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1(박윤만 박사/대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추천사 2(강대훈 박사/개신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저자 서문
역자 서문
01 복음서 저자들은 개별적인 인물들에게 관심을 가지는가?
1. 인간적인 순간(눅 5:12-16)
2. 내적 변화에 대한 짧은 스토리(눅 5:1-11)
3. 일관된 인물(요 13:2-11, 33-38; 18:8-11)
4. 스토리 꿰기(막 14:27-42, 54, 66-72; 16:7)
5. 틈새 메우기?(눅 22:31-34, 54-62; 24:12, 34)
02 스토리와 신학: 포인트는 무엇인가?
1. 효과(요 20:10-18)
2. 포인트 선명하게 하기(막 6:30-44)
3. 플롯과 인물 묘사 + 강조 + 개념적 관점 = 신학(행 1:12-26)
4. 하나의 초점 혹은 다수의 포인트?(눅 19:1-10)
5. 역사, 신학, 그리고 스토리(막 1:16-39)
6. 합병과 결합: 복음서 내러티브들과 신학에 대한 추가적 의견들
03 구체적 읽기와 네 가지 대안들
1. 상징주의와 알레고리(요 3:1-21; 7:45-52; 19:38-42; 막 8:22-26)
2. 특별한 단어들(요 1:35-39; 막 14:48)
3. 구약성경에 대한 암시(막 1:9-11; 14:32-36; 15:34)
4. 복음서 내 암시들(요 21:15-17)
04 개인들과 다른 관심들
1. 예수님과 부차적인 인물들(막 4:35-41)
2. 기독론과 인물 묘사(요 11:1-44; 12:1-11)
3. 구원 역사와 개인들(눅 1:5-29, 57-80; 요 1:40-42)
4. 개인들과 그룹들(막 8:27-33)
05 개별적 단위들과 전체 복음서들
1. 주제적으로 그룹 지어진 에피소드들(눅 18:9-19:10)
2. 되풀이되는 주제들(막 9:2-8)
3. 내러티브 유비들(마 14:28-31; 16:21-23; 17:1-8, 24-27; 26:35-46, 58, 69-75)
4. 상호 간 연결의 다양한 형태들
06 해석학적 영향들
1. 두 증언: 하나의 기본적 패턴(요 15:26-27)
2. 두 증언: 실제 사역을 위한 영향들
3. 두 증언: 신학적 해석을 위한 영향들
4. 하나님의 전체 성경 메시지의 관점에서의 복음서 해석(마 4:1-11)
5. 내러티브 디자인과 의도성의 수준(마 9:2-8; 14:32-42; 14:66-72)
주제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