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과학적 실천과 일상적 행위

과학적 실천과 일상적 행위

  • 마이클 린치
  • |
  • 나남
  • |
  • 2015-09-20 출간
  • |
  • 555페이지
  • |
  • 155 X 225 X 32 mm /935g
  • |
  • ISBN 9788930086752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31,68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6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과학적 진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민속방법론과 새로운 과학사회학


현대사회에서 과학은 진리, 또는 사실이라는 이름으로 거의 모든 활동과 판단, 심지어 학문에도 토대로 작용한다. 달리 말해, 현대사회는 과학의 토대 위에 세워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과연 과학은 사회학의 연구대상이 될 수 있을까? 과학을 내용(지식)과 제도(조직)로 나눠 볼 때, 과학의 제도는 그 속성이 사회적이니만큼 사회학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지만, 과학의 내용은 비사회적인 진리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니만큼 사회학보다는 철학의 대상이라는 것이 기존의 지배적 인식이었다.
이런 지적(知的) 환경 속에서, 과학과 사회학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전복시키려는 과감한 시도가 있었다. 그 출발점에는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과학학과의 데이비드 블루어(David Bloor)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프로그램이 지닌 급진성을 강조하고자 ‘스트롱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프로그램은 만하임의 지식사회학의 문제의식을 과학지식에까지 과감하게 연장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제도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머튼의 과학사회학을 비판하면서 사회학이 진정으로 다뤄야 할 것은 과학의 제도가 아니라 내용임을 강조했다. 한마디로, 과학의 인식론적 특권을 해체하고 사회학의 연구대상으로 삼을 수 있음을 천명한 것이다.
이런 급진적 주장은 당연히 사회적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우리가 과학적 사실을 우리의 사고와 행위, 판단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 이유는 그것이 객관적이고, 보편적이고, 합리적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과학의 신뢰는 종교적 신봉과 구분될 수 없을 것이다. 과학지식사회학은 과학의 인식론을 상대화함으로써 과학을 사회학의 분석 대상으로 삼았고, 그 결과 과학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런 과학지식사회학의 주장이 진지하다는 것을 보이려면 그 토대의 견고성을 전제해야 한다. 하지만 성찰성은 과학지식사회학의 주장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고약한 회의주의를 낳는다. 이제 과학지식사회학은 실재론과 회의주의의 딜레마에 빠진다. 회의주의를 피하기 위해서는 실재론으로 회귀해야 할 것 같고, 실재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회의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을 듯하다. 이 책의 저자인 린치는 이를 반(反)토대주의가 가질 수밖에 없는 숙명과 같은 것으로 본다. 이 책의 문제의식은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하며, 숙명의 족쇄를 깨뜨릴 수 있는 가능성을 민속방법론, 특히 민속방법론적 업무 연구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민속방법론 주장의 핵심은 모든 사회적 실천과 행위가 위치 지워져(situated) 있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보편성과 필연성이 아니라 맥락성과 우연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 준다. 즉 전문과학의 방법에서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은 그 방법의 초월성이나 우월성이 아니라 그 방법이 사회과학자들이라는 전문가 집단 사이에서 통용되는 ‘국지적으로 해명 가능한’ 것에 불과하다는 제한성이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은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함의를 던져 준다. 게임들마다 특정한 규칙이 있지만 그 모두를 관통하는 게임의 보편적 규칙을 상정할 필요는 없다. 게임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규칙을 배울 필요가 있지만, 게임이 규칙 따르기 시합은 아니다. 게임을 할 줄 안다는 것은 단순히 규칙을 알고 있다는 것과 같지 않다. 마찬가지로, 문법을 아는 것과 언어의 능숙한 사용이 반드시 같지는 않다. 우리가 아무 불편 없이 말을 할 수 있는 것은 언어 사용자들이 이미 그 말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언어도 일종의 게임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속방법론적 업무 연구는 과학지식사회학에게 실재론과 회의주의라는 수렁을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해 준다. 그 핵심은 질문을 달리하는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이 그것을 잘 보여 준다. 언어게임이 묻는 것은 그 게임의 토대―즉, 보편성이나 규칙, 문법 등―가 존재하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아니라, 그런 토대가 없는데도 언어게임이 아무런 문제 없이 수행될 수 있는 이유다. 언어 사용자들은 철학자들처럼 문법적 토대의 확고한 입증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적실한 활용에 관심을 기울인다. 문법적 토대에만 기초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언어 사용자들이 언어를 적실하게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민속방법론적 업무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받아들여 특정 업무의 인식론적 토대가 아니라 구성원들이 해당 업무를 적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유를 묻는다. 이 ‘잃어버린 무엇’(missing what)을 찾는 일이야말로 사회과학이 그동안 방기했던 중요한 임무다.
저자는 우리가 사는 세계와 이를 분석하는 것이 의미하는 바가 어떠한가를 보여 주기 위해서 교통의 선형적(線型的) 사회를 예로 든다. 만약 내가 운전 중인 운전자라면 나는 교통 환경을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할 것인가? 내 시선이 닿고, 내 감각이 허락하는 선을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즉, 우리의 실천이란 초월적일 수 없고, 주어진 환경에 위치 지워진 것이다. 이런 환경 속에 있는 운전자가 교통상황 전체를 파악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이 문제는 일상적 실천과 전문적 실천의 관계를 생각해 보게 한다. 과연 전문과학의 방법은 어떤 근거로 세속과학의 방법보다 보편적으로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는가?
결국,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실천행위를 서술하는 것이다. 이런 학문적 실천이 사회적으로 어떤 실천적 의미를 갖는지는 여전히 미지수이지만, 인식론적으로 실재론과 회의주의(상대주의)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이 책의 저자가 인식론의 근본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완벽한 해답을 제시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문제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위한 중요한 일보를 내디뎠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5

서론 11
사회학과 초분과적 비판담론 14
파편적 프로그램들과 복잡한 뒤섞임 19
이 책의 설계 23

제1장 민속방법론 29
가핑클의 민속방법론의 발명 33
초기 기획 44
중심 텍스트와 그 정책기조들 47
민속방법론 연구의 두 프로그램 64
민속방법론에 대한 비판 69
결론 89

제2장 ‘낡은’ 과학사회학의 몰락 91
‘낡은’ 과학사회학 비판 92
지식사회학에서 스트롱 프로그램의 공고화 135

제3장 새로운 과학지식사회학의 출현 141
스트롱 프로그램의 정책기조 146
스트롱 프로그램의 자손, 형제자매, 친족들 160
상대주의 및 구성주의 연구의 위기 191
탈(脫)구성주의적 추세 199
민속방법론적 업무 연구 209

제4장 현상학과 원(原)민속방법론 215
자연과학의 현상학적 계보학 217
국지적으로 조직화된 활동 227
코프먼, 슈츠, 원(原)민속방법론 239
원민속방법론을 넘어서? 269
부록: 교통의 선형적 사회 272

제5장 비트겐슈타인, 규칙들, 인식론의 논제들 281
비트겐슈타인과 규칙 회의론 285
정형화와 실천행위 322
수학의 사회학에서 수학의 실천학으로 339
비트겐슈타인의 경험적 연장을 향하여 345

제6장 분자사회학 349
인간 행동의 자연관찰적 과학 351
대화분석의 전문화 368
구성원의 직관과 전문적 분석 410
발화행위의 통속적이고 분석적인 범주들 419
분석 제거하기 430
부록: 분자생물학과 민속방법론 436

제7장 통성원리에서 개성원리까지: 민속방법론적 업무 연구 447
잃어버린 무엇 457
본질적 내용으로부터 반복 가능한 인식논제들로 464
교육받은 행위와 생활세계 쌍 482
원시적 인식논제들의 탐구를 향하여 501

결론 517
탈분석적 과학학 521
질서정연하고 일상적인 것으로서의 과학 527

*옮긴이 해제 535
*감사의 글 547
*찾아보기 551
*지은이/옮긴이 약력 555

저자소개

저자 마이클 린치(Michael Lynch)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 Irvine)에서 사회과학(Social Sciences)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대학원 과정인 과학기술학과(Department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의 교수이자 학장 대리로 재직 중이다. 그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실험실, 의료시설, 재판소 등에서의 담론, 시각적 재현, 실천행위 등이다. 그는 이 책으로 1995년 미국사회학회 과학지식기술분과(Science, Knowledge and Technology Section)에서 로버트머튼상(Robert K. Merton Award)을 받았다.

도서소개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 편 제355권 『과학적 실천과 일상적 행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실천행위를 서술하는 것이다. 이런 학문적 실천이 사회적으로 어떤 실천적 의미를 갖는지는 여전히 미지수이지만, 인식론적으로 실재론과 회의주의(상대주의)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이 책의 저자가 인식론의 근본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완벽한 해답을 제시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문제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위한 중요한 일보를 내디뎠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