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ㆍ5
제1장 지구화 시대의 미래비전
1. 후기근대와 창조성, 창조경제정책 그리고 창조행정ㆍ17
2. 지구화 시대의 이민, 이민정책, 이민정책학회ㆍ45
3. 국가의 통일정책 독점은 호소력 잃었다.ㆍ53
4. 관광의 패러다임 바꿀 때다ㆍ57
5. 글로벌 시각에서 본 청년(靑年)실업ㆍ61
6. 창조성을 창조적으로 바라보기ㆍ65
7. 공생발전론, 무엇이 문제인가?ㆍ69
8. 지구화 시대의 도래와 한국사회의 진로ㆍ73
9. G20의 개최와 지구시민교육의 과제ㆍ87
10. 이제는 ‘지구시민권’ 교육이다ㆍ93
11. 지구화 시대의 국정과제ㆍ97
제2장 국정개혁과 거버넌스
1. “광장민주주의 시대”의 국정개조 : 과제와 전략ㆍ103
2. 시민참여형 협치가 답이다ㆍ115
3. 100년만의 혹서와 기업국가의 등장ㆍ119
4. 한국의 행정학과 한국행정학회 : 회고와 전망ㆍ123
5. 겉도는 도로명 주소(住所) 어찌할 것인가ㆍ149
6. 공직사회의 5중고(重苦)ㆍ153
7. 朴정부 ‘집권 이데올로기’를 묻는다ㆍ157
8. 지금도 국제시장은 진행되고 있다ㆍ161
9. 성년 국민권익위의 시대적 사명ㆍ165
10. 규제개혁의 한계와 과제ㆍ169
11. 거버넌스 시대의 국정개조ㆍ173
12. 스마트 융합시대의 서비스 성공모델ㆍ177
13. 행정과 정치의 통섭 : 거버넌스에 대한 단상(斷想)ㆍ181
14. 국민권익구제제도로서의 옴부즈만ㆍ193
15. 한국 정부 60년의 회고와 전망ㆍ211
16. 한국의 거버넌스ㆍ223
제3장 정치발전과 민주시민교육
1. 문재인 정부출범 60일의 초상ㆍ231
2. 국민발안제도 도입을 제창한다ㆍ237
3. 국회의장의 중립성ㆍ241
4. 경기도 연정의 성공과 좌절ㆍ245
5. ‘한국형 제론토크라시’의 명암(明暗)ㆍ259
6. 비정상적인 내각 구성ㆍ263
7. 왜 지금 시민교육이 절실한가ㆍ267
8. 미래전략기구, 제대로 하려면ㆍ271
9. 정보사회에서의 간접민주주의(indirect democracy)ㆍ275
10. 왜 전자의회(e-의회)인가?ㆍ283
11. SNS와 정치발전ㆍ287
12. 정치개혁의 전략과 과제ㆍ291
13. 예결특위 계수조정위 현장 중계하라ㆍ295
14. 차라리 국회가 예산을 짜라ㆍ299
15. 청목회 문제, 정책후원회제도가 답이다ㆍ303
16. 민주시민교육, 국가 일방적 주도 안 된다ㆍ307
17. 한국 민주주의의 심화와 민주시민교육ㆍ311
18. 추석 민심 잘 들으셨나요ㆍ335
19. 왜, 지금 민주시민교육인가?ㆍ339
20. 민주시민교육은 무엇을 가르치는가?ㆍ345
제4장 지방분권과 시민사회
1. 세종시 비효율, 분권으로 극복할 때ㆍ355
2.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에서 본 지방분권ㆍ361
3. 제3세대 시민운동과 한국시민사회연감ㆍ373
4. 후기근대의 분권사회와 시민리더십ㆍ375
5. 분권사회의 전망과 민주시민교육의 전략ㆍ397
6. 세종시 논의, 무엇이 문제인가?ㆍ411
7. 한국시민사회연감 발간의 의의ㆍ421
8. 위기의 한국 시민사회ㆍ425
참고문헌ㆍ433
저자소개ㆍ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