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1부 서정의 풍경 …
서정이 품어낸 우리말의 울림 /15/
(좌담) 시를 환대하는 속도와 방식
한국시의 새로움과 미래를 위한 꿈꾸기(박상수, 김나영, 오태호) /32/
고요한 정신의 깊이들 신달자, 최동호, 유안진, 임보 시집론 /80/
추억과 풍경은 힘이 세다 1990년대 등단 시인들의 내면 읽기 /98/
2000년대 시집들에 대한 단상 /116/
새로움의 패기와 열정 사이 12인 24색의 풍경 /125/
대표시로 읽는 한국 근대시 100년 김소월에서 박노해까지 /146/
… 2부 허공의 의미 …
지구인의 관계론적 상상력 이문재론 /167/
낯선 풍경 견뎌내기 박미라론 /206/
허공주의자의 그리움 바라기 김완하론 /225/
허공에 새겨진 도시 사막 낙타의 새 발자국 김충규론 /237/
풍경에서 집 찾기 심창만론 /254/
21세기 오감도(烏瞰圖) 한우진론 /269/
대자연을 섬기는 우포늪 흑조(黑鳥) 배한봉론 /277/
마음의 동공에 새겨진 시간들 박주택론 /291/
낙타고래의 우직한 사막일지 신현정론 /299/
… 3부 바람의 지도 …
산재하는 ‘나들’의 시학 정병근 작품론 /315/
이종교배적 상상력의 서정 김지녀 작품론 /329/
바람과 당신을 추적하는 경계인 김명철 작품론 /345/
내성과 풍경을 만나다 서주영, 정원 작품론 /357/
기억과 일상에서 선취한 표정 문성해 작품론 /366/
바람이 부려놓은 생의 지도 이병률 작품론 /378/
황홀한 풍경의 외로움 김선태, 고영, 권애숙 시집론 /396/
말향고래의 길 찾기 정영주 작품론 /409/
허기와 생기 사이 길상호 작품론 /420/
젊은 감각의 이질적 무늬 안주철, 이윤설 작품론 /430/
… 4부 그리운 허기 …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안도현의 「고마워요 미안해요 일어나요」 /443/
변이적 일상과 교감하는 순간들 /452/
일상에서 들어올린 공감의 풍광 /465/
낡아가는 존재와 흐릿한 기억들 /480/
순간적 진실의 대면 /494/
겹눈으로 읽은 세상의 편린 /509/
심미적 대상의 울림 /526/
여성성을 노래하는 시선들 /541/
오래된 시간을 담은 서정들 /552/
침묵을 되새김질하는 소 김기택의 「소」 /563/
골짝 풍경의 ‘빈 소리’ 위선환의 「빈 소리」 /566/
부재를 증명하는 축제 사진사 남진우의 「축제는 계속된다」 /572/
환영으로 메우는 허기 최치언의 「집으로 가는 길」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