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의 말 ㆍ 7
지은이 서문 ㆍ 15
감사의 말 ㆍ 21
서론 분석철학이란 무엇인가? ㆍ 23
지도적인 분석철학자들 ㆍ 29
1 러셀과 무어 ㆍ 33
경험주의, 수학, 기호논리학 ㆍ 33
논리주의 ㆍ 38
한정기술에 관한 러셀의 견해 ㆍ 48
G. E. 무어의 상식철학 ㆍ 57
감각자료에 관한 무어와 러셀의 견해 ㆍ 61
무어와 러셀의 반헤겔주의 ㆍ 65
요약 ㆍ 72
2 비트겐슈타인, 비엔나 학단, 논리 실증주의 ㆍ 83
머리말 ㆍ 83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철학론』 ㆍ 85
역사에 대한 짧은 언급: 비엔나 학단과 그 동맹자들 ㆍ 99
형이상학 제거와 논리 실증주의 프로그램 ㆍ 100
비엔나 학단의 서거 ㆍ 113
논리 실증주의자들의 영향 ㆍ 115
3 논리 실증주의에 대한 반응: 콰인, 쿤, 미국 실용주의 ㆍ 125
머리말 ㆍ 125
검증가능성 유의미성 기준의 서거 ㆍ 127
분석/종합 구별에 대한 콰인의 거부 ㆍ 133
독단 없는 콰인 식 경험주의 ㆍ 138
콰인 이후 미국 실용주의자들: 넬슨 굿맨, 리처드 로티,
힐러리 퍼트넘 ㆍ 158
4 옥스퍼드 일상언어철학과 후기 비트겐슈타인 ㆍ 183
머리말 ㆍ 183
형식주의에 대한 공격―스트로슨과 라일 ㆍ 189
언어철학―오스틴과 비트겐슈타인 ㆍ 195
심리철학―라일, 스트로슨, 비트겐슈타인 ㆍ 209
감각자료 이론에 대한 거부 ㆍ 223
일상언어철학의 유산 ㆍ 232
5 일상언어철학에 대한 반응: 논리, 언어, 정신 ㆍ 241
제1부 형식논리학과 언어철학 ㆍ 242
괴델과 타르스키 ㆍ 242
데이비드슨 ㆍ 249
그라이스 ㆍ 260
카르납―의미와 필연성 ㆍ 266
촘스키 ㆍ 268
제2부 심리철학 ㆍ 272
기능주의 ㆍ 272
기능주의에 대한 반론―박쥐와 중국어 방 ㆍ 279
변칙적 일원론 ㆍ 284
정신적 인과의 문제 ㆍ 287
6 형이상학의 부활 ㆍ 301
양상논리학 ㆍ 301
가능세계 ㆍ 312
표준이 되는 가능세계 개념의 문제 ㆍ 318
통세계 동일성과 동일성 확인 ㆍ 327
존재론적 논증의 양상 버전 ㆍ 336
7 명명, 필연성, 자연종: 크립키, 퍼트넘, 도넬란 ㆍ 349
머리말 ㆍ 349
의미와 언급에 대한 전통적 이론 ㆍ 350
전통적 이론에 대한 크립키와 도넬란의 비판: 이름과 기술 ㆍ 354
자연종 용어 ㆍ 360
새 언급이론의 문제 ㆍ 367
심리철학에 대한 새 언급이론의 적용 ㆍ 372
의미와 언급의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기초 ㆍ 376
8 분석적 전통에서 윤리학과 메타윤리학 ㆍ 383
머리말 ㆍ 383
G. E. 무어의 『윤리학원리』 ㆍ 385
C. L. 스티븐슨의 비인지주의 ㆍ 391
R. M.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 ㆍ 394
실질 윤리학으로의 귀환 ㆍ 398
사실/가치 구분 의문시하기 ㆍ 403
피터 싱어와 동물해방 ㆍ 407
존 롤스의 정의론 ㆍ 412
9 맺는말: 분석철학의 오늘과 내일 ㆍ 433
1980년 이래 분석철학 ㆍ 433
분석철학의 미래는 무엇인가? ㆍ 462
참고문헌 ㆍ 471
찾아보기 ㆍ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