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목회돌봄과 상담 사전 요약판

목회돌봄과 상담 사전 요약판

  • 글렌 애스퀴즈 (엮음)
  • |
  • 한울아카데미
  • |
  • 2013-09-25 출간
  • |
  • 381페이지
  • |
  • 150 X 223 X 30 mm /568g
  • |
  • ISBN 9788946047419
판매가

27,000원

즉시할인가

26,73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7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오늘날의 세계 상황에 대한 목회상담학의 충실한 응답,
목회돌봄과 상담의 정수精髓로 안내하는
대표 사전의 한글 번역판

“이 사전은 목회신학을 하나의 학문 분야로 규정했으며, 목회신학 및 목회돌봄과 상담의 역사와 방법론을 설명하면서 문화 간 그리고 종교 간 이해를 돕는 중요한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신앙에 기반을 둔 상담가들이 직면하는 매우 다양한 임상적이고 목회적인 상황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주석도 제공하고 있다.” _ 한국어판 서문 중에서

∥책 소개

“인간의 치유와 돌봄에 대한 기독교 목회신학의 응답,
목회상담의 본질과 주요 쟁점을 다룬 목회상담학의 대표적 사전”

목회상담자들이 현장에서 부딪히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조명해줄 전문 사전이 출간되었다. 1990년에 방대한 분량의 『목회돌봄과 상담 사전(The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이 발간된 것은 이 분야에서 기념할 만한 사건이었고, 20년이 지난 2010년에는 요약판이 발간되었다. 그 후 3년이 지나서 이 요약판이 부산장신대학교의 장보철 목회상담학 교수에 의해서 한국어로 번역되어 나왔다.
이 사전은 목회돌봄과 상담의 기본 개념과 정의들, 목회상담의 역사와 전통에 크게 공헌한 인물들의 생애와 업적, 목회신학의 관점에 비추어 실제 상담과 돌봄 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방법론적 문제들, 임상적 접근의 중요 영역들, 더 나아가 여러 종교 전통들 간의 돌봄 이슈와 방법들, 포스트모던 상황에서 제기되는 특수한 주제들에 이르기까지 목회상담에 관계된 전반적 영역을 다루고 있다. 목회상담학의 고전적인 주제들과 최신의 진보적 쟁점들까지 폭넓게 다룬 이 사전을 통해 인간성의 참된 회복과 전인격의 향상으로 이끄는 기독교 목회상담의 정수를 만날 수 있다.

▶ 관련 분야의 세계적 리더들이 참여한 전문 사전
이 사전을 구성하는 6개의 장에 걸친 82개의 주제들에 대해서는 목회신학, 목회돌봄과 상담 분야에서 크게 활약해온 전 세계의 전문가들 62명이 집필했다. 필진들에는 하워드 클라인벨(Howard Clinebell), 찰스 거킨(Charles V. Gerkin), 리스톤 밀스(Liston O. Mills)와 같은 대표적인 현대 목회상담학자들, 위르겐 몰트만(Ju?rgen Moltmann)과 같은 세계적 신학자, 목회돌봄 분야의 새로운 쟁점을 연구해온 크리스티 코자드 뉴거(Christie Cozad Neuger), 파멜라 쿠퍼-화이트(Pamela Cooper-White) 같은 인물들도 포함된다. 미국과 유럽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의 글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이슬람이나 아프리카 상황 그리고 소수자 그룹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필진들도 참여했다. 따라서 이 사전은 목회상담의 고전적 견해와 현대적 쟁점, 문화와 종교 간 맥락을 아우르는, 오늘날 목회상담의 동향을 충실하게 압축해낸 목회상담학의 총괄적 성과물이다.

▶ 기독교 역사와 전통 속에서 목회상담의 정체성과 뿌리를 밝히다
또한 이 사전의 고유한 생명력은 기독교 역사와 전통에서 목회돌봄과 상담이 차지하는 자리를 별도의 장으로 깊이 검토한 데 있다. 영혼의 돌봄 문제를 다루어왔던 아주 오랜 기독교 초기 전통과 교부들의 견해, 르네상스 시대와 종교개혁 이후로 발전해온 목회돌봄의 쟁점들, 그리고 근현대의 대표적 목회신학자, 목회상담가들, 더 나아가 포스트모던 상황이 제기하는 목회상담학의 과제들, 그리고 가장 최근의 목회신학의 성과를 대변하는 인물들도 소개하고 있다. 특별히 소개된 17명의 주요 인물들 중에는 목회돌봄 영역의 뿌리가 되어준 기독교 교부 성 암브로시우스에서 시작하여, 현대 임상목회교육의 창시자인 안톤 보이슨(Anton Boisen), 그와 협력했던 의사이자 윤리학자인 리처드 캐봇(Richard C. Cabot), 방대한 저작을 통해 현대 미국의 목회돌봄 전통에 혁혁한 공을 세운 시워드 힐트너(Seward Hiltner), 전후 미국의 목회상담운동을 이끈 선도적 인물인 웨인 오츠(Wayne E. Oates), 조직신학자로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관관계를 통찰한 폴 틸리히(Paul Tillich) 같은 인물들이 포함된다. 아울러 현대 과학과 목회상담 분야 간의 상호 교류를 추진했던 두드러진 흐름으로서 임마누엘 운동(Emmanuel Movement), 목회돌봄운동(Pastoral Care Movement)의 주요 내용과 의의도 다루고 있다.

▶ 여러 학문 분야들의 성과를 토대로 포스트모던 이슈들을 고려한 사전

“목회상담 분야에는 신학, 목회학, 심리학, 인류학, 정신의학 등 여러 분야의 연구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뒤섞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목회신학의 관점에서 신학과 인문학 사이의 관계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필수이다. 이번 요약판의 한 가지 큰 특징은 포스터모던 상황에서 목회상담 분야가 관심을 갖고 추구해야 할 내용들을 잘 정리해주었다는 것이다.”
ㅡ 홍영택(감리교신학대학교 목회상담학 교수, 한국목회상담협회 전 회장)

전문적인 목회상담을 위해서는 이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쳐온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성과들, 인간 행동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과학의 연구 성과들도 참조할 필요가 있다. 이 사전은 이러한 학문 분야 간 주제들을 목회신학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목회상담의 주제들을 더욱 심층적으로 다루는 한편, 넓은 맥락의 사회적 건강이라는 차원에서 현대인의 고통과 고립, 차별을 극복하고 목회상담을 통해 인간의 전인격을 회복하기 위한 접근으로 나아가도록 안내하고 있다. 여기에는 임상에 관계된 정신분석학의 이론들, 페미니스트 신학과 해방신학,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 및 사회정의에 관한 이슈들이 목회상담과의 상관성 속에서 다뤄지고 있으며, 다양한 종교 전통들 간의 목회돌봄 이슈와 방법들, 포스트모던 이론과 탈식민주의 문화이론도 강조되고 있다.

∥신간 출간의의(출판사 서평)

“DPCC의 요약판인 이 사전이 다루는 주제들은 기본적이고 중요하며 최근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독자들은 핵심 주제들에 대한 간결하고 유용한 정보와 통찰 그리고 자극을 얻을 것이며,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는 문헌들을 보완하는 교육 자료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ㅡ 로드니 헌터(Rodney J. Hunter, 에모리 대학교 캔들러 신학대학원 목회신학 명예교수, DPCC 총괄 편집자)

목회돌봄이 인간 문제를 다루는 기독교의 사역 행위 전반을 가리킨다고 할 때, 어떤 개념을 가지고 어떤 문제에 주목해야 할지 판단할 수 있는 안내도가 그려져야 할 것이다. 상담의 실제 이론이나 개별적 접근을 하기에 앞서 목회상담에 입문하는 신학생이나 전공자들은 이 사전을 긴요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회상담의 정체성, 방법론적 원리들, 현장에서 부딪히는 어려움을 평가하고 성찰하기 위한 교육 자료로서 그 역할을 하리라 기대된다. 아울러 오늘날 이 분야에서 지도자나 감독자로 일하는 목회자들, 신학자들, 상담전문가들에게는 더욱 효과적인 돌봄과 상담이론의 토대 위에서 심층적인 사안으로 나아갈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해줄 것이다. 각 주제 항목이 끝날 때마다 제시되는 많은 참고문헌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연구 과제들을 발전시키고 관련 분야의 쟁점들에 관한 대화를 촉진하고 방법론을 정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1990년의 방대한 최초판은 현재 절판이 되어 구하기 힘든 상황이고 한국 기독교 목회상담학이 자리를 잡는 40여 년 동안 체계적인 전문 사전이 없었던 점에 비추어 볼 때, 요약판 『목회돌봄과 상담 사전(The Concise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의 한국어판 출간은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독교인들에게 반가운 일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사회에서도 갈수록 정신치료와 사회적 돌봄의 이슈들이 중요해지고 있어 치유의 맥락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사전은 기독교 목회상담을 위한 안내서이지만, 한걸음 더 나아가 사회의 건강을 일구기 위해 헌신하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인간과 사회의 고통과 치유에 연관된 주요 문제들에 접근할 수 있는 충실한 자료와 시각을 제공해줄 것이다.

* 책속으로 추가
극단적으로는, 심리학 이론이 유일한 이차적 개념론으로서 목회상담가들에게 익숙해져버린 경우도 있다. 그런 경우에 종교 언어는 단지 어떤 다른 (예를 들어 심리학) 용어들을 통해 설명되고 이해되어야 하는 자료로서만 간주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사례들 때문에 신학과 인간과학의 비판적인 대화가 매우 시급해지고 있는 것이다. _ 368쪽

목차

한국어판 서문
추천사
옮긴이 서문
서문
기고가

1 정의DEFINITIONS
수용Acceptance|원형Archetype|성경적 목회돌봄과 상담Biblical Pastoral Care and Counseling|탈진Burnout|영혼의 돌봄Care of Souls(Cura Animarum)|감정이입Empathy|유도심상기법Guided Imagery Technique|장애와 불구Handicap and Disability|항상성Homeostasis|호스피스Hospice|식별된 환자Identified Patient|개성화Individuation|평신도 목회돌봄과 상담Lay Pastoral Care and Counseling|살아 있는 인간문서Living Human Document|이야기 치료Narrative Therapy|임사체험Near-Death Experience|과잉기능Overfunctioning/과소기능Underfunctioning|목회돌봄과 상담Pastoral Care and Counseling|임재의 사역Presence, Ministry of|제시된 문제Presenting Problem|심리생리학적 치료Psychophysiological Therapy|합리적-정서적 심리치료Rational-Emotive Psychotherapy(RET)|샤먼Shaman|영혼Soul|만짐/육체적인 지지Touching/Physical Support|대화록Verbatim

2 역사와 주요 인물들HISTORY AND BIOGRAPHY
성 암브로시우스Ambrosius [of Milan], St.|리처드 백스터Baxter, Richard|스마일리 블랜턴Blanton, Smiley|안톤 보이슨Boisen, Anton|존 서덜랜드 보넬Bonnel, John Sutherland|마르틴 부처Bucer, Martin|리처드 캐봇Cabot, Richard C.|하워드 클라인벨Clinebell, Howard|조지 앨버트 코Coe, George Albert|러셀 딕스Dicks, Russel|헬렌 플랜더스 던바Dunbar, Helen Flanders|임마누엘 운동Emmanuel Movement|오스틴 필립 길스Guiles, Austin Philip|시워드 힐트너Hiltner, Seward|웨인 오츠Oates, Wayne E.|목회돌봄Pastoral Care(역사, 전통들 그리고 정의들)|포스트모던 상황에서의 목회돌봄과 상담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a Postmodern Context|목회돌봄운동Pastoral Care Movement|폴 틸리히Tillich, Paul|데니얼 데이 윌리엄스Williams, Daniel Day|캐롤 와이즈Wise, Carroll A.

3 힘과 차이에 관한 쟁점들ISSUES OF POWER AND DIFFERENCE
흑인신학과 목회돌봄Black Theology and Pastoral Care |상황신학Contextual Theology |페미니스트 신학과 목회돌봄Feminist Theology and Pastoral Care |게이와 레즈비언 공동체의 비통Grief in the Gay and Lesbian Community |해방신학과 목회돌봄Liberation Theology and Pastoral Care |아메리카 원주민을 위한 목회돌봄Native Americans, Pastoral Care of |에이즈 위기와 목회돌봄: 아프리카의 관점에서Pastoral Care in the AIDS Crisis: For an African Perspective|가난한 사람들Poor Persons|힘Power|인종주의Racism|성차별주의Sexism|사회정의 이슈들과 목회돌봄Socail Justice Issues in Pastoral Care

4종교 간 이슈들과 방법들INTERFAITH ISSUES AND METHODS
아프리카 전통 종교의 개인 돌봄African Traditional Religion, Personal Care in|블랙 무슬림의 돌봄과 상담Black Muslim Care and Counseling|하시디즘의 돌봄과 상담Hasidic Care and Counseling|이슬람의 돌봄과 상담Islamic Care and Counseling|유대교의 돌봄과 상담Jewish Care and Counseling|아메리카 원주민 전통 종교의 개인 돌봄Native American Traditional Religion, Personal Care in|서인도제도 전통 종교의 목회돌봄West Indian Traditional Religion, Pastoral Care in

5임상적 방법CLINICAL METHOD
에이즈AIDS(목회적 이슈들)|알코올 남용과 중독, 치료Alcohol Abuse, Addiction, and Therapy|위기개입이론Crisis Intervention Theory|약물 남용과 의존, 치료Drug Abuse, Dependence, and Treatment|가족이론과 가족치료Family Theory and Therapy |가정 폭력Family Violence|비통과 상실Grief and Loss|간주관성, 역전이, 그리고 목회돌봄과 상담에서의 자기 사용Intersubjectivity, Countertransference, and Use of the Self i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결혼 전 상담Premarital Counseling|자살Suicide(목회돌봄의 관점에서)

6목회신학 방법론PASTORAL THEOLOGICAL METHOD
사례연구법Case Study Method|종말론과 목회돌봄Eschatology and Pastoral Care| 치유Healing|목회적 해석과 해석학Interpretation and Hermeneutics, Pastoral|목회신학 방법론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의례와 목회돌봄Ritual and Pastoral Care

찾아보기(주제어 가나다순)

저자소개

저자 글렌 애스퀴스(Glenn H. Asquith Jr., PhD)는 펜실베이니아 주 앨런타운에 있는 애즈베리 연합감리교회(Asbury United Methodist Church)의 목회돌봄 책임자이며, 목회상담가로서 개인적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최근에 펜실베이니아 주 베들레헴에 있는 모라비아 신학교의 목회신학 교수직과 목회상담 프로그램 석사 과정 지도교수직에서 은퇴했다. 미국 목회상담가협회의 펠로(Fellow) 회원이며, 1990년 어빙돈 출판사에서 출간된 『목회돌봄과 상담 사전(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최초판의 책임편집 자문위원으로 일한 바 있다.

도서소개

이 사전은 목회돌봄과 상담 분야의 이론, 경향, 실천을 안내하는 고전적이고 핵심적인 글과 함께 최근 이슈를 반영한 새로운 글도 덧붙였다. 목회돌봄과 상담의 개념, 역사와 주요 인물, 힘과 차이에 관한 쟁점들, 종교 간 이슈들과 방법들, 임상적 방법, 목회신학 방법론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