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대 미국의 기원 1

현대 미국의 기원 1

  • 토머스 휴즈
  • |
  • 나남
  • |
  • 2017-02-05 출간
  • |
  • 440페이지
  • |
  • 160 X 232 X 28 mm /1017g
  • |
  • ISBN 9788930089029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현대 미국 기술사회는 어떻게 건설되었는가?

이 책은 2014년 타계한 미국의 저명한 기술사가 토머스 휴즈의 역저 American Genesis: A Century of Invention and Technological Enthusiasm, 1870∼1970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책에서 휴즈는 흔히 ‘제2차 산업혁명’으로 일컫는 19세기 말 독일과 미국에서의 기술혁신을 출발점으로 삼아 지난 100여 년간의 미국 기술사의 흐름을 서술하였으며, 미국에서 시작된 그러한 변화들이 당대 유럽 사회(특히 소련과 독일)에 미친 영향까지도 함께 다루었다.
이 책은 미국 기술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시기를 길게 다루었지만, 해당 시기의 다양한 기술 발전을 분야별로 나눠 다루는 교과서적 체제를 택하지는 않았다. 대신 휴즈는 몇몇 역사적 사건과 계기들(독립발명가, 산업연구소, 세계대전, 테일러주의와 포드주의, 테네시강 유역 개발공사, 맨해튼 프로젝트, 대항문화)을 골라 깊이 있게 다루는 서술 방식을 택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휴즈가 평생에 걸쳐 구축한 핵심 개념인 ‘기술시스템’의 진화과정을 드러내기 위해 용의주도하게 선별, 배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휴즈는 현대 미국 사회를 형성한 주된 힘이 어떻게 발생하고 성장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사회에 뿌리내렸는지를 보여 주고자 하였으며, 이 책의 원제인 《미국의 창세기》가 의미하는 바도 바로 그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기술사라는 전문분야를 공부하는 소수의 학생들뿐 아니라 미국사나 서양사 일반에 관심을 가진 학자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근간을 형성하는 현대 기술의 힘이 어디서 나왔는지, 그것을 바꾸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고자 하는 일반 독자들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대 미국의 기원》

이 책에서 휴즈는 1870년부터 1970년까지 100여 년간의 미국 기술의 역사를 ‘기술시스템’의 진화과정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휴즈가 1870년대를 서술의 출발점으로 삼은 이유는 에디슨 같은 독립발명가들의 활동에 힘입어 전화, 전기, 석유 등과 같은 오늘날의 기술시스템이 태동하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 시기이기 때문이다.
제1권에서는 우선 에디슨, 스페리,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등 독립발명가들의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 휴즈는 독립발명가들에 공통된 다양한 특징들을 살펴보면서 발명가에 대한 기존의 낭만적이고 감상적인 시각을 거부하고 이들이 지녔던 과학적 체계적 방법론과 독특한 문화를 강조한다. 그리고 새로운 기술개발의 주체가 독립발명가에서 산업체 연구소로 점차 이전하는 과정을 서술하는데, 이 과정은 독립발명가들의 급진적 발명이 대기업 부설 산업연구소에 고용된 과학자들의 보수적 발명으로 대체되는 과정과도 겹친다. 또한, 프레드릭 테일러와 헨리 포드가 건설한 거대 생산시스템, 그리고 그 복잡성과 정교함에서 테일러와 포드의 시스템을 넘어서는 석유 정제 시스템과 광대한 전력 네트워크가 미국 기술에 지울 수 없는 각인(刻印)을 남겼음을 보여 준다.
제2권에서는 시선을 미국 바깥으로 돌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과 독일에서 미국의 기술과 생산 시스템을 열정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특히 냉전기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소련과 미국 간의 대규모 기술이전과 협력이 1920~1930년대에 상당히 일상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이 흥미로우며, 20세기 초 미국에서 전성기를 맞은 ‘제2차 산업혁명’을 당대 지식인과 건축가, 미술가들이 어떻게 수용해 현대 문화를 형성해 갔는지 또한 그려 낸다. 다음으로는 대공황기와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정부가 테네시강 유역 개발과 맨해튼 프로젝트를 통해 거대 기술시스템 건설에 개입하는 과정을 서술하는데, 특히 그간 물리학자들의 업적으로 여겨져 온 원자폭탄 개발 과정을 군대, 대기업, 엔지니어, 과학자들이 서로 뒤엉킨 거대시스템의 건설로 재해석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으로는 20세기 전반기를 풍미한 거대 기술시스템에 대한 열광이 1960년대 이후 수그러들면서 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표출되고 문제점이 드러나는 과정을 서술한다.
휴즈의 대중강연 원고를 엮은 그의 마지막 저서 Human-Built World: How to Think about Technology and Culture(2004)가《테크놀로지, 창조와 욕망의 역사》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번역, 소개된 바 있으나(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되었다), 휴즈의 본격적인 저작으로는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이 책이 기술시스템 개념뿐 아니라 미국 기술의 역사와 기술-사회 관계 전반을 논의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5
감사의 글 9

서론: 기술의 격랑 19

제1장: 인간이 지닌 창의성의 거대한 해일 39
독립발명가들 51
기계공작소와 실험실 57
모형제작자와 숙련기술자 83
이론과 실험 93

제2장: 문제의 선택과 해결 103
두드러진 특징들 105
벨과 라이트 형제 108
디포리스트와 페센든 117
테슬라의 선택 122
에디슨과 스페리: 직업발명가들 127
역돌출부와 결정적 문제 134
영감이 떠오르는 순간과 은유 140
자금의 탐색 156

제3장: 군대를 위한 두뇌 공장 175
연속 포격 181
라이트 형제 184
하이럼 맥심의 기관총 190
엘머 스페리의 자이로 193
페센든, 디포리스트, 그리고 관료 조직 201
기술혁신과 지구전 207
해군자문위원회 213
항공 어뢰 229
제어 242
군혁복합체 245

제4장: 궁핍한 과학자들을 위한 자선 구호시설은 없다 247
에드윈 암스트롱: 괴롭힘을 당한 독립발명가 250
산업연구소: 벨 전화회사 267
휘트니와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소 280
듀폰 304
살아남은 독립발명가 313

제5장: 시스템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319
테일러주의 326
포드주의 350
하일랜드 파크와 리버 루지 356
자동차 생산과 사용 시스템: 석유 정제 376
시스템 건설자, 인설 387
기술시스템의 관리인들 412
베블런의 엔지니어 평의회 417

찾아보기 423
지은이·옮긴이 약력 43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