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ㅣ 갈등의 이해
1. 갈등(葛藤, conflict)이란 무엇인가? 3
1) 갈등의 정의 3
2) 갈등(葛藤, conflict)과 분쟁(紛爭, dispute) 8
2. 갈등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갈등의 분류 10
1) 개인갈등과 집단갈등 10
2) 사실갈등과 관계갈등 11
3) 실제적(혹은 실질적) 갈등과 감정적 갈등 및 기타 갈등 13
3. 갈등이 생겨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14
1) 평화학의 입장에서 보는 갈등의 원인들 18
(1) 구조적 접근방법(structural approach) ● 18
(2) 인간필요이론(human needs theory) ● 20
(3) 제로섬(zero-sum) 문제해결방법 ● 20
(4) 전환적 접근(transformative approach)방법 ● 20
2) 심리·사회학적인 갈등의 원인 분석 21
(1) 장(場)의 이론(field theory) ● 21
(2)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이론 ● 23
(3) 한계상황(限界狀況) ● 24
(4) 차이(差異) ● 24
4. 갈등이 생기면 우리 몸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25
1) 스트레스 반응 25
2) 갈등에 반응하는 우리 몸 28
(1) 뇌(腦, brain) ● 28
(2) 자율신경계(自律神經系, autonomic nervous system) ● 31
(3) 스트레스에 따른 우리 몸의 반응과 영향 ● 36
3) 갈등에 대한 심리학과 생리학의 만남 38
제2장 ㅣ 갈등에서 벗어나기-갈등의 해결
1. 갈등해결(conflict resolution)이라는 학문의 탄생 55
2. 갈등해결이라는 용어 56
3. 갈등해결 역사의 변천 58
4. 갈등해결을 위해 제시된 여러 가지 방안들 63
1) 갈등해결의 접근방법-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의 접근 63
2) 인간필요이론, 문제해결식, 체계론적 접근 65
5. 개인차원의 갈등해결 69
1) 개인내적 갈등해결 69
(1) 개인내적 갈등의 인식 ● 69
(2) 개인내적 갈등-내 마음의 갈등, 어떻게 다스리나? ● 71
(3) 생의 전환기에서 맞는 갈등과 해결 ● 82
2) 개인 간 또는 복수의 주체를 대상으로 하는 갈등해결방법들 88
(1) 갈등상황에서 흔히 우리가 예측하고 있는 것들 ● 88
(2) 사람들이 갈등에 대처하는 방식들 ● 89
(3) 갈등관리와 해결을 위한 접근방식 ● 92
(4) 갈등의 전개양상에 따른 이해 ● 93
(5) 갈등개입의 필요성과 개입자의 역할 ● 95
(6) 개인 간 또는 복수의 주체가 대상인 갈등해결의 방법들 ● 97
6. 조정으로 갈등을 해결하기 150
1) 갈등조정으로 얻게 되는 이익 150
2) 조정환경 151
3) 갈등조정인의 자세와 자질 153
(1) 조정인의 기본적 자질 ● 153
(2) 조정인의 조정개입 시에 요구되는 능력 ● 155
(3) 조정의 중단과 실패를 가져오는 요인들 ● 157
4) 조정의 단계 161
(1) 조정과정에서 조정인의 역할 ● 161
(2) 조정수행의 절차(단계) ● 162
5) 조정인이 갈등조정과정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사항들 201
(1) 듣기과정에서 갈등당사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비언어적)
반응에 주의를 집중한다 ● 201
(2) 갈등상황에 있는 당사자들의 행동에서 갈등양식(conflict styles)을
파악한다 ● 204
(3) 의사소통방식에 유념한다 ● 205
7. 가족 및 부부갈등과 해결 217
1) 가족갈등 217
(1) 가족의 정의 ● 217
(2) 가족갈등 원인의 탐색과 해결을 위한 이론과 방법 ● 219
(3) 성공적이라고 인정받는 가족과 그들의 갈등해결방법 ● 243
(4) 부모-자녀와의 관계와 갈등 ● 247
(5)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관계와 갈등 ● 250
2) 부부갈등 252
(1) 혼인으로 이끄는 사랑의 정체와 그 의미 ● 253
(2) 혼인생활의 지속과 관련한 혼인만족도 및 혼인생활의 유형 ● 256
(3) 일상에서 경험하는 부부갈등의 형태 ● 260
(4) 부부갈등의 해결 ● 262
3) 이혼에 따르는 갈등과 해결 268
(1) 갈등의 요인들 ● 270
(2) 이혼갈등의 해결방법 ● 278
4) 상속갈등과 해결 288
(1) 상속문제를 생기게 하는 원인 ● 289
(2) 상속갈등 해결방법 ● 291
8. 집단, 조직, 공공갈등과 해결 292
1) 정의 292
(1) 집단과 조직의 정의 ● 292
(2) 집단갈등 또는 조직갈등의 정의 ● 293
2) 갈등의 원인 294
3) 갈등의 유형(categories)과 전개과정 297
4) 갈등의 영향 300
5) 집단 또는 조직의 갈등해결이 어려운 이유 301
6) 갈등의 관리와 해결을 위한 접근 및 해결방법 302
(1) 갈등해결을 위한 접근방법 ● 302
(2) 갈등의 관리와 해결을 위한 방법 ● 304
9. 한국사회의 갈등과 해결 310
1) 사회갈등의 정의 310
2) 우리 사회 갈등의 원인 312
3) 갈등의 특성과 유형별 접근방식과 해결 315
(1) 사회갈등의 일반적 특징 ● 315
(2) 사회갈등에 대한 접근방식 ● 316
(3) 갈등의 유형별 해결방법 ● 317
제3장 ㅣ 조정인의 윤리
1. 조정인의 윤리에 대한 정의 - 윤리, 도덕, 가치관 345
2. 윤리기준의 형성과정 348
3. 조정윤리규정 : 조정을 위한 행동모범의 기준(The Model Standards
of Conduct for Mediation)을 중심으로 350
1) 조정윤리에 관련되는 용어들 353
2)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357
3) 불편부당(不偏不黨, impartiality) 359
4) 중립성(中立性, neutrality) 362
5) 비밀보장(秘密保障, confidentiality) 365
6) 윤리적 갈등 367
(1) 윤리규정 자체가 가지는 문제점으로 인한 갈등 ● 367
(2) 윤리적 갈등의 실제 ● 369
참고 및 인용 문헌 377
인명색인 378
사항색인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