종, 소라 3종 등 모두 53종을 소개했다. 〈우해이어보〉에서는 소개하지 않았지만 지금 옛 우해 지역에서 대표성을 띠는 미더덕 등을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옛 그림과 그 그림에 얽힌 물고기 이야기, 책에서 언급한 어패류의 사진과 해설 등을 별도로 실어 바닷물고기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도 흥미롭게 책을 읽을 수 있다. 책의 구성은 〈우해이어보〉를 현대적으로 새롭게 해석한 에세이 형식의 〈신우해이어보〉와 200여 년 전 어패류에 대한 김려의 견해와 해설을 볼 수 있는 〈우해이어보〉 원문과 번역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한한 확장성을 가진 지역의 대표 문화
저자는 그 옛날 〈우해이어보〉에서 소개한 요리법을 오늘날 지역의 대표 음식으로 개발하자고 제안한다. 그러한 음식으로 감성돔으로 만든 식해, 어죽으로 되살리면 전채 요리로 좋은 문절망둑, 구이로 좋은 적어라고 했던 청어, 매가리와 볼락 젓갈, 삼치알젓인 용란, 예나 지금이나 술안주로 즐기는 대게 찜과 오징어 숙회 등을 들고 있다. 무엇보다 단오절에 모시조개를 사서 껍질 채 넣고 끓여 먹는 와각탕이 단연 눈에 띈다.

또한, 〈우해이어보〉에 실린 맨손 어법, 살상 어법, 들 어법, 낚기 어법, 함정 어법 등의 다양한 어법을 문화 자원으로 활용해 당시의 생활사를 복원하는 길로 나아가자고 제안한다. 특히 39수의 시로 읊은 〈우산잡곡〉은 당시 민초들의 삶과 풍속사를 되짚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일 뿐 아니라 스토리텔링 소재로 활용할 때 무한한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고 봤다. 〈우해이어보〉 대게 편에 나오는 게딱지를 지붕의 마감재로 사용한 독특한 구조물인 ‘잡’을 지역의 풍물거리로 살려야 한다고도 했다. 그런데 지금 담정 김려가 유배를 살았던 인근에는 공장이 들어서고, 주변 해역도 하루가 다르게 옛 모습을 잃어 가고 있다. 담정 김려가 유배를 살았던 염밭마을과 그 주변에 대한 보존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최헌섭 저자는 “200여 년 전 이곳에 유배 왔던 인문학자 담정 김려가 우해의 어족과 그곳 사람들의 삶을 기록으로 남긴 것처럼 우리 두 저자도 담정의 눈을 통해 당시를 살피고 싶었습니다. 두 세기 전에 선배 인문학자의 눈에 비친 진해 사람들의 삶을 읽어 내기 위해 한 해 넘게 우해 일원을 찾아다니며 당시 사람들의 삶을 추체험해 보려고 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두 저자와 경상대학교출판부는 그동안 경남도민일보 연재(18개월), 학술 심포지엄(2회), 현장 탐방(2회), 각종 강연회 등을 통해 〈우해이어보〉를 널리 알리려고 애써 왔다.

〈최초의 물고기 이야기, 신우해이어보〉는 경상대학교출판부가 기획한 ‘지앤유 로컬북스’의 세 번째 책이다. 책으로 출간되기 전에 이미 대구출판지원센터의 ‘2017년 지역 우수출판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에 선정이 되어 주목을 받은 저작물이기도 하다. 경상대학교출판부는 독자들과 함께할 수 있는 북 콘서트와 인문학 기행 등을 준비 중에 있다고 밝혔다.

[책 속으로 추가]
물메기는 껍질의 얼룩이 표범과 같아서 표어豹魚라고 불렀고 무늬가 있어서 문표어文彪魚라고도 했다. 생긴 모양이 메기와 비슷하고 입이 커서 물메기라고도 부른다. 원래 물메기는 꼼치과에 속하며 정식 학명은 꼬치다. 지역에 따라서는 꼼치, 물미거지, 메거지, 물곰이, 물잠뱅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원래 잡으면 바로 바다에 버려지는 물고기여서 물텀벙이라고도 했다. 그러나 최근 수산과학원에서 미거지, 꼼치, 물메기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각각 다른 물고기라고 밝혔다. 미거지는 울진 이북 해안에서 잡히며 가장 크고 귀한데 색이 누런색이다. 꼼치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잡히고 중간 크기이며 얼룩무늬로 회색이다. 물메기는 주로 서남해안에 잡히고 가장 작은데 약간 누렇고 붉은색을 띤다. 이들을 얼핏 보아선 서로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
- 95쪽, 천대받던 물고기에서 효자 어종으로 변신한 물메기, 꼼치

홍어와 가오리의 구분법은 우선 코의 모양이 홍어는 뾰족하고 가오리는 둥글거나 모가 나 있다. 둘째는 생식기 부분인데 홍어는 수컷의 생식기가 둘이어서 꼬리가 시작되는 부분에 다리처럼 두 가닥의 생식기가 나 있지만 가오리는 없다. 셋째는 꼬리인데 홍어는 굵은 꼬리 윗부분에 지느러미 2개와 가시가 2~4줄 늘어서 있지만 가오리는 가시가 없다. 넷째는 치인데 가오리는 치가 있고 홍어는 없다. 가오리는 날것으로 회, 국, 무침, 구이, 찜을 하고 말려서 찜으로 요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홍어는 싱싱한 것을 구하기 힘들므로 대개의 경우는 암모니아 냄새가 코를 쏘는 맛이 나도록 삭혀서 묵은 김치와 비계가 있는 돼지 수육을 합쳐서 먹는 삼합이 유명하다. 이때 막걸리를 곁들이므로 ‘홍탁’으로도 유명하다.
홍어를 즐기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이 있는데 ‘일코, 이애, 삼익’이라는 말이 있다. 즉 홍어를 먹을 때 가장 맛있는 것이 첫째가 홍어의 코, 즉 홍어 앞의 뾰족한 부분이며, 둘째가 홍어 내장, 즉 홍어 애이며, 셋째가 날개, 즉 지느러미의 결이 진 부분과 꼬리의 뼈가 들어 있는 오도독뼈 부분이고, 마지막이 몸통 살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홍어를 잘 아는 전문가들이 꼽는 별미는 홍어의 아가미인 구섬치인데 이는 갓 잡은 신선한 홍어에서만 맛볼 수 있다. 하루만 지나도 먹지 못하므로 직접 잡는 사람만 아는 진미라고 한다.
- 117쪽, 가오리와 홍어, 무엇이 다를까 가오리, 홍어

청어는 그 이름에서 보듯 대표적인 등 푸른 생선이다. 『우해이어보』에 “진청眞鯖은 청어다. 길이는 한 자 다섯 치이며, 맛은 감미롭고 부드럽다. 구워 먹으면 그 맛이 더욱 좋으므로 참으로 진귀한 생선이라고 할 만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해주에서 나는 청어를 제일로 친다. 한나라 때 다섯 제후들이 매우 호사스러워서 청어를 즐겼는데, 후세 사람들이 물건 중에서 귀한 것을 오후청五侯鯖이라 빗대어 말했다”고 청어의 크기와 맛을 소개하고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즐겨 먹기로는 구워 먹는 방식을 제일로 쳤다.
- 141쪽, 겨울철 별미의 대명사, 과메기 청어

담정은 어희魚?를 숭어의 한 종으로 봤다. 그는 『우해이어보』에서 “숭어는 여러 종류가 있다. 이 중에 어희라는 종류가 있는데, 민간에서는 이것을 ‘숭어 사촌’이라 부른다. 또 ‘모장’이라는 근연종도 있다. 모두 숭어와 비슷하지만, 숭어보다 조금 작다. 그중에 가장 작고 색깔이 흰 것을 ‘아지 모장’이라고 한다”고 했다. 이 글에서 보듯 담정은 숭어보다 조금 작아 숭어 사촌이라 불리는 어희와 그 가운데서 가장 작은 몸집을 가진 하얀 녀석을 아지 모장이라고 했다. 말 그대로 작으니 아지阿只다. 송아지, 망아지, 강아지 등에서 보듯 아지 또는 아기는 어린 것을 이르는 우리 옛말이니 그렇다. 이렇듯 같은 어족에 대해 이런 다른 이름을 가진 숭어는 농어, 방어, 전갱이 등과 더불어 대표적인 출세어出世魚다.
- 176쪽, 숭어 중에서 가장 어린 모치

도다리를 포함한 가자미목 가자밋과와 넙칫과의 가장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가 바로 비목比目이라 한 눈의 위치이다. 『우해이어보』에서는 “눈이 나란히 붙었고, 등은 매우 검다”고 했다. 이것만으로는 가자밋과의 어느 것을 말하는지 알 수 없다. 비목이라 한 것은 변태 이후 눈이 한쪽으로 쏠리고, 배를 바다 바닥에 붙이고 생활하는 습성 때문에 눈이 등에 붙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전부터 중국에서는 이 고기를 몸의 한쪽에만 눈이 있다고 여겨 비목어比目魚라 했던 것이다. 바로 이것이 전설 속의 외눈박이 물고기로 암수 두 마리가 함께 있을 때만 제대로 하나가 된다고 하여 비익조比翼鳥와 더불어 연인과 부부의 금슬을 상징했다. 종종 류시화 시인의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에서처럼 사랑 시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185쪽, 옛날에는 봄도다리가 아니라 가을도다리였다, 도다리

미더덕이라는 이름은 물+더덕으로 알려져 있다. 물은 여러 음으로 변형되는데 미나리, 무지게, 몰밤, 말밤 등에서 앞에 붙은 ‘ㅁ+모음’은 모두 ‘물’이다. 즉 물에서 나는 더덕 모양의 생물, 즉 물더덕이라는 의미이다. 현재 창원시 진동 미더덕은 전국 미더덕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남해안 진동만의 청정 해역에서 자연의 혜택을 물씬 받으면서 자라 향이 독특하면서 입안으로 퍼지는 맛이 일품이다. 게다가 ‘미더덕’은 노화 예방 성분과 항암 효과, 성인병 예방에 탁월하고 동맥경화, 고혈압 및 뇌출혈의 예방에도 아주 좋다는 학자들의 논문이 발표되면서 미더덕은 전국적으로 인기를 누리게 됐다. 미더덕은 불과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다른 지방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바다 생물이었다. 반면 창원 일대에서는 봄철이면 미더덕 찜, 미더덕무침, 냉이 미더덕 된장찌개 등으로 요리되어 애용됐다. 최근에 미더덕이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인기가 폭발적으로 높아지자 미더덕 요리도 다양해졌다. 미더덕 영어조합營漁組合에서는 미더덕 젓갈 및 미더덕 내장을 가공한 덮밥을 특허를 내면서 요리법이 더욱 다양해진 것이다.
- 194쪽, 물에서 나는 더덕, 미더덕

옛 문헌에서는 게를 해蟹 자로 쓰기도 했지만 『현산어보』 같은 책에는 해蟹 자와 함께 궤? 자로도 적었다. 바로 참게를 한자의 뜻과소리를 빌려 진궤眞?라 한 것이 그런 사례다. 게를 궤라 한 것은 남송南宋사람 나원(1136~1184)이 쓴 『이아익爾雅翼』에 “게는 다리가 여덟 개에 집게발이 두 개다. 여덟 개의 다리가 굽어져 무릎을 꿇은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궤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개介라고 적기도 했는데, 『현산어보』에서 갑각류와 패류를 개류介類로 분류한 데서 그런 사례를 볼 수 있다. 옛 문헌에는 게의 특징으로 갑甲으로 묘사된 단단한 껍질과 옆으로 가는 것을 주로 묘사했다. 이런 특이한 보행법은 일찍이 『주례』의 고공기에 “옆으로 가는 것이 게의 한 습성이다”라고 한 것이 시초였다. 이와 같은 게의 보행 특성에 빗대어 옆 방旁 자를 써서 방해旁蟹라거나 횡행개사橫行介士라 의인화해서 부르기도 했다. 또한 후위後魏의 장읍張揖(220~265)이 쓴 『광아廣雅』 같은 책에는 암수를 구분하는 방법을 소개하면서 “대개 배꼽[배마디]이 날카로운 놈이 수놈이고, 배꼽이 둥근 놈이 암놈이다”고 적었다.
- 197쪽, 게

대게는 담정이 『우해이어보』를 쓴 19세기 초반만 하더라도 우해를 비롯한 남해안에서도 두루 잡히던 수산자원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함경북도 연안의 냉수대에서부터 울릉도와 독도 근해, 울진(죽변, 후포), 영덕(강구, 축산), 포항(구룡포), 울산(정자) 등에서 주로 잡힌다. 이런 사실은 당시와 지금의 해양 환경에 큰 차이가 있음을 가리키고 있는 하나의 지표로서 『우해이어보』에 실린 대게와 청어가 잡히던 시기에는 그즈음의 해양 환경이 소빙기小氷期였음을 일러 주고 있다. 『우해이어보』에는 대게를 붉은 게, 자해紫蟹라는 이름으로 소개하고 있다. 자해는 『조선왕조실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같은 이름으로 나오는데, 그 까닭은 몸빛이 붉기 때문이다. 달리 대게를 죽해竹蟹나 죽촌竹寸으로 불렀고, 다리의 마디가 여섯이라 죽육촌竹六寸이라고도 불렀다. 그러나 실제 다리를 떼어 보면, 네 마디뿐인데 짧은 두 마디는 몸통에 붙어 있다. 달리 몸집이 커서 대해大蟹, 발〔다리〕을 강조하여 발게라 부르고 발해拔蟹로 적기도 했다.
- 199쪽, 대게

단원 김홍도(1745~?)의 〈해탐노화도蟹貪蘆花圖〉에 나오는 게가 참게다. 제목은 그림처럼 ‘게가 갈대꽃을 탐하는 그림’으로, 게 두 마리가 갈대꽃을 붙들고 매달려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으레 이런 그림에는 재밌는 사연이 있기 마련이다. 그림에 나오는 갈대의 한자는 노蘆 자인데, 이 글자는 과거 급제자에게 임금이 내려 주는 고기인 려? 자와 중국어 발음이 같은 데서 착안한 것이다. 소리 값이 같은 갈대를 악착같이 붙들고 늘어지는 게처럼 반드시 과거에 합격하라는 축원을 담았다.
또한 그림에 “해룡왕처야횡행海龍王處也橫行”이라는 화제가 있는데, 그 뜻은 “바다 용왕이 계신 곳에서도 게걸음 포기하지 말고 소신껏 횡행橫行하라”는 의미를 담았다. 비록 용왕이 있는 자리라 하더라도 눈치 보지 말고 소신껏 행동하라는 뜻이다. 불현듯 이 그림 속의 게가 공천 때문에 이 눈치 저 눈치 보는 요즈음 정치인들에게 “나처럼 소신 행보하라고 전하라”고 일갈하는 듯하다.
- 203쪽, 참게

담정은 녀석의 특징을 “게와 비슷하지만 색은 온통 희다. 크기는 참게와 같다. 흙냄새가 난다. 이곳 사람들은 흰게라고 부른다”고 했다. 크기가 참게와 같고 몸이 흰색인 게라면 달랑게를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몸빛이희다고 한 것은 모래 색과 비슷한 밝은 미색을 그리 본 것일 게다.
- 208쪽, 달랑게

전복은 『우해이어보』에는 복鰒, 『현산어보』에는 복어鰒魚, 『전어지』에는 생복生鰒으로 나온다. 담정은 『우해이어보』에서 “전복도 조개 종류다. 전복 껍질의 색깔도 조가비 색깔과 같아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전복 껍질을 가짜 조개라고 한다. 전복은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어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살아 있는 것을 생포生包라고 하고, 말린 것을 전복全鰒이라고 한다. 포는 방언으로 전복이라는 말이다. 『한서』 「왕망전」에서 ‘전복을 먹었다’라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고 했다. 이 글에서 왕망이 전복을 먹었다고 하는 고사는 전한前漢에 이어 신新을 세운 왕망(BC45~AD2)이 건국 스트레스로 입맛을 잃고 병서를 읽으며 술과 전복만을 겨우 먹었다는 이야기이다. 이와 아울러 『현산어보』는 조조(155~220)도 전복을 즐겼다고 하는데, 그에게 한 주州에서 바친 양이 겨우 100마리뿐이었다고 하니 그것이 얼마나 귀한 존재였는지 알 만하다.
- 222쪽, 전복

목차

프롤로그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는 어떤 책인가

어류
미식가들이 평생 잊지 못한다는 꼬시래기 문절망둑
생선 식해 중 으뜸인 검은 돔 감성돔
쌀엿처럼 단맛이 나는 보랏빛 물고기 볼락
비를 좋아하는 상비어, 과메기로 최고 학꽁치와 줄꽁치
쥐 고기로 오해하던 추억의 쥐치포 쥐치
ㆍ 사진으로 보는 어류 해설 1

죽음과도 바꿀 수 있는 맛의 유혹 복어
많이 잡히면 그해 흉년이 든다 가래상어
신석기 시대부터 먹은 정어리, 안개가 끼면 나타난다는 멸치
함정으로 꾀어 잡을 수 있는 큰 물고기 부시리
고속도로 휴게소의 대표 간식거리 오징어, 갑오징어
벼 이삭을 먹는 노루물고기라 했던 농어 새끼 껄덕이
ㆍ 사진으로 보는 어류 해설 2

그 맛을 모르면 평생 후회한다는 조기
여름 최고의 보양식, 논밭 다 팔았다는 민어 혹은 철갑상어
천대받던 물고기에서 효자 어종으로 변신한 물메기 꼼치
맛이 일품이어서 용의 알이라 불리던 삼치 알 삼치
죽어도 함께하는 사랑의 물고기 전갱이
무시무시한 독성을 가진 쏘는 물고기 쑤기미
ㆍ 사진으로 보는 어류 해설 3

가오리와 홍어, 무엇이 다를까 가오리, 홍어
이름만으로는 알 수 없는 물고기 윤랑어
24개의 다리를 가진 호사는 어떤 물고기일까 문어류
물고기 이름이 ‘똥고’라고 안반어
오뉴월에 농엇국도 못 얻어먹느냐 까지매기
ㆍ 사진으로 보는 어류 해설 4

바다의 진미 중 으뜸 가숭어
겨울철 별미의 대명사, 과메기 청어
뱅엇국에 허리 부러지는 줄 모른다 뱅어
그리움에 사무친 어떤 영혼 망상어
최고급 횟감으로 치는 황색 물고기 노랑가자미
필자를 당혹케 했던 여름철 고급어 병어
ㆍ 사진으로 보는 어류 해설 5

말의 음경을 닮은 강장제 개불
보리 숭어를 아시나요 숭어
담정 김려가 몰랐던 어린 전갱이 매가리
숭어 중에서 가장 어린 모치
푸른 바다안개를 뿜어내는 이무기 드렁허리
옛날에는 봄도다리가 아니라 가을도다리였다 도다리
ㆍ 사진으로 보는 어류 해설 6

물에서 나는 더덕 미더덕

갑각류와 패류

대게 / 참게 / 돌방게 / 왕밤송이게 / 달랑게 / 꽃게
ㆍ 사진으로 보는 갑각류와 패류 해설 1

조개, 백합
명주조개, 모시조개 와각탕 / 할미조개 / 키조개 / 전복, 꼬막
ㆍ 사진으로 보는 갑각류와 패류 해설 2

소라
황소라, 자주소라 / 앵무조개
ㆍ 사진으로 보는 갑각류와 패류 해설 3

에필로그
참고문헌

우해이어보 번역문
우해이어보 원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