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상담의 기술

상담의 기술

  • Allen E. Ivey
  • |
  • 센게이지러닝코리아
  • |
  • 2017-09-01 출간
  • |
  • 500페이지
  • |
  • 191 X 261 X 20 mm /978g
  • |
  • ISBN 9788962184174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32,0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옮긴이의 말]
대화로 이루어지는 상담에서 상담대화기술의 중요성은 자명하다. 또한 상담대화기술은 슈퍼비전에서 도움받고 싶은 부분으로 지속적으로 수련생들이 언급하는 영역이다. 하 지만 상담대화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훈련이 국내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훈 련에 사용할 교재 역시 부족하다.
출판사로부터 이 책 번역을 의뢰받았을 때 이 책이 한국에서 번역되지 않았다는 것에 놀랐다. 이 책은 미국의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에서 상담과정기술(Micro-counseling skill) 이라는 수업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재이기 때문에, 이미 번역되었을 것으로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상담 박사과정에 입학하면서, 선수과목으로 상담과정기술이라는 수업을 들어 야 했다. 한 학기 동안 매주 한 장(chapter)에 소개되어 있는 상담대화기술을, 연습문제 를 풀고, 역할극으로 시연하고, 시연을 녹화하여 재검토하며 학습하였다. 의사소통기술 을 이렇게 쪼개어 연습할 수 있다는 것이 신선했고, 상담자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 련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체험했다.
이 책은 모두 5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명의 역자가 각각 4장씩을 맡아 번역 하였다. 1장부터 4장까지는 방기연이, 5장부터 8장까지는 김희수가, 9장부터 12장까지 는 박현주가, 13장부터 16장까지는 이수진이 번역하였다. 번역할 때마다 느끼지만 용어 를 선정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고, 마지막 교정을 보면서도 적절한 용어를 찾기 위해 노 력하였다. 상담 및 심리학과 관련된 기본 용어는 한국심리학회 사이트의 학술용어 검색 창(http://www.koreanpsychology.org/korpsy.php)을 참조하였다. 여전히 용어의 일관성 이나 번역체 문장 등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독자들의 지적을 기꺼이 받아들 여 개정판에서는 수정 및 보완할 예정이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책 제목 그대로 상담의 기술 혹은 상담대화기술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상담대화기술은 3장 주의 기울이기와 공감, 4장 관찰 기술, 5장 질문, 6장 격려, 재진술, 요약, 7장 감정 반영, 9장 초점 맞추기, 10장 공감적 직면, 11장 의미 반영과 해석, 12장 자기 개방과 피드백이다. 이 장들에 서 다루는 상담대화기술은 우리에게 익숙한 개념이면서도 상담 실제에서 수행하기는 어려운 기술이다. 이 부분을 읽을 때는 내용을 검토하는 데 그치지 말고, 연습문제를 꼭 수행해보기를 바란다. 내용을 읽을 때는 자연스럽다가 연습문제 부분에 오면 다시 생소 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연습문제를 수행한 후 해당 장을 다시 읽으면 보다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두 번째로, 이 책은 상담 회기 및 상담 과정 전체를 운영하는 5단계를 제시한다. 5단 계는 공감적 관계→이야기와 강점→목표→이야기 재구성→행동의 순서로 진행할 수 있 다. 어떤 상담이론에 근거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자라도 전체 과정에 대한 로드맵으 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5단계 모델은 1장에서 간략하게 소개되며, 8장 경청 기술만 사용한 5단계 상담 회기, 15장 상담대화기술과 5단계 모델을 여러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에 적용 하기에서 자세하게 다룬다.
5단계 접근에서 내담자의 강점 찾기를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취약할 때 내담자를 만난다. 그렇기 때문에 내담자가 호소 문제 를 진술하는 동안에 강점이 자연스럽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상담자가 적극적으로 내담 자의 장점을 찾으려고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결국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에 는 강점이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내담자의 발달과 성장은 상담자가 하는 모든 활동의 목표이며, 내담자가 큰 변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유념하자.
세 번째로, 이 책은 상담자가 가져야 할 변화 촉진자로서의 태도를 제시하고 있다. 2 장 윤리, 다문화적 역량, 긍정심리학과 건강증진적 접근, 13장 내담자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 동 전략, 14장 기술통합,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 치료 계획, 재발 예방, 16장 개인적 스타일 정 하기와 미래 이론과 실제의 통합은 특히 그렇다. 가장 기본이 되는 태도는 내담자를 긍정 적으로 보는 시각이며, 내담자를 보다 긍정적으로 보기 위해서 내담자의 문화를 이해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상담자의 윤리적 태도를 강조하고 있는데, 비윤리적 인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을 넘어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갖추도록 촉구한다. 상담대화 기술 역량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개인적 스타일 과 이론과 통합하고 있는지를 자문하게 한다. 특히 미래에 더 강조될 뇌과학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상담자의 지식 역량에 대해서도 도전을 한다.
전문 상담자의 되는 길은 긴 여정이다. 그 여정 속에 이 책이 좋은 동반자가 되기를 바란다. 초보 상담자일 때는 기본 역량을 배우기 위해서, 그리고 경력이 쌓여가면서는 상담자의 기본 태도와 자신의 수행을 점검하는 도구로 이 책이 사용되면 좋겠다.

2017년 8월
대표 역자 방기연

[지은이의 말]
『상담의 기술: 다문화 시대의 상담역량 강화(Intentional Interviewing and Counseling: Facilitating Client Development in a Multicultural Society)』 제8판의 학습을 환영한다.
독창적이며 기술적인 상담과 심리치료의 기초를 가장 많이 연구한 이 책은 새로운 정 보들을 수용하고, 최신 연구에 근거하고 있으며, 독자가 보다 읽기 편하도록 새로 쓴 개 정판이다. 이 책에서는 ‘공감과 관계/작업동맹’이 보다 중심적인 내용으로 자리 잡았으 며, 또한 새로운 장도 있다.
상담대화기술 접근은 세계적으로 상담과 심리치료 기술 훈련의 표준이 되었다. 450 개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고, 1,000개 이상의 대학 및 훈련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 민감한 상담대화기술 접근은 23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명확성에 초 점을 맞추었고 모든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에서 이야기하는 역량의 중요한 근거를 제공 하려고 했다.
이 책의 다른 판도 구입할 수 있다. 『목적이 있는 면접의 핵심(Essentials of Intentional Inter viewing)』 제2판은 면접, 상담, 심리치료에 필요한 핵심 기술과 전략을 짧게 다루고 있으며, 이론, 연구, 보충 개념에 대한 정보는 적다.

상담대화기술 전통과 기본 역량
이 책은 원래부터 역량에 초점을 맞추었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이 유능 성이 되고, 이후의 교육과 전문적 작업을 준비시킨다. 이 책을 통해 학생들은 다음과 같 은 것을 할 수 있다.
▲ 상담과 심리치료 회기의 기본 기술에 젖어들 수 있다(개인차와 문화적 차이에 민감 하게 경청하고, 변화를 촉진하고, 효과적인 회기 구조화하기).
▲ 이 책의 절반 정도를 마치면 경청 기술만을 사용해서 한 회기 전체를 진행할 수 있 다.
▲ 여러 다른 이론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회기의 구조를 모두 배울 수 있다.
1. 내담자와 공감적 관계를 발달시킬 수 있다.
2. 강점과 자원에 특별한 관심을 제공하며, 내담자의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다.
3. 내담자와 명확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4. 내담자로 하여금 걱정거리, 주제, 도전에 대해서 이야기 재구성을 하고 다르게 생 각하도록 할 수 있다.
5. 내담자가 회기 밖에서 행동하도록 도울 수 있다.

▲ 상담 실제에 윤리, 다문화적 주제, 긍정심리학?건강증진을 통합할 수 있다.
▲ 정확하게 자신만의 고유한 도움 스타일을 분석하고, 같은 정도 혹은 보다 중요하게 상담 스타일을 내담자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각 장은 역량 포트폴리오를 강조하고 있다. 잘 정리된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이 좋은 실습기관과 인턴기관, 그리고 새로운 전문가로서의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학생들은 공부하는 양이 많다고 불평할 수도 있지만, 역량 포트폴리오를 잘 만들고, 상호작용적 인 웹사이트를 사용하여 학습을 강화하고, 기술과 개념을 사용하는 연습을 하면, 얼마 나 많이 배웠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 8판에 소개된 새로운 역량의 특징
향후 10년 후에는 내담자와 환자를 돕는 보다 세련되고 완벽한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정 신과 신체의 건강 서비스가 보다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팀 치료 혁신으로 상담자와 심 리치료자가 의사, 간호사, 휴먼 서비스 종사자(human service workers)와 보다 가까이서 협력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뇌과학과 뇌 연구는 신체와 마음이 하나라는 것을 더 알 아차리도록 할 것이다. 상담 회기에서의 행동(action)은 생각, 감정, 행동뿐만 아니라 뇌 와 몸에서 일어나는 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앞으로 흥미로운 기회가 학생과 교수자에 게 다가올 것이다.
『상담의 기술: 다문화 시대의 상담역량 강화』 제8판은 학생들을 문화적으로 의도적이 며 유연한 상담과 심리치료를 위해 준비시키려 한다.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면서 새로운 특징들이 보강되거나 강화되었다.

▲ 공감과 공감적 의사소통은 상담대화기술 틀의 더 핵심적인 내용이 되었다. 물론 공감과 공감적 의사소통이 개정 전에도 책에 포함되었지만, 이 영역을 중심으로 삼고 다른 기술들과의 관계를 기술했다. 학생들은 각 개입을 공감적 이해의 질로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책의 모든 축어록은 다양한 수준의 공감을 보여주는 과정 논 의를 포함한다. 학생들은 도움을 위해 이끌어주는 것을 내담자가 어떻게 받아들이 는지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 자아실현, 의도성, 회복탄력성은 상담 회기의 목표로 명확화되었다. 이 부분은 회 기의 결과로 내담자에게서 우리가 보기를 바라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물론 우리는 내담자가 얻기를 바라는 것을 획득하기를 바란다. 동시에 회복 기술 개발을 격려하 여 내담자가 미래의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보다 잘 대처하기를 추구한다.
▲ 위기 상담과 인지행동치료의 축어록은 상담 과정 기술을 상담 이론에 적용하는 15 장에 보강되었다. 위기 상담의 기본과 실제 회기의 축어록은 이 장의 주요 내용이 다. 인지행동치료 축어록은 자동적 사고에 대해 어떻게 작업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이 전략을 학생들이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 자기 개방과 피드백에 대한 새로운 장(12장). 이 두 가지 기술은 공감적 이해와 즉 시성과의 관계 때문에 더 관심을 두고 분량을 할애했다.
▲ 직면과 초점 맞추기에 대한 장은 완전히 다시 썼다(9장과 10장). 이 두 장의 내용 을 더 명확하고 실제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시간이 흐르면서 두 기술이 잘 드러나 게 계속되는 축어록을 보충했다. 학생들은 두 기술에 공감적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 지 알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내담자 변화 척도를 사용하여 회기를 거치면서 어떻 게 변화를 평가하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 과정 분석을 담은 5개의 새로운 회기 축어록은 회기 안에서 기술이 어떻게 작용하 는지를 보여준다. 상담 기술의 중요한 측면을 개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 한 것은 상담 기술이 어떻게 회기에 적절한지, 공감적 기술을 사용한 결과를 어떻 게 관찰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상담대화기술의 사용이 내담자의 생각, 감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렇게 하는 것이 학생들의 기술 훈련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역할극이나 실제 회기에서 기술을 실제로 활용하는 것에 준비되도록 한다.
▲ 최신 뇌과학과 상담 기술의 통합 내용을 더 많이 넣었다. 상담과 심리치료는 신경 가소성(neural plasticity)과 신경 발생(neurogenesis)을 통해 내담자와 상담자 모두의 뇌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신경망을 만든다. 도움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뇌의 부분 (새로운 그림으로 제시)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뇌과학 연구들은 긍정적 인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건강증진적 접근이 신경 발달을 촉진한다고 강조한다. 학생들은 우리가 도움 분야에서 하는 활동이 궁극적으로는 뇌과학 연구에 의 해 지지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TLCs)는 개정판에서 중심적 역할을한다. 스트레스를 알아차리는 중요성과 스트레스가 뇌와 신체에 미치는 위험한 영 향은 책 전체에서 강조된다. 한편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자각하는 것은 긍정적 일 수 있으며 학습과 변화에 필요하다. 건강증진과 뇌과학의 연구는 스트레스 관리 와 모든 이론적 접근에 대한 치료 대용으로서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의 중요 성을 밝혔다.

[감사의 글]
학생들에게 이 책을 개발하는 데는 세계 여러 학생들이 여러 해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리는 학생들과의 공동 작업을 계속해왔다. Allen의 지도학생인 Weijun Zhang은 중국의 지도자인 코치이며 운영자문이다. Zhang은 상담 기술에 대한 다문화적 주제들 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Allen의 학생인 Penny John은 수업 과제로 제출한 축어록 자료를 이 책의 단기 상담 예시로 사용하도록 허락해주었다. 웨스턴 켄터키 대학교 학 생인 Amanda Russo는 상담대화기술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주었다. 템플 대학의 Michael Fitzsimmons는 성과 성적 지향성 관련 최신 문헌에 대한 의견을 제공해주었다.
우리는 Carlos의 두 학생, Nelida Zamora와 SeriaShia Chatters에게 특별히 감사의 마 음을 전한다. Nelida는 Alexander Street 출판사와 상담과정기술협회의 ‘기본 변화 촉진 기술(Basic Influencing Skills)’(3판)과 ‘기본 스트레스 관리 기술(Basic Stress Management skills)’이라는 2개의 비디오를 개발하는 데 깊이 관여했다. 또한 Nelida는 9장과 10장에 Allen과의 시연 회기의 축어록을 사용하도록 허락해주었다. SeriaShia Chatters 박사는 도움 기술의 특성을 명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DVD 자료와 책 비디오 제작 작업을 도왔다. SeriaShia는 현재 두바이의 자이드 대학교(Zayed University)의 교수로 재직중이 다.
사우스플로리다 주립대학교의 대학원 학생들은 비디오 자료 제작에 자원봉사로 참여 해주었다. 또한 대학원 학생들이 연구 상자의 자료들을 개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특 별히 Kerry Conca, Megan Hartnett, Jonathan Hopkins, Stephanie Konter, Floret Miller, Callie Nettles, Krystal Snell에게 특별히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동료들에게 Owen Hargie, James Lanier, Courtland Lee, Robert Manthei, Mark Pope, Kathryn Quirk, Azara Santiago-Rivera, Sandra Rigazio-DiGilio, Derald Wing Sue가 책 전체에 걸친 다문화적 주제에 대한 글상자를 저술했다. 14장의 재발 예방 양식인 ‘변화 유지 활동지’는 Robert Marx가 개발했다. Otto Payton과 Viktor Frankl과의 논의는 의미 반영을 명확히 했다. William Matthews는 5단계 면접 구조 양식을 만드는 데 특히 도움을 주었다. Allen과 Mary가 남호주의 방문 교수로 두 번 방문했을 때 지지와 참여를 해 준 플린더스 대학교(Flinders University)와 애들레이드 대학교(Adelaide University)의 Lia 와 Zig Kapelis에게 감사드린다.
남호주의 원주민 관련 업무의 책임자인 David Rathman은 이 책을 지속적으로 지 지하고 도전해주었으며, 그의 영향을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대외협력위의 Matthew Rigney는 우리가 새로운 방식으로 사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두 사람이 처음으로 우리에게 서양식 개인주의적 시각으로 생각하는 것이 완전하지 않으며 그럼 으로 우리가 다문화적 주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책의 기술과 개념들은 지난 30년간 많은 학자들과의 작업에 근거하고 있다. 상담 대화기술(microtraning)이라는 생각의 틀은 콜로라도 주립대학교에서 시작되었고, 그곳 의 Eugene Oetting, Dean Miller, Cheryl Normington, Richard Haase, Max Uhlemann, Weston Morrill과의 작업을 특히 밝히고 싶다. 또한 다음에 언급되는 사람들은 상담대 화기술과 그 훈련 과정이 성장하는 데 개인적으로 그리고 전문가로서 많은 도움을 주
었다. Bertil Bratt, Norma Gluckstern-Packard, Jeanne Phillips, John Moreland, Jerry Authier, David Evans, Margaret Hearn, Lynn Simek-Morgan, Dwight Allen, Paul과 Anne Pedersen, Lanette Shizuru, Steve Rollin, Bruce Oldershaw, ?scar Gon?alves, Koji Tamase, Elizabeth와 Thad Robey.
국립다문화역량협회(National Institute of Multicultural Competence)의 이사진들인 Michael D’Andrea, Judy Daniels, Don C. Locke, Beverly O’Bryant, Thomas Parham, Derald Wing Sue는 이제 우리 가족과 같다. 그들의 격려와 지도는 우리 삶의 주요한 부 분이다.
Fran과 Maurie Howe는 여러 해에 걸쳐 이 책의 끝날 것 같지 않는 많은 교정본을 검 토해주었다. 그들의 신숙하고 정확한 피드백은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진실성, 엄격성, 의미를 찾으려는 우리의 시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Jenifer Zalaquett는 이 과정 내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문서 작업을 도왔을 뿐 만 아니라 전체 과제를 함께 진행했다.
Julie Martinez는 이제 이 책의 번의 개정 동안 자문 편집자로 일해오고 있다. 요즘 에 우리는 그녀를 거의 공동 저자로 여긴다. 언제나 Brooks/Cole 출판사 사람들과의 작업은 즐거웠으며 특히 Jon-David Hague, Rita Jaramillo, Elizabeth Momb, Elisabeth Rhoden, Kara Parsons, Caryl Gorksa에게 감사드린다. 우리의 원고 편집자인 Peggy Tropp는 우리의 소중한 조언자다. Scratchgravel 인쇄소의 Anne과 Greg Draus는 이 책 을 언제나 멋지게 만들어주었으며 우리는 그들도 이제는 공동 저자처럼 여기고 있다.
우리는 검토자들의 소중한 제안과 피드백에 감사드린다. 존 타일러 커뮤니티 칼리지 (John Tyler Community College)의 Yvonne Barry, 하와이 마우이 칼리지(University of Hawaii Maui College)의 Cynthia Cary, 호주 NSW 주 웨스턴 시드니 대학교의 Danuta Chessor,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의 Andres Consoli,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인디애 나 대학교의 Lorraine Guth, 위더빌 커뮤니티 칼리지(Wytheville Community College)의 Jerri Montgomery, 네덜란드 칼리지(Dordt College)의 Erin Olson, 롤린즈 칼리지(Rollins College)의 Derrick Paladino, 세인트보나벤처 대학교(St. Bonaventure University)의 Alan Silliker가 우리 책을 검토해주었다.
우리는 독자 여러분이 책에 대한 반응, 제안, 아이디어를 이메일로 언제든지 연락해 주기를 바란다. 이 책을 읽어준 것에 대해 감사드린다.

Allen E. Ivey, Ed.D., ABPP
allenivey@gmail.com

Mary Bradford, Ed.D., NCC, LMHC
mary.b.ivey@gmail.com

Carlos Zalaquett, Ph.D., LMHC, Licensiado en Psicolog?a
carlosz@usf.edu

목차

1부 상담과 심리치료의 기초 1
1장 목적이 있는 면접, 상담, 심리치료를 향하여 3
도입: 내담자에게 하는 ‘올바른’ 반응이란 무엇인가? 4
면접, 상담, 심리치료 5
과학과 예술로서의 상담과 심리치료 7
유연한 상담자와 내담자: 의도성과 문화적 의도성 8
의도성, 회복탄력성, 자아실현 9
도움 과정의 핵심 기술: 상담대화기술 위계 10
잘 구성된 상담과 심리치료 회기에서 내담자 이야기 끌어내기 14 공감적 관계-이야기와 강점-목표-이야기 재구성-행동 15 다문화적 세상 17
RESPECTFUL 상담과 심리치료 18
뇌과학: 미래 상담과 심리치료를 위한 최신 과학의 의미 20
자신만의 고유한 도움 스타일: 오디오 녹음 및 비디오 녹화 활동의 중요성 23
요약: 내담자와 성공적으로 관계 맺는 기술과 전략 숙달하기 25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7

2장 윤리, 다문화적 역량, 긍정심리학과 건강증진적 접근 29
상담과 심리치료의 윤리적 근거 30
도움 과정의 윤리 31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38
다문화적 역량 42
긍정심리학을 강점과 건강증진적 접근으로 실행하기 46
긍정심리학: 강점을 찾아서 47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뇌 48
뇌, 스트레스, 건강증진적 접근 50
내담자의 건강함 평가하기 53
요약: 강점, 정신건강, 윤리, 다문화적 수행 통합하기 6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6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비판적 자기 성찰과 일지 평가에 대한 제안 67

3장 주의 기울이기와 공감 68
주의 기울이기: 경청의 기본 69
주의 기울이기: 경청 기술 70
주의 기울이기 실행: 경청과 스타일에 있어서 개인적·문화적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구하기 72
시각화/눈 맞춤 72
음성의 질: 톤과 속도 74
음성 언어의 단서 쫓아가기: 내담자를 따라가거나 화제 바꾸기 75
몸짓언어: 주의를 기울이고 진정성 담기 78
공감 79
상담 예시: 승진하지 못했어요. 차별이 아닐까요? 83 치료로서의 훈련: 사회적 기술, 심리교육, 주의 기울이기 87 어려운 상황에서 주의 기울이기 88
요약 : 사무라이 효과, 뇌과학, 숙련을 위한 연습의 중요성 9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93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주의 기울이기와
공감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과 일지 평가에 대한 제안 100

4장 관찰 기술 101
당신은 좋은 관찰자인가? 102
지속적으로 상담 회기 지켜보기 103
내담자의 주의 기울이기 방식 관찰하기 104
상담 예시: 학습의 어려움인가, 아니면 인종차별의 문제인가? 106
개념을 행동으로: 조직하는 세 가지 원칙 110
요약: 관찰 기술 12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21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관찰 기술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128

2부 기본 경청 기술: 회기 구성 방법 129
5장 질문: 의사소통 시작하기 131
도입: 질문에 대한 정의와 질문 132
공감과 구체성 135
상담 예시: 직장에서의 갈등 135
개념을 행동으로: 적절한 질문 만들기 139
강점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 사용하기 143
말수가 적은 내담자에게 개방형 질문 및 폐쇄형 질문 사용하기 145
요약: 질문에 대해 결정하기 146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48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질문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153
벤저민에 대한 논의 154

6장 격려, 재진술, 요약: 적극적 경청의 핵심 기술 156
도입: 적극적 경청 158
공감,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적극적 경청 기술 159
상담 예시: 제 신발을 보고 놀려요 161
아동 상담하기 164
개념을 행동으로: 적극적 경청 기술로서의 격려, 재진술, 요약 165 다양성과 경청 기술 169
요약: 연습하고, 연습하고, 또 연습하라 17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72
스타일과 이론을 정하기: 적극적 경청 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자기 성찰 178
제니퍼에 대한 논의 178

7장 감정 반영: 내담자 경험의 근간 180
도입: 감정 반영 181 재진술과 감정 반영 182 감정 반영 기법 183 공감과 온정 185
상담 예시: 엄마가 암에 걸렸는데 형제들은 돕지 않아요 185
정서적 경험을 지각하고 잘 다루기 189
정서 언어 190
내담자가 감정 표현을 더 혹은 덜 하도록 돕기 192
감정 반영에서 긍정적 정서의 위치 194
긍정적 반영 전략 196
요약: 감정 반영은 중요한 기술이지만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197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99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감정 반영에 대t한 비판적 자기 성찰 205
감정 단어 목록 206

8장 경청 기술만 사용한 5단계 상담 회기 208
인생의 여러 영역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로서의 기본 경청 기술 209
개념을 행동으로: 5단계 회기 모델을 여러 상담 이론에 적용 211
의사결정을 위한 5단계 상담 회기의 예: 사장님과 잘 지내기가 너무 어려워요 220
회기 내 기록하기 227
요약: 기본 경청 기술을 활용한 잘 구성된 회기 228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30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경청 기술을 통합하는 차원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235

3부 초점 맞추기와 공감적 직면: 뇌과학, 기억, 변화 촉진 기술 237
상담 회기에서 기억의 변화가 어떻게 실현되는가? 238
9장 상담 회기에 초점 맞추기: 다양한 시각에서 이야기 탐색하기 241
도입: 초점 맞추기 243
지역사회 가계도 246
가계도 250
지역사회 가계도 분석 251
초점 맞추기를 사용해서 자신의 신념과 접근 검토 256
어려운 문제에 초점 맞추기 적용 257
문화적·환경적 맥락, 권리 옹호, 사회정의 260
요약: 관계 속의 존재, 지역사회 속의 개인이 되기 262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6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초점 맞추기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269

10장 공감적 직면과 창조적 새로움:
내담자의 갈등을 확인하고 Th전하기 270
공감적 직면 정의하기 271
직면에서의 다문화적·개인적 주제 272
공감과 비판단적 직면 273
공감적 직면의 기술: 통합적 3단계 과정 274
내담자 변화 척도 280
문화 정체성 발달과 직면 과정 288
문화 정체성 발달 그리고 넬리다와 앨런의 상담 회기 290
여러 회기에 걸친 변화를 측정하는 체계로서의 내담자 변화 척도 292 갈등 해결과 중재: ‘새로움’을 창조하기 위한 심리교육적 전략 293 요약: ‘새로움’을 창조하기 위한 지지적 도전 294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96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직면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04

4부 창조적 변화를 위한 대인관계 변화 촉진 기술 305
11장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다시 쓰Th록 돕기 307
도입: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 기술 정의하기 308
의미 반영 310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 비교하기 311
상담 예시: 트래비스가 최근에 이혼한 것에 대한 의미 탐색 314
개념을 행동으로: 의미를 찾아내고 성찰하는 구체적인 기술 317 Frankl의 의미치료: 극도의 스트레스에서 의미 만들기 322 해석·재구조화의 기술 325
해석·재구조화와 그 외 상담대화기술 327 상담 이론과 해석·재구조화 328 해석·재구조화에서 유의할 점 331
요약: 내담자가 핵심 의미를 발견하고 새로운 관점을 개발하도록 돕기 331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33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42
찰리스에 대한 우리의 생각 343

12장 자기 개방과 피드백: 상담에서 즉시성과 진솔성 345
자기 개방의 정의 346 공감적 자기 개방 348 피드백의 정의 351
상담 회기 예시: 직장에서 어려운 상황을 어떻게 다루는가? 354
피드백과 뇌과학 356
요약: 자기 개방과 피드백의 보상 및 위험성 357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359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자기 개방과 피드백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62

13장 내담자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 전략: 필연적 결과, 지Th·심리교육, 스트레스 관리,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 363
필연적 결과 정의하기 364
지도와 심리교육 전략 정의하기 367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원 370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 372 개념을 행동으로: 심리교육적 스트레스 관리 전략 375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 380
요약: 내담자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 전략 이용하기 392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39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변화 촉진 기술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99

5부 기술 통합, 이론을 실제로,
그리고 개인적 스타일 정하기 401
14장 기술 통합,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 치료 계획, 재발 예방 403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 실제적 이론의 개관 404
실용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의 역사: 특성요인 이론 405
현대 상담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의 위치 406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과 감정 이해 407
사례개념화와 작업 가설의 중요성 410
첫 연습 회기 계획하기와 체크리스트 사용하기 410 상담 회기 전체 축어록: 새로운 진로를 찾고 싶어요 412 축어록 분석 436
상담 기술 그리고 상담 기술이 내담자에게 미치는 영향 436
추가적 고려 사항: 의뢰, 치료 계획, 사례 관리 439
변화 유지하기: 재발 예방 444
요약: 내담자가 있는 그 자리에서 내담자 만나기 446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447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자신의 상담 실제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449

15장 상담대화기술과 5단계 모델을
여러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에 적용하기 450
1부분: 상담대화기술, 5단계, 상담 이론 451
2부분: 앞에서 논의된 이론의 요약 453
3부분: 위기 상담과 인지행동치료 460 위기 상담 첫 회기 축어록 465 인지행동치료 회기 축어록 471
세 가지 추가적 이론 480
요약: 상담 실제와 통합적 개인 이론 개발 481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482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이론적 배경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484

16장 개인적 스타일 정하기와 미래 이론과 실제의 통합 485
도입: 내담자와 관계를 맺는 자신만의 스타일 확인하기 486
상담대화기술 위계: 자신의 역량 평가하기 487
스타일 정하기와 미래 이론과 실제 통합 490
요약: 마무리 하면서……감사, 작별 인사, 그리고 미래 성장과 전문가 여정의 성공 491
상담대화기술과 다문화적 주제에 대한 후속 조치를 위한 보충 문헌 제안 492

참고문헌* 찾아보기 494

저자소개

저자 Allen E. Ivey는 애머스트(Amherst)에 소재한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의 명 예교수이며, 탬파(Tampa)에 있는 사우스플로리다 주립대학교(University of South Florida)의 상담 대학원의 명예교수다. 그는 Microtraining Associates라는 교육출판회사를 설립했고 지금은 Microtraining/Alexander Street Press라는 기관의 자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Allen은 미국상담학회의 디플로메이트(Diplomate)이며 펠로(Fellow)이다. 그는 여러 상을 수상했지 만 국립 다문화학회(National Multicultural Conference and Summit)에서 ‘다 문화적 선구자(Multicultural Elder)’라는 상을 받은 것을 가장 자랑스럽게 여긴다. Allen은 40여 권의 책을 저술하고, 200여 편의 논문을 출간했고, 그의 저서는 22개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는 상담대화기술(microskills)이 라는 분야를 창시했고, 이 책은 그 근간이 되는 자료다.

도서소개

▶ 이 책은 상담의 기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심리상담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