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시작하며 60점짜리 아빠, 100점짜리 역사 ‘선생님’
이 책을 추천하며 역사 공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책
교과서보다 더 교과서 같은 중학교 역사 지침서
Ⅰ 우리 역사는 어떻게 시작했을까? : 문명 형성과 고조선 성립
01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 : 역사의 의미와 역사 학습의 목적
주지육림과 트로이 목마는 실제로 있었던 사건일까?ㆍ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왜 한국사와 세계사를 함께 공부해야 할까?ㆍ역사 공부의 목적|역사 연구에 사료가 중요한 까닭은?ㆍ역사 학습 방법
History Mind Map _ 사실로서의 역사 vs 기록으로서의 역사|역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02 농경 생활이 세상을 바꾸다 : 인류의 출현과 선사 문화
손이 자유로워지면서 진화가 시작되다ㆍ인류의 출현과 진화|최초의 도구는 깨진 돌멩이였다ㆍ구석기 시대의 특징|매머드 화석이 한반도에서 발견된 까닭은?ㆍ만주와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특징|농경이 바꾼 세상ㆍ신석기 혁명의 의의와 특징|무리가 커지고 종교가 발생하다ㆍ신석기 시대의 변화와 특징
History Mind Map _ 초기 인류의 진화 단계|농업 혁명에 따른 인류 생활의 변화
03 청동기가 탄생하고 4대 문명이 발전하다 : 문명의 발생과 국가의 출현
큰 강 주변에서 문명이 태동하다ㆍ세계 4대 문명의 탄생과 공통점|함무라비 법전 이전에 최초의 법전이 있었다ㆍ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전|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한 지배자들ㆍ소아시아와 서아시아 도시 국가의 발달|피라미드와 미라는 왜 만들었을까?ㆍ이집트 문명의 발전|인도의 카스트 제도는 왜 생겨난 걸까?ㆍ인더스 문명의 발전과 몰락|중국 봉건제는 유럽 봉건제와 어떤 점이 다를까?ㆍ중국 문명의 탄생과 발전
History Mind Map _ 문명은 어떻게 발생했을까?|4대 문명의 특징
04 한반도, 왕국 시대로 돌입하다 :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거대한 고인돌을 왜 만들었을까?ㆍ한반도 청동기 문화의 특징|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되었을까?ㆍ고조선의 성립|고조선은 ‘법’으로 통치한 나라였다ㆍ고조선의 성장과 멸망|흰 옷을 즐겨 입은 부여 사람들ㆍ만주 지역 부여와 고구려의 성장|소도에 죄인이 들어가면 군장도 손을 놓은 이유는?ㆍ한반도의 옥저, 동예, 삼한의 발전
History Mind Map _ 청동기 시대에 나타난 대표적인 특징|고조선의 영토 변화를 알려 주는 대표적인 유물들
Ⅱ. 세 나라가 천하를 다투다 : 삼국의 성립과 발전
05 삼국(三國) 시대인가, 사국(四國) 시대인가? : 삼국의 체제 정비와 가야의 성장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긴 까닭은?ㆍ고구려의 체제 정비(1~4세기)|백제 고분과 고구려 고분은 왜 비슷할까?ㆍ백제의 체제 정비와 확장(3~4세기)|신라에서는 왕을 어떻게 불렀을까?ㆍ신라의 체제 정비|귀족이 강했을까, 왕이 강했을까?ㆍ삼국의 정치 체제와 신라 골품제|가야가 있다면 사국 시대가 맞는 게 아닐까?ㆍ가야 연맹의 성립과 부여의 멸망
History Mind Map _ 지도를 통해 알아보는 한반도 국가의 변천 과정|제국과 왕국 / 중앙 집권과 지방 분권|왕권 강화의 과정
06 만주의 고구려, 떠오르는 신라 : 삼국과 가야의 발전과 경쟁
고구려, 동북아시아 제패하다ㆍ광개토 대왕의 영토 확장(5세기)|98세까지 살았던 왕ㆍ고구려 장수왕의 남진 정책(5세기)|백제, 부활할 수 있을까?ㆍ백제의 재기 노력과 제2의 중흥(5~6세기)|신라, 나중에 난 뿔이 무섭다ㆍ신라의 체제 정비 및 팽창(6세기)|가야와 부여가 성장하지 못하고 멸망한 까닭은?ㆍ후기 가야의 성장과 멸망
History Mind Map _ 지도를 통해 보는 삼국의 한반도 세력 변화
07 삼국 시대의 문화, 어디까지 전해졌을까? : 삼국과 가야의 문화와 해외 교류
온화한 미소가 아름다운 불상들ㆍ삼국 불교 예술의 발전|신선을 꿈꾼 귀족들ㆍ고구려와 백제의 도교 발전|고분의 특징을 알면 삼국 역사가 보인다ㆍ삼국 고분의 특징과 변화|불교만 발달한 게 아니다ㆍ삼국의 유학과 천문학 및 예술의 발전|씨름도에 서역 사람이 등장하는 까닭은 무엇일까?ㆍ삼국의 해외 교류와 일본 진출
History Mind Map _ 불상과 탑의 이름을 짓는 규칙|유물과 유적을 통해 나타나는 삼국의 관계와 대외 교역
Ⅲ. 남북에 두 나라가 공존하다 :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08 신라, 한반도를 하나로! : 고구려의 대외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고구려 때문에 기울기 시작한 중국의 수ㆍ수의 침략과 살수 대첩|고구려, 당도 꺾을 수 있을까?ㆍ당의 침략과 안시성 싸움|백제 멸망 후 왜선이 금강에 나타난 까닭은?ㆍ백제의 멸망과 부흥 운동|백제가 멸망한 후 당은 왜 한동안 고구려를 정복 못했을까?ㆍ고구려의 멸망과 부흥 운동|처음으로 민족을 통일했지만 뒤끝이 개운치 않다?ㆍ삼국 통일의 의의와 한계
History Mind Map _ 한반도 삼국의 건국과 멸망, 그리고 통일|한반도 정세에 따른 삼국의 동맹 관계
09 신라와 발해, 이름을 떨치다 :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통일 신라 시대가 아니라 남북국 시대ㆍ7~10세기 한반도에 대한 이해|화백 회의가 약해진 까닭ㆍ통일 신라의 체제 정비|누가 발해를 중국 역사라 하는가ㆍ발해의 건국|흥망성쇠 230여 년, 발해의 정치를 들여다보다ㆍ발해의 정치 체제 정비 및 성장
History Mind Map _ 발해 다시 보기
10 불교, 찬란하게 꽃 피다 : 남북국의 문화 발전 및 대외 교류
아미타불만 외면 누구나 부처가 된다ㆍ통일 신라 불교 사상의 발전|석굴암에는 어떤 과학이 숨어 있을까?ㆍ불교 건축 및 예술의 발전|이두를 왜 만들었을까?ㆍ통일 신라 유학의 발전|활발한 교역, 어디까지 뻗어 갔을까?ㆍ통일 신라의 대외 교류
History Mind Map _ 통일 신라 시대 vs 남북국 시대|발해의 의미
11 영웅들, 다시 천하를 다투다 : 신라 말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
왕 한 명당 통치 기간이 평균 7년 6개월ㆍ귀족들의 권력 투쟁과 농민 봉기|성공하려면 지방에 터전을 잡아라?ㆍ호족의 등장과 선종의 유행|궁예는 왜 폭군이 되었을까?ㆍ후삼국 시대의 성립|발해의 정신은 완전히 사라졌을까?ㆍ발해의 멸망
History Mind Map _ 우리 민족이 세운 나라들
Ⅳ ‘코리아’의 명성을 떨치다 : 고려의 성립과 변천
12 고려는 귀족들의 나라였을까? : 고려의 성립과 귀족 사회의 발전
민족을 다시 하나로ㆍ민족의 완벽한 통일|왕건은 왜 29명의 아내를 두었을까?ㆍ태조의 건국 이념|귀족들이 과거 시험을 반대한 까닭은?ㆍ광종의 왕권 강화 정책과 과거제 시행|인품이 좋으면 토지를 주었다?ㆍ토지 제도의 개편과 전시과 시행|귀족 사회가 탄생하다ㆍ고려 전기의 체제 정비|싸우지 않고 영토를 얻다ㆍ거란의 침입과 격퇴|여진의 성장이 고려에 미친 영향은?ㆍ여진의 성장과 동북 9성 축조|코리아를 세계에 알리다ㆍ고려 전기의 활발한 대외 교류
History Mind Map _ 왕권 강화를 위한 정책들
13 무인의 패기인가, 역사의 후퇴인가? : 무신 정권의 성립과 흥망
묘청과 김부식, 누가 옳을까?ㆍ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펜이 강할까, 칼이 강할까?ㆍ무신 정변과 무신 정권 수립|자신의 집에서 국정을 본 통치자ㆍ최씨 정권의 성립|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느냐?ㆍ농민·천민 봉기
History Mind Map _ 나라의 수도를 옮기는 것의 의미
14 고려는 몽골과 어떤 관계였을까? : 대몽 항쟁과 자주적 개혁 추진
정복자 칭기즈 칸의 탄생ㆍ몽골의 등장|백성은 누구를 믿어야 하나?ㆍ대몽 항쟁의 전개|원의 내정 간섭을 환영한 사람들ㆍ원의 내정 간섭과 권문세족의 성장|고려의 불씨를 살릴 수 있을까?ㆍ공민왕의 자주적 개혁|신진 사대부가 힘을 얻으면 귀족 사회는 몰락한다?ㆍ고려 말 신진 세력의 등장|이성계는 요동 정벌을 왜 반대했을까?ㆍ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
History Mind Map _ 고려의 지배 세력 변화
15 금속 활자를 처음 사용하다 : 고려의 예술·문화 및 해외 교류
고려 전기의 불상은 왜 클까?ㆍ고려 시대 불교 예술의 발달|성균관은 고려 전기에 만들어졌다?ㆍ불교와 유학 및 도교의 발달|서양보다 200년 앞서 금속 활자를 발명하다ㆍ인쇄술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세계가 놀라는 고려청자의 비법은 뭘까?ㆍ고려청자와 고려의 공예
History Mind Map _ 예술품에 나타난 시대상과 국민의 의식 변화|고려 시기의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