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_1
part 01 의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도전
chapter 01 의학교육의 갈등구조 및 변화관리 원칙 11
1. 의학교육은 명분이다 13
2. 의학교육은 열정이다 16
3. 의학교육은 게임이다 17
4. 의학교육은 모순이다 21
5. 의학교육은 팀워크이다 23
6. 의학교육은 단계이다 25
7. 의학교육은 협상이다 30
chapter 02 학생평가에 있어 Pass/Non-pass 제도와 의학교육문화 환경 35
■ 시작하는 말 35
■ 상대평가를 통하여 경험한 의학교육의 문제점 36
1. 의미 없는 경쟁이 의미 있는 경쟁을 막아섰다 36
2. 최고의 학생들을 받아들인 후 절대 다수의 학생을 스스로 실패자라 인식하게 만들었다 37
3. 동급생들을 동료가 아닌 경쟁 대상자로 인식하게 하여 협력 능력을 낮추었다 39
■ 절대평가 제도를 통하여 기대하는 교육문화 환경의 변화 40
1. 암기의 경쟁이 아닌, 자기개발의 경쟁이 있기를 바란다 40
2. 학습이 개인의 일이 아닌 공동의 일이 되어 협력 능력이 커지기 바란다 41
3. 최종적으로 학생 각자가 스스로에 대하여 자부심을 가지고 자기 영역에서 최고의 전문가로서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42
■ 마치는 말 42
chapter 03 의료현실과 의료정책, 의학교육의 불일치와 미래방향 44
■ 네 가지 사례 44
■ 한국 의료현실과 의료정책, 그리고 의학교육의 불편한 진실 46
1. 자격과잉의 의사들이 지나치게 긴 기간을 통하여 양성되고 있다 47
2. 의사양성 교육의 내용과 질 관리의 비효율성이 커지고 있다 48
3. 의대생들은 자신들의 진로선택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하고 있다 50
■ 미래를 위한 제안 및 결론 50
1. 합리적인 국가 의료시스템에 대한 비전과 그 시스템에서 활동하게 되는 의사들에게 요구되는 바람직한 의사상을 만들어야 한다 51
2. 기본의학교육(BME), 졸업 후 수련교육(GME), 의사의 평생교육(CPD)이 “의사양성”이라는 큰 개념하에 통합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51
3. 의사양성 교육과정의 질 관리가 더 강화되어야 한다 52
4. 의학교육과 의사양성은 궁극적으로 국가의 미래를 위하여 다양한 고급인재를 키워내는 것을 그 목표로 하여야 한다 53
part 02 세계의학교육의 흐름
chapter 04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 교육과 진로지도 59
■ 시작하는 말 59
■ 의학교육을 위한 제언 60
1. 프로패셔널리즘 교육의 강화 60
2. 진로지도(Carrier in Medicine-CiM) 63
3. 임상기술 교육의 강화 67
4. 의학교육자의 발굴과 개발 67
5. 학생 관리 및 지원 70
6. 의학교육 기금 설립 73
■ 결론 74
chapter 05 학생개발과 교수개발 76
■ 시작하는 말 76
■ 학회에서 강조된 내용들 77
1. 학생 교육 77
2. 학생 지도(Student Affair) 81
3. 교수개발 83
■ 마치는 글 86
chapter 06 국제화와 통합교육 87
■ 시작하는 말 87
■ 새로운 경향들 87
1. 의학교육의 국제표준화 흐름 87
2. 의학 수준의 치열한 경쟁 및 의학교육에 대한 집중 투자 89
3. 기초의학, 임상의학, 인문사회의학의 통합 교육 90
4. 의학교육에서의 멘토의 강조 95
5. 기금 모금과 동창회 참여 95
6. 그 외의 몇 가지 중요한 점들 98
■ 마치는 말 101
chapter 07 입학관리와 커리큘럼 개발 104
■ 시작하는 말 104
■ 본 론 105
1. 현대 의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성찰 105
2. 후진국 의사들의 선진국으로의 이동(Brain Drain) 문제 108
3.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관리 111
4. 새로운 교육 커리큘럼 개발 114
5. 의학 교육 평가에 대한 새로운 생각 116
6. 의대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중요성 117
7. 미래의 의사와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의 교육 평가 120
■ 마치는 말 121
chapter 08 학생연구교육과 정신건강지원 122
■ 시작하는 말 122
■ 학회에서의 강조점들 122
1. 학생 연구 프로그램의 운영 122
2. 정신과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어떻게 도울 것인가? 126
3. 의과대학 정원 증가 노력? 128
4. 의학교육에서의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과 교수들의 역할 129
5. 의대 학생들의 비전문가적 행동(unprofessional behavior)과 교육? 131
6. Institute for improving Medical Education(IIME)의 보고서 133
7. 의료의 변화와 그에 따른 의학교육의 변화 135
■ 마치는 말 137
chapter 09 학생선발과 새로운 교육영역들 140
■ 시작하는 말 140
■ 학회에서의 강조점들 140
1. 더 좋은 학생 선발을 위한 고민들 140
2. 더 넓은 의학교육의 시각을 위한 생각들 145
3. 새로운 의학교육의 영역들 149
4. 기타 153
chapter 10 교수개발과 소명교육 155
■ 시작하는 말 155
■ 학회에서의 강조점 155
1. 교수들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155
2. 의대생들의 의사로서의 소명 교육 158
3. 비엔나 의대 교육과정의 특징 160
4. 의학사 교육이 가지는 힘 161
part 03 인문사회의학교육과 학생개발
chapter 11 의과대학에서의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 교육 165
■ 프로란 누구인가? - 프로의 네 가지 조건 166
■ 의과대학 교육에서 어떻게 프로 의사들을 만들어 낼 것인가? 168
1. 가르치는 교수들이 가르치는 데 있어 프로여야 한다 168
2. 학생들의 사고 능력과 사고 깊이를 키워주는 인문사회의학적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169
3. 학생들이 새로운 질문과 지적 도전을 하는 것이 격려되고, 도움을 받는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171
4. 의사로서의 진정한 소명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172
■ 마치는 글 - 미래를 위한 제안들 175
chapter 12 정보화시대와 의학교육의 미래 178
■ 시작하는 말 178
■ 앞으로의 의학교육은 어떻게 변하여야 할까? 181
1. 암기 잘하는 의사가 아닌, 생각을 잘하는 의사를 키워내야 한다 181
2. 단편적 지식 정보들을 맞추어 큰 그림을 만들어 낼 줄 아는 의사를
키워내야 한다 183
3. 인간과 사회에 대하여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의사를 키워내야 한다 185
4. “학습”에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의학교육이 되어야 한다 186
5. 특성화 및 맞춤형 의학교육이 되어야 한다 189
■ 마치는 말 190
chapter 13 나의 NIE 시험문제 출제기 193
chapter 14 의과대학 학습 부적응자들에 대한 이해와 문제제기 196
■ 시작하는 말: 의대생들에 대한 오해 196
■ 학습 부진의 학생 측 원인 197
1.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부족(오해 1) 197
2. 의학공부에 대한 흥미 부족(오해 2) 198
3. 자기 관리 능력 부족(오해 3) 199
4. 학업 이외의 문제들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문제(오해 4) 200
5. 경쟁과 과도한 학업 부담의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함(오해 5) 201
■ 학습 부진의 학교 측 원인 202
1. 학습목표와 학습내용 204
2. 교육 철학과 교육 목적 205
3. 학생 개개인의 자기개발 지원 207
4. 학생 평가와 전공의 선발 방식 209
5. 의료와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의대 교수들의 모습과 삶 211
■ 마치는 말: 학습의 부진을 넘어서 212
1. 의학 교육에 있어서는 눈에 띄는 ‘학습 부진학생’들보다 눈에 안 띄는 ‘자기개발 부진학생’들이 훨씬 더 심각한 문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212
2. 학생들에 대한 존중(respect)에서부터 모든 해결책이 시작되면 좋겠다 213
chapter 15 의과대학생 학습 및 생활지도의 새로운 모색 / 학생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214
■ 서 론 214
■ 상담 사례에서 나타나는 의대생/의전원생의 학습과 생활에서의 문제점 217
1. 학습의 문제점 217
2. 열등감과 정신건강의 문제 220
3. 자기개발과 자기실현에서의 불안?? 222
4. 삶의 다양한 문제들과 가치관 형성의 어려움 223
5. 상담을 하러 나서지 못하는 학생들 225
■ 의대생 학습 및 생활 지도를 위한 제언 226
1. 학생들에게 “의대에서 공부하는 방법”을 교육시켜야 한다 226
2. 새로운 의대 학습 문화의 창출 지원 227
3. 전공의 선발에 있어 다면적 평가 시스템의 도입 228
4. 상담을 담당해 주시는 교수들과 멘토(mentor)의 필요 229
5. 가치관 지향적인 의학교육의 필요? 230
■ 결 론 230
chapter 16 의학교육의 새로운 소리들 234
닫는 글: 내가 지금 알고 있는 것들을 20년 전, 그 본과 시절에 알았더라면_241
찾아보기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