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편 첨단 신소재
제1장 나노탄소소재
1. 나노탄소소재 시장 및 기술 동향
1) 나노소재 시장 동향
(1) 나노기술 정의 및 특성
가. 정의
나. 특성
(2) 나노소재 시장 동향
가. 나노소재 유형별 시장 동향
나. 나노소재 성분별 시장 동향
다. 나노소재 응용 분야별 시장 동향
2) 나노탄소소재 산업 환경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범위
(2)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산업 구조
(3) 경쟁환경
(4) 전후방산업 환경
3) 국내외 나노탄소소재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규모
(3) 무역 현황
4) 국내외 나노탄소소재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2) 국내외 업체별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다. 기술인프라 현황
5) 국내외 나노탄소소재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 동향
(2) 국가별 출원 현황
(3) 주요출원인 분석
(4) 국내 출원인 동향
6) 나노탄소소재 합성
(1) 탄소나노튜브 합성
(2) 그래핀 합성
2. 탄소나노튜브 시장 전망과 연구개발 동향
1) 탄소나노튜브 기술 개요
(1) 정의
(2) 물성
가. 강도(Strength)
나. 유연성(Pliability)
다. 금속성 또는 반도체성(Metallic or semiconducting)
라. 탄도 전자 터널링(Ballistic electron tunneling)
(3) 합성 방법
가. 전기방전법(Arc-discharge)
나.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다.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
라. 기상합성법(Vapor Phase Growth)
마. 기타
2) 탄소나노튜브 응용 분야
(1)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2) 고분자 복합재료
(3) 수소저장 및 연료전지
(4) 단전자 트랜지스터 및 메모리소자
(5) Mechatronics 및 이미징
(6) 센서
(7) 전도성 투명전극
3) 국내외 탄소나노튜브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외 제조업체 현황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4) 국내외 탄소나노튜브 연구개발 동향
3. 그래핀 시장 전망과 기술역량
1) 그래핀 개요
(1) 정의
(2) 물리적 특성
(3) 탄소 구조에 따른 분류
가. 흑연
나. 플러렌
다. 탄소나노튜브
라. 그래핀
(4) 그래핀 소재의 합성 공정
가. 물리적 박리법
나. 화학적 박리법
다. 화학기상증착법
라. 에피택셜 성장
2) 그래핀 응용 분야
(1) 투명전극
(2) 발광소재
(3) 에너지소자
(4) 기체투과방지막
3) 그래핀 시장 전망과 사업화 동향
(1) 시장 전망
가. 그래핀 플레이크
나. CVD 그래핀
(2) 사업화 동향
가. 그래핀 플레이크
나. CVD 그래핀
4) 국내외 그래핀 기술역량
(1) 국내 기술개발 동향 및 과제
가. 그래핀 플레이크
나. CVD 그래핀
(2) 국내외 특허 분석
가. 특허출원 동향
나. 플레이크 특허 내용 분석
다. CVD 특허 내용분석
5) 그래핀 관련 정부 R&D 지원 현황
(1) 2차원 나노소재 R&D 정부지원 개괄
(2) 그래핀 플레이크
(3) CVD 그래핀
제2장 고방열・고내열 소재
1. 고방열 소재 산업 환경
1) 고방열 소재 정의 및 범위
(1) 정의
(2) 분류
가. 제품분류 관점
나. 소재 분류 관점
2) 고방열 소재 산업 환경 분석
(1)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 산업 환경
2. 고방열 소재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국내외 고방열 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규모
(3) 무역 현황
2) 국내외 고방열 소재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LED 패키징 기술
나. 고열전도성 접착소재
다. 고방열 고내열 하이브리드 점착소재
라. 차량 탑재용 방열 재료의 기술개발
(2) 국내외 업체별 기술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국내외 방열 소재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출원인 분석
(4) 국내 출원인 동향
3. 고방열・고내열 소재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연구 동향
(1) 열전도성 물질
(2) Thermal Interface Materials(TIM)
(3)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최근 연구동향
가. 고분자/금속 복합재료
나. 세라믹 복합 재료
다. 탄소 복합 재료
2) 질화붕소나노튜브(BNNT)의 산업적 응용
(1) 정의 및 특성
가. 정의
나. 특성
(2) 제조방법
가. 아크-방전법
나. 레이저 Ablation/heating
다. Chemical Vapor Deposition
라. 볼밀링-열처리법
(3) 산업적 응용
가. 전기전자
나. 우주-원자력
다. 에너지
라. 바이오메디칼
3) 방열부품용 알루미늄 합금 기술 현황
(1)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필요성
가. 고방열 경량 소재 개발의 중요성
나. 경량 부품소재 산업
(2) 국내외 관련 기술 현황
(3) 기술개발 시 예상되는 기술적・경제적 파급 효과
가. 기술적 효과
나. 경제적 효과
4) 방열시트 기술 동향
(1) 개요
(2)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종류
가. 고분자/금속 복합재료
나. 세라믹 복합 재료
다. 탄소복합재료
(3) 방열소재 관련 기술 동향
5) 전자회로기판 기술 동향
(1) 개요
(2) 산업 현황
가. 국내 산업 현황
나. 수출입 동향
다. 부문별 산업 현황
(3) 기술 동향
가. HDI 기술
나. 연성기판기술
다. Coreless IC 기판
라. 부품내장 기판
마. 방열 기판
바. 저손실기판 소재
6) 자동차용 고방열 탄소/고분자 복합소재 기술 동향
(1) 개요
(2) 기술 동향
(3) 시장 동향
7) 고온내열 소재 연구 동향
(1) Ni 기지 초내열 합금
(2) 고융점 금속 기지 초내열 합금
(3) 고온 세라믹스 및 복합재료
제3장 전자파 차폐 소재
1. 전자파 관련 현황
1) 전자파 개요
(1) 정의
(2) 구분
(3) 인체영향
(4) 유해성
2)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동향
(1) 국제 공동연구 현황
가. Interphone Study
나. Mobi-Kids Study
다. GERoNiMO 프로젝트
라. LEXNET Project
(2) 국내 연구 현황
가. 분야별 연구 현황
나. 연구기관별 연구 동향
3) 전자파 관련 법・제도
(1) 전자파 관련 규제
가. 전자파 발생량
나. 전자파흡수율
다. 전자파 등급제
(2) 전자파 차단제품 관련 규제
(3) 표시・광고 관련 규제
가. 부당한 표시광고 행위의 금지
나. 표시광고 내용의 실증
다. 시정조치
라. 손해배상책임
2. 전자파 차폐 관련 시장 동향과 업체 현황
1) 전자파 차폐 기술 정의
2) 전자파 차폐 관련 시장 동향
3) 전자파 차폐 관련 업체 현황
(1) 해외 기업 현황
(2) 국내 업체 현황
가. 핵심시장
나. 응용시장
3. 전자파적합성(EMC) 부품 산업 동향
1) EMC 개요
(1) 정의
(2) 필요성
(3) 특성 및 적용분야
2) EMC부품 산업 동향
(1) EMC부품 산업 현황
(2) 전방산업 전망 및 EMC 환경 변화
4. 전자파 차폐 소재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자동차 전자파 차폐용 탄소복합소재 기술 전망
(1) 전자파 차폐 필요성의 증대
(2) 자동차 전자파 차폐용 탄소복합소재 시장 동향
(3) 자동차 전자파 차폐용 탄소 복합소재 기술 전망
2) 전자파 차폐 섬유 기술에 관한 특허 동향
(1) 전자파 차폐 섬유 특허 등록 현황
(2) 의류에 적용된 전자파 차폐 섬유 특허
(3) 스티커형 전자파 차폐 기술의 특허 동향
(4) 휴대폰 케이스에 적용된 전자파 차폐 기술 특허 동향
(5)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춘 액세서리
3) 전자파 차폐용 금속/탄소 소재 기술
(1) 기술 개요
(2) 기술개발 현황
가. 기존 기술의 문제점
나. 본 기술의 해결방안
(3) 기술의 우수성
4)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전자파 차폐 소재기술
(1) 기술 개요
(2) 기술개발 현황
가. 기존 기술의 문제점
나. 본 기술의 해결방안
(3) 기술의 우수성
제4장 3D 프린팅 소재
1. 3D 프린팅 개요
1) 3D 프린팅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분류
2) 3D 프린팅 기술 분류
(1) 3D 프린팅 방식에 따른 기술 분류
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나. PolyJet
다.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라.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마. DLP(Digital Lighting Process)
(2) 3D 프린팅의 기술 방식 분류
3) 3D 프린팅의 특성
(1) 강점
가. 높은 디자인 가변성
나. 기존 공정으로 생산 불가능한 제품의 효율적인 구현
다. 제조업 공정 단축
(2) 약점
가. 기기에 의한 제작 속도와 제품 크기·완성도 제약
나. 사용 가능한 소재의 한정으로 내구성 부족
다. 지적재산권 침해 및 안전성 이슈
(3) 응용 분야
가. 일반 제조
나. 바이오·의료
다. 생활용품·기타
(4) 혁신 요소
가. 공정 혁신
나. 제조업 생태계 변화
다. 디자인 혁신
2. 3D 프린팅 산업 동향
1) 국내외 3D 프린팅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2) 3D 프린팅 세부 시장 동향
(1) 산업용 시장
(2) 개인용 시장
(3) 기술의 활용분야
3) 국내외 3D 프린팅 업체 현황
(1) 해외 업체 동향
(2) 국내 업체 현황
4) 국내외 3D 프린팅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5) 3D 프린팅의 핵심요소기술 동향
(1) 3D 프린팅 설계 기술 동향
(2) 3D 프린팅 제조(공정) 기술 동향
3. 3D 프린팅 소재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3D 프린팅 소재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산업 구조
(4) 경쟁환경
(5) 전후방산업 환경
2) 3D 프린팅 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무역현황
3) 3D 프린팅 소재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폴리머 소재
나. 금속 소재
다. 세라믹 소재
라. 바이오 소재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3D 프린팅 소재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4) 주요출원인 분석
(5) 국내 출원인 동향
4. 3D 프린팅 소재별 기술개발 동향
1) 고분자 소재 현황과 연구방향
(1) 3D 프린팅 소재의 연구
(2) 3D 프린팅 소재의 연구개발 현황
(3) 자동차 산업과 3D 프린팅 고분자 소재
(4) 금속소재 관련 주요 프로젝트 개발현황
가. Aerospace Bracket 개발
나. 경사 기능재료(Functionally Graded/Gradient Materials, FGM)
다. 임베디드 부품 개발
(5) 국내 3D 프린팅 플라스틱 소재 연구 방향
2) 금속 소재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3D 프린팅의 금속계 소재와 제품
가. 금속계 소재
나. 금속계 제품
(2) 금속재료용 3D 프린팅 시장 동향
(3) 금속재료용 3D 프린팅 핵심 기술 동향
(4) 금속재료용 3D 프린팅 적용 소재 현황
(5) 금속재료 3D 프린팅 관련 기업 동향
가. 독일
나. 스웨덴
다. 미국
라. 일본
마. 한국
(6) 금속재료 3D 프린팅 관련 연구 동향
3) 세라믹 소재 기술 현황
(1) 세라믹 3D 프린팅 개요
가. 정의
나. 세라믹 3D 프린팅
다. 기술 수준
(2)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 비교
(3) 세라믹 3D 프린팅의 다양한 방식
가. 접착제 분사 방식
나. 재료압출방식
다. 광중합 방식 : SLA, DLP
라. 분말적층용융방식 : SLS, SLM
마. Sheet lamination 방식
(4)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적용 분야
가. 도자기 및 예술품
나. 의료・바이오 분야
다. Sand casting mold & core
라. 건설
마. 기타
(5) 국내외 세라믹 3D 프린팅 현황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4)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동향
(1) 개요
가. 정의
나. 배경
다. 주요 특징
(2) 3D 바이오 프린팅 소재
(3) 바이오 프린팅 방법
(4) 3D 바이오 프린팅 프로세스
가. 인공지지체 기반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나. 3D 세포 프린팅 기술
(5)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개발 동향
가. 인공 피부
나. 인공 간
다. 인공 심근
라. 인공 근육
마. 인공 뼈
바. 인공 혈관
제Ⅱ편 화학소재
제1장 기능성 코팅/필름 소재
1. 기능성 코팅 소재 산업 현황
1) 기능성 코팅 소재 개요
(1) 정의
(2) 필요성
(3)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4) 산업 특징
2) 기능성 코팅 소재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외 업체 현황
가. 해외 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3) 국내외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환경 친화적 소재와 기술
나. 고부가가치 특수 기능성 코팅/필름
다. 경쟁력과 원천 소재 기술 확보 노력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4) 국내외 기능성 코팅 소재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2. 기능성 필름 소재 산업 현황
1) 기능성 필름 소재 개요
(1) 정의
(2) 필요성
(3)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4) 산업 특징
2) 기능성 필름 소재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외 업체 현황
가. 해외 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3) 국내외 기능성 필름 소재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4) 국내외 기능성 필름 소재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5) 기능성 필름 활용분야별 기술 동향
(1) 자동차용 필름
가. 기술 현황
나. 스마트 윈도우 기술개발 동향
(2)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필름
가. 정의
나. 핵심기술
다. 산업의 특징
라. 경쟁환경
마. 전후방산업 환경
바. 국내외 시장 동향
사. 기술개발 트렌드
아.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3) ITO 대체소재를 이용한 투명전극 필름 특허출원 동향
제2장 점・접착 소재
1. 점・접착제 개요
1) 점・접착제 정의 및 분류
(1) 정의
가. 접착제
나. 점착제
(2) 필요성
(3)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점・접착제 산업 환경
(1) 산업의 특징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2. 점・접착제 시장 동향
1) 세계 점・접착제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점・접착제 시장 현황 및 전망
3. 점・접착제 기술 및 특허 동향
1) 국내외 점・접착제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친환경화
나. 특수 기능성 점・접착제
다. 시장 경쟁력과 원천 및 기능성 기술 확보 노력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2) 국내외 점・접착제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출원인 분석
(4) 국내 출원인 동향
4. 점・접착제 활용분야별 동향
1) 자동차용 접착제
(1) 자동차 접합 및 체결 기술
가. 자동차 산업에서의 접합기술 동향
나. 접합 및 체결기술
다. 다양한 공정의 적용성 검토
(2) 자동차 경량화의 구조용 접착제
가. 차체에 구조 접착 사용 현황
나. 코팅되지 않은 금속 기재의 구조용 접착 동향
다. 복합재료 및 코팅된 금속 기재의 구조용 접착 동향
라. 체강용 강화 폼
2)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
(1) 디스플레이 주요 동향
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나. OLED 디스플레이
다. 터치스크린패널
(2)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소재
가. 광학(필름)용 점착제
나. 실링을 위한 접착제
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점・접착제
3) 의료용 화학 접착제
(1) 상품화되었거나 상품 개발 중인 접착제
가. 시안화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나. 피브린 글루
다. 폴리우레탄 접착제
(2) 그 외의 최신 연구 동향
4) 홍합 소재 의료접착제
(1) 홍합 접착의 이해
(2) 홍합 의료접착제 현황
가. 개발 현황
나. 홍합 접착단백질 설명
제3장 자동차용 화학소재
1. 자동차 시장 전망과 R&D 동향
1) 자동차 산업의 핵심경쟁력 변화 방향
(1) 자동차의 진화에 따른 핵심경쟁력의 변화
가. 시스템의 지능화
나. 동력원의 전기화
다. 차체의 경량화
(2) 자동차산업 가치사슬의 변화
가. 소재
나. 부품
다. 완성차
라. 인프라
(3) 산업구조 재편 전망
가. IT/SW/첨단소재 부상
나. 개방적 거래구조 형성
다. 정부의 역할 증가
2) 국내외 자동차 시장 동향
(1) 해외 주요국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3) 해외 주요국 자동차 생산 전망
(1) 미국
(2) 중국
(3) 인도
(4) 멕시코
(5) 아세안
(6) 브라질
(7) 러시아
4) 국내외 자동차 분야별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가. 엔진기반차
나. 하이브리드차
다. 수소연료전지차
(2) 국내 R&D 동향
가. 엔진기반차
나. 하이브리드차
다. 전기차
라. 수소연료전지차
5) 국내외 R&D 투자 동향
(1) 세계 R&D 투자 동향
(2) 국내 R&D 투자 동향
2. 자동차용 소재의 변화 방향
1) 자동차 소재의 진화 방향
(1) 경량화(Light-weight)
가. 고장력강판
나. 알루미늄
다. 탄소섬유복합재료(CFRP)
(2) 친환경 소재(Eco-friendly)
(3) 지능형/특수 기능 소재(Intelligence)
2) 자동차 경량화 전략
(1) 자동차 구조 합리화를 통한 경량화
(2) 재료 치환(신규소재)를 사용한 경량화
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경량화 추구
나. 알루미늄을 사용한 경량화 추구
다. 마그네슘을 사용한 경량화 추구
(3) 자동차 제조 공법을 활용한 경량화 방법
3) 자동차 경량화 소재의 분야별 특성
(1) 자동차 경량화 소재 구분
가. 금속 소재
나. 고분자 소재
(2) 자동차 경량화 소재의 특성
가. 경량금속
나. 고분자 소재
4) 자동차 경량화 기술개발 동향
(1) 단일 금속 소재 대체 경량화
(2) 다중 금속 소재 경량화
(3) 다중 금속 및 고분자 소재 융합 경량화
5) 자동차 경량화 R&D 지원 동향
(1) 주요국 경량화 기술정책 및 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기술 선진국의 수송기기 경량화를 위한 R&D 지원 프로그램의 장단점
(2) 국내 기술개발 지원 현황
3. 자동차용 화학소재 분야별 기술 동향
1) 범용 플라스틱
(1) 제품별 시장 현황
가. PP(폴리프로필렌)
나.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다. PE(폴리에틸렌)
2)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1) EP 개요
가. EP 정의
나. 5대 범용 EP
다. 자동차 분야 적용 비중
(2) 세계 EP 시장 규모 및 제품별 특징
가. 시장 규모
나. 5대 EP 제품별 시장 규모 + PC/PA 용도
다. EP 주요 수요지역
라. 5대 EP 제품별 특징
(3) EP 제품별 시장 현황
가. PA(PA6;폴리아미드6/PA66;폴리아미드66)
나. PC(폴리카보네이트)
다. POM(폴리아세탈)
라. PBT(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4) EP 부품 비중 현황
3)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P)
(1) 슈퍼 EP 종류
가. 불소수지(FR)
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다. 폴리아릴레이트(PAR)
라. 액정폴리마(LCP)
마. 폴리설폰계 수지(PSU)
바. 폴리에테르설폰(PES)
사.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PEEK)
아. 폴리아미드이미드(PAI)
자.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차. 열가소성 폴리이미드(TPI)
(2) 슈퍼 EP 시장 동향
(3) 슈퍼 EP 적용 분야 및 시장 전망
4) 복합소재
(1) 자동차용 미래 섬유 기술개발 동향
가. 자동차용 섬유소재
나. 자동차 부품별 섬유 소재
(2) 탄소섬유강화 복합재(CFRP) 시장 전망과 기술 현황
가. 탄소섬유의 용도 및 특성
나. CFRP 용도 및 특성
다. CFRP 시장 현황 및 전망
라. CFRP 기술 동향
마. CFRP 기술개발 방향
(3)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플라스틱(LFT) 시장 현황
가. LFT 종류
나. LFT 시장 현황
5) 바이오 소재
6) 지능형/기능성 소재
제4장 기능성 화장품 소재
1. 화장품 산업 동향
1) 화장품 산업 개요
(1) 산업의 특징
(2) 신성장 산업으로의 중요성
2) 국내외 화장품 산업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산업 현황
3) 화장품 기술 동향 및 이슈
(1) 천연물 중심의 화장품 소재 확대
(2) 미백기능을 강조한 화장품 소재 기술개발 활발
2. 화장품 원료산업 주요 동향
1) 국내외 화장품 원료산업 동향
(1) 세계 원료산업 특징
(2) 국내 원료산업 동향
가. 전방산업 호황에 따른 중장기 구조적 성장
나. 기능성 화장품 원료 사용 비중 증가 추세
다. 국내 생물자원 원료 확보 시급- 국내 원료업체 수혜
2) 국내외 화장품 원료 시장 현황
(1) 해외 시장 현황
가. 중국
나. 미국
다. 일본
(2) 국내 시장 현황
3) 국내외 화장품 원료회사 현황
(1) 국내 화장품 원료회사 현황
(2) 해외 화장품 원료회사 현황
3. 기능성 화장품 소재산업의 주요 동향
1)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개요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분류
(2) 산업 특징
2)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동향
(1)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접근방법
(2)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방식
가.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동향
나. 기능성 제제기술 개발 동향
3) 국내외 기능성 화장품 소재 시장 동향
(1) 기능성 화장품 및 소재 시장의 확대
(2) 기능성 화장품 소재 관련 국제적 흐름 변화
4) 국내외 기능성 화장품 소재 업체 현황
(1) 해외 업체 및 제품 현황
(2)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5) 국내외 기능성 화장품 소재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제5장 분리막 소재
1. 분리막 소재 산업 환경
1) 분리막 개요
(1) 분리막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분리막 소재 분류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분리막 공정 운전방식
가. 순환여과
나. 전량여과
다. 정유량 여과방식
라. 정압 여과방식
(4) 분리막 재질별 특징
가. PES(Polyethersulfone)
나.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다.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라. PA(Polyamide)
마. CA(Celluloseacetate)
바. PAN(Polyacrylonitrile)
사. PP(Polypropylene)
아. PE(Polyethylene)
자. PS(Polysulfone)
차. PVA(Polyvinylalcohol)
카. Ceramic
(5) 분리막의 형태별 특징
가. 관형막 모듈(Tubular module)
나. 평막 모듈(Flat sheet module)
다. 중공사 모듈 (Hollow fiber module)
라. 나권형 모듈(Spiral wound module)
2) 분리막 소재 산업 환경
(1)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2. 분리막 소재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국내외 분리막 소재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3) 무역 현황
2) 국내외 분리막 소재 관련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신규 분리막 소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 증대
나. 이차전지 분리막 개발에 대한 필요성 증대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3) 국내외 분리막 소재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출원인 분석
(4) 국내 출원인 동향
3. 분리막 소재 활용분야별 동향
1) 수처리용 분리막
(1) 해외 수처리용 분리막 현황
가. 종류별 시장 현황
나. 재질 및 운영 동향
다. 세라믹 동향
라.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 및 시장성장 추이
(2) 국내 수처리용 분리막 현황
가. 시장 점유율
나. RO 특허 동향
다. RO 16 inch 모듈 개발
라. MF 시장
마. 분리막 재질 및 운영 특성
바. 세라믹 동향
사. 국내 분리막 제조업체 동향
아. 국내 분리막 제조 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 연구과제 추진 현황
자. 분리막 산업의 문제점
2) 산가스 제거 분리막
(1) 분리 원리
(2) 상용화된 산가스 제거 분리막
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기반 분리막
나. 폴리이미드(PI) 분리막
다. 과불소계(PFP) 분리막
(3) 상용화 분리막의 성능 안정성
3) 이차전지 분리막
(1) 개요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산업의 특징
(2)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세계 동향
나. 국내 동향
(3)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