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3
1부. 영화적 미장아빔으로 보라 <만춘>(오즈 야스지로, 1949) : 하나의 이야기에 함축된 다양한 의미 11 <사랑과 죽음>(우디 앨런, 1975) : 영화와 소설의 모자이크 24 <미치광이 피에로>(장 뤽 고다르, 1965) : 고다르 텍스트의 원류와 36
영화적 미장아빔으로 배치된 텍스트의 흔적들 <춘몽>(장률, 2016) : 전작을 알면 보이는 것들 52
2부. 영화적 재현의 한계를 찾아라 <정오의 낯선 물체>(아피찻퐁 위라세타쿤, 2000) : 69 이야기의 근원을 향하는 영화적 시공간 <히든>(미카엘 하네케, 2005) : 누구의 시선인지 의심하라 83 <산하고인>(지아장커, 2015) : 반복과 차이가 만드는 하나의 이야기 94 <캐롤>(토드 헤인즈, 2016) : 성소수자가 영화를 전유하는 방식 105 <자가당착: 시대정신과 현실참여>(김선, 2009) : 116 영화를 넘어선다는 것, 그리고 세상에 말을 건다는 것
3부. 영화적 환상의 세계를 만나라 <황금시대>(루이스 부뉴엘, 1930) : 꿈과 환상은 욕망의 무대화 131 <멀홀랜드 드라이브>(데이비드 린치, 2001) : 붉은 커튼 너머 금기의 세계 143 <홀리 모터스>(레오 카락스, 2012) : 재현된 영역 내에 재현되지 않은 부분 155
참고문헌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