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수험 국제정치학(2018)

수험 국제정치학(2018)

  • 신희섭
  • |
  • 학연
  • |
  • 2017-11-20 출간
  • |
  • 578페이지
  • |
  • 191 X 263 X 20 mm /922g
  • |
  • ISBN 9791158242336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수험국제정치학』을 3년 만에 개정하게 되었다. 국제정치학의 특성상 새로운 이슈들이 많이 생겼을 뿐 아니라 기존 책에 반영되지 못했던 각종 기출문제들에 대한 해설을 반영하기 위해 책을 개정하게 되었다.

이번 책은 『ALL -NEW 수험국제정치학 : 문제편』으로 책의 이름을 바꾸었다. 전면 개정의 의미도 담고 있지만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문제를 반영하겠다는 취지이다. 이번 책에서 개정한 부분은 기존 책에 있던 문제 중 여전히 필요한 문제는 남겨 두었지만 대체로 새로운 문제들을 수록하였다. 새로운 문제들은 문제 유형도 다르지만 해설의 방식도 차이를 두었다. 전형적으로 이론을 설명하고 이슈에 대한 해설을 다는 방식의 문제에서 이론과 이론을 비교하거나 이슈 중심의 문제들을 다루기도 하였다.

이번 책 역시 문제들의 배열은 기존 책의 방식을 따랐다. 외교사를 먼저 다루었고 기본 개념들과 관련된 문제들을 배열하였다. 이론중심의 문제들이 그 뒤에 있고 이후 이슈 중심의 문제들을 해설하였다. 이슈 중심의 문제에서는 안보, 정치경제, 국제기구와 외교관계, 새로운 이슈들을 다루고 있다.

최근 국제정치학 문제가 어려워지고 있다. 두 가지 점에 초점을 둘 수 있다. 첫 번째는 정치경제학이 발전하면서 문제들도 정치경제학의 변화를 반영하면서 어려워지고 있다. 두 번째는 이론을 대입하여 설명하는 부분에서 이론도 어렵게 되었지만 이슈 자체도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시험이 어려워지는 것은 수험생에게 부담이다. 이런 부담을 줄여보자는 것이 이 책의 취지이다. 국제정치학이 한 가지 답안을 가질 수 있는 학문은 아니지만 특정 이슈를 풀어가는 논리와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한 가지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는 있다. 이 책의 취지는 이러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논리가 구성될 수 있는 국제정치학에서 이 책은 최고답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한 가지 가이드 라인을 제공함으로서 수험생들이 이 논리를 기초로 하여 다른 논리를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LL -NEW 수험국제정치학 : 문제편』은 2018년에 『ALL -NEW 수험국제정치학 : 이론편』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범위가 넓은 국제정치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이론들과 이슈와 정책들을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2018년 이후 시험 준비를 하는 수험생들의 수험 일정에 도움이 되기 바란다.

학원에서 강의를 하면서 같은 연구실에 계신 선생님들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 연구실의 큰형님이신 이종훈 선생님과 연구실 운영을 꼼꼼히 챙기시는 류준세 선생님께 이 기회를 빌려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한다. 사정이 있어 지금은 다른 장소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정경호 선생님께서도 감사인사를 전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책이 새로운 마음으로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합격까지의 시간을 단축시켜 주기 바란다.


목차


PART Ⅰ. 외교사
제 01 문. 비엔나체제의 운영과 붕괴 3
제 02 문. 제도론 관점에서 비엔나체제 6
제 03 문. 크림전쟁의 국제정치사적 의미 (기출문제) 11
제 04 문. 이태리통일과 독일통일 비교 15
제 05 문. 비스마르크외교와 한미동맹 17
제 06 문. 비스마르크이후 동맹형성과 빌헬름 2세 외교 19
제 07 문. 동맹의 대내 기능과 대외기능관점에서 비스마르크 체제 21
제 08 문. 독일정책과 세력전이 적용가능성 24
제 09 문. 유럽의 균형외교들과 한국적 함의 28
제 10 문. 중화질서에 대한 구성주의와 신현실주의 해석 비교 35
제 11 문. 외인론과 내인론관점의 개항기 비교 43
제 12 문. 러일전쟁과 세력균형 (기출문제) 48
제 13 문. 지정학과 동맹을 통한 러일전쟁해석 51
제 14 문. 미국외교의 분석틀로서 고립주의와 국제주의 57
제 15 문. 문호개방정책과 스페인전쟁 시기 미국외교 59
제 16 문. 공격적 현실주의와 방어적 현실주의의 1차 세계대전해석 63
제 17 문. 원인과 근인을 통한 1차 세계대전의 원인 분석 72
제 18 문. 쉴리펜 계획과 1차 대전해석 75
제 19 문. 워싱턴체제의 다자주의로서 의미 78
제 20 문. 일본의 팽창정책과 세력전이 해석 81
제 21 문. 양차대전이후 전후처리과정 85
제 22 문. 한국전쟁과 소련과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기출문제) 88
제 23 문. 동서독통일전략과 한반도통일전략비교 96

PART Ⅱ. 이론 문제편
[ SUB CATEGORY 1 : 방법론 관련 문제 ] 101
제 01 문. 분석수준과 각 이론별 분석수준의 문제 101
제 02 문. 왈츠의 분석수준과 양면게임을 통한 한일관계 개선방안 (기출문제) 106
제 03 문. 분석수준과 한일관계 110
제 04 문. 왈츠의 세 가지 이미지와 1차 세계대전, 국제연맹, 국제연합 115
제 05 문. 원인과 근인을 통한 북한 핵실험해석 119
제 06 문. 합리적 선택이론과 그 비판 123

[ SUB CATEGORY 2 : 국제정치의 주요개념들 관련 문제 - 극성, 권력, 국가이익, 민족주의 ] 127
제 07 문. 극성과 극화를 통한 현재 체제의 특징과 변동가능성 127
제 08 문. 극성과 미국 일극체제의 지속성 (기출문제) 135
제 09 문. 극성의 변화와 안정성으로서 강대국간 전쟁가능성 139
제 10 문. 국제체계접근과 국내정치접근의 비교 144
제 11 문. 국제정치에서 권력의 중요성과 스마트파워논의 147
제 12 문. 미국패권의 미래 : 연성권력과 경성권력의 관점 (기출문제) 152
제 13 문. 군사적 조치의 유효성과 정당성 논의 (기출문제) 158
제 14 문. 21세기 군사력의 유효성과 정당성 논의 161
제 15 문. 국가이익에 대한 패러다임별 비교 :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166
제 12 문. 강대국과 약소국의 국가이익 비교 (기출문제) 171
제 17 문. 민족주의의 기능과 동북아 민족주의완화방안 175
제 18 문. 민족주의의 대외정책에의 영향 181

[ SUB CATEGORY 3 : 이론들 - 현실주의 이론들 ] 188
제 28 문. 홉스와 죄수의 딜레마상황 188
제 20 문. 지정학이론과 한미동맹의 효용성 191
제 21 문. 해양세력이론과 중국적용 (기출문제) 196
제 22 문. 한반도, 동중국해, 남중국해의 지정학 (기출문제) 201
제 23 문. 고전적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 비교 207
제 24 문. 세력균형전략과 편승전략의 비교 (기출문제) 212
제 25 문. 연성균형, 편승, 헤징, 적대적 세력균형 (기출문제) 216
제 26 문. 비대칭균형과 대테러전쟁 219
제 27 문. 동아시아 안보딜레마 (기출문제) 222
제 28 문. 안보딜레마와 대응방안논쟁 225
제 29 문. 사드와 방어무기 체계 231
제 30 문. 평화적 세력전이의 가능성 237
제 31 문. 패권과 공공재의 제공가능성 242
제 32 문. 패권안정이론과 신자유주의이론의 DDA미래예측 247
제 33 문. 세력균형이론과 위협균형이론의 대중국정책 252
제 34 문. 현실주의이론간 비교 256

[ SUB CATEGORY 4 : 이론들 - 자유주의 이론들 ] 261
제 35 문. 상호의존이론과 한미자유무역협정에의 함의 (기출문제) 261
제 36 문. 남북관계에서 상호주의의 적용가능성 (기출문제) 265
제 37 문. 상대적 이익과 절대적 이익의 남북관계 적용 269
제 38 문. 민주평화이론의 내용과 한계 (기출문제) 275
제 39 문. 민주평화론과 민주화과정위험론의 동북아 적용 280
제 40 문. 민주화를 위한 군사적 개입의 실패 원인분석 288
제 41 문. 민주평화론과 자유무역/환경협력 적용 291
제 42 문. 세력전이, 세력균형, 민주평화이론의 미중간 관계 분석 (기출문제) 294
제 43 문. 세력전이론과 민주평화론의 미중관계 예측 299
제 44 문. 상대적 이익상황에서의 게임이론을 통한 국제협력 (기출문제) 302
제 45 문. 죄수의 딜레마와 겁쟁이게임의 남북관계적용 306
제 46 문. 비국가행위자의 활동평가 (기출문제) 312
제 47 문. 글로벌 거버넌스와 NGO의 역할 논의 (기출문제) 314
제 48 문. 자유주의이론간 비교 : 상호의존이론 vs. 신자유주의 vs. 민주평화이론 318

[ SUB CATEGORY 5 : 이론들 - 대안 이론들 ] 323
제 39 문. 동아시아 다자협의체 발전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해석: 국제사회학파 323
제 50 문. 구성주의관점의 남북관계 개선방안 328
제 51 문. 구성주의관점의 한국 지도자 해석 (기출문제) 332

PART Ⅲ. 이슈편
[ SUB CATEGORY 1 : 안보이론 - 동맹, 테러리즘. 안보, 핵, 군비통제 ] 339
제 01 문. 국제분쟁과 평화유지활동의 해결가능성 339
제 02 문. 국가안보와 인간안보관점의 북한 문제 343
제 03 문. 환경안보, 인간안보, 국가안보간 관계 350
제 04 문. 테러리즘완화 방안들 356
제 05 문. 테러리즘과 군사력사용의 유용성 361
제 06 문. 자살폭탄테러억제방안 365
제 07 문. 기대효용이론 차원에서 억지전략의 성공가능성 (기출문제) 370
제 08 문. 기대효용이론과 확장억지 조건 372
제 09 문. 북한 핵문제와 이란사례 : 이론적 설명, 핵폐기 사례들, 대북정책들 378
제 10 문. 1차 북한 핵문제와 2차 북한 핵문제 비교 (기출문제) 386
제 11 문. 미국의 대북 강압외교 성공가능성 389
제 12 문. 비확산. 반확산. 핵확산과 지역안성성 논쟁 (기출문제) 393
제 13 문. 확장억지와 청중비용 (기출문제) 397
제 14 문. 군비축소와 군비통제 비교 401
제 15 문. 안보공동체이론과 동아시아의 안보공동체 달성가능성 404
제 16 문. 제도로서 동맹에 대한 이론적 설명 408
제 17 문. 이론별 동맹 해석과 비교와 NATO 사례 (기출문제) 412
제 18 문. 위협균형이론과 세력균형의 차원의 한미동맹비교 415
제 19 문. 동맹안보딜레마 가능성 418
제 20 문. 극성과 동맹과 동맹안보딜레마 422
제 21 문. 허쉬만이론으로 분석한 한미동맹 (기출문제) 429
제 22 문. 미중간 동아시아 정책과 한국의 동맹전략 (기출문제) 434

[ SUB CATEGORY 2 : 국제정치경제학 - 무역, 지역주의, 금융, 투자 ] 441
제 23 문. 보호무역의 원인과 완화방안들 (기출문제) 441
제 24 문. 패권과 개방성간 관계논쟁 446
제 25 문. 베이징 컨센서스와 워싱턴 컨센서스 비교 (기출문제) 454
제 26 문. 패권과 경제위기의 반복성간 관계 457
제 27 문. 동아시아의 높은 지역화와 낮은 지역주의 원인 분석 (기출문제) 462
제 28 문. 지역 무역협정과 다자주의간 관계 (기출문제) 465
제 29 문. 브레튼우즈 Ⅱ 체제와 브레튼우즈체제 비교 468
제 30 문. 다국적기업의 투자 요인들 472

[ SUB CATEGORY 3 : 외교와 외교정책 - 국가별 외교정책, 외교정책결정과정, 외교정책방안 ] 476
제 31 문. 미국외교의 전통과 트럼프 외교 476
제 32 문. 중국위협론과 한국의 대응방안 480
제 33 문. 중국부상과 한국의 대응방안 487
제 34 문. 연성권력차원에서 중국패권가능성 495
제 35 문. 앨리슨모델과 북한의 해외무기구입적용 (기출문제) 501
제 36 문. 양면게임이론의 내용과 한계점 504
제 37 문. 중견국가와 공공외교간 관계 507
제 38 문. 중견국가의 권력 활용방안 512
제 39 문. 공적개발협력과 한국의 중견국외교 (기출문제) 515
제 40 문. 해외원조의 효과 논쟁 (기출문제) 520

[ SUB CATEGORY 4 : 국제기구 ] 522
제 41 문. 국제정치이론들간 안보리개혁비교 522

[ SUB CATEGORY 5 : 탈근대 주제 - 정보통신혁명, 환경, 인권, 문화 ] 525
제 42 문. 정보통신혁명과 권력, 안보, 국가역할 525
제 43 문. 기후변화협약과 국제정치이론의 제도화 가능성 논의 530
제 44 문. 공유지의 비극이론과 환경협력가능성 (기출문제) 533
제 45 문. 집단행동과 교토체제의 대안가능성 (기출문제) 537
제 46 문. 파리당사국 총회의 협력가능성논쟁 540
제 47 문. 기후변화협약의 제도화 가능성 논쟁 545
제 48 문. 보호책임 규범의 내용과 한계 (기출문제) 549
제 49 문.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관점에서 보호책임해석 553
제 50 문. 인권문제에 대한 경제제재의 효과 논의 (기출문제) 559
제 51 문. 헌팅턴 문명충돌론 논의 (기출문제) 564

저자소개

저자 신희섭은

[약 력]
고려대학교(학사), 동대학원 졸업(석사)
고려대학교 국제정치학박사 (안보전공)
고려대학교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한국지정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고려대학교강사
단국대학교강사
베리타스법학원강사(국립외교원 국제정치학전임/ 5급 공채 정치학전임)
공단기강사(외무영사직 국제정치학전임)
한국정치학회정회원
한국국제정치학회정회원
안암정치학회회원

[저 서]
『ALL -NEW 정치학강의 1 : 이론편』 (2016, 법문사)
『All-NEW 정치학강의2: 연습문제편』 (2017, 법문사)
『정치학강의 3』 (2015, 법문사)
『객관식국제정치학』(2017, 법문사)
『객관식국제정치학 2』(2017, 법문사)
『수험국제정치학』(2015, 학연)
『국제정치학연습 1』(2010, 마에스터)
『국제정치학강의』(2010, 마에스터)
『전쟁, 민주주의, 휴머니즘』(2008, 마에스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