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론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론

  • 김현구
  • |
  • 법문사
  • |
  • 2013-11-20 출간
  • |
  • 568페이지
  • |
  • 185 X 256 mm
  • |
  • ISBN 9788918024080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3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0,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토착화를 넘어 ‘한국화’라는 준거의 틀로 한국 행정학의 ‘주체적 재정립’ 문제를 다룬 것이다. 우리가 현대 행정학의 발상지인 미국으로부터 행정학을 도입한 지도 반세기가 넘었다. 이제는 각 분야마다 한국의 행정현실에 대한 경험적 분석과 한국의 정책·제도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한국행정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재도 많이 나왔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은 여전히 서구(미국 포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 행정학은 그동안 ‘학문적’ 토착화 · 한국화에는 상당한 성과가 있었지만, 한국화의 핵심인 ‘이론적’ 한국화는 아직 요원한 것 같다(학문적 토착화·한국화와 이론적 토착화 · 한국화의 구분에 대하여는 제2장 참조). ‘이론적’ 토착화도 보편성이 낮은 서구이론의 유행추수적 경향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우리의 학문적 정향이 그만큼 서구보편주의(European universalism)에 깊숙이 침윤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한 한국행정학회는 2005년에 그 해의 주제를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로 정하고 이 문제를 공론화하였다. 문제의 핵심은 우리도 이제는 분별없이 서구이론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한국사회에 적실성이 있는 행정이론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자는 것이었다. 당시 신자유주의적 행정개혁의 여파로 촉발된 한국 행정학의 위기 상황을 경험하면서, 학회는 행정학의 ‘주체적 재정립’을 위해 일단 준거의 주도적 틀을 ‘토착화에서 한국화로’ 바꾸는 것이 절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국화가 배타적 민족주의나 폐쇄적 국수주의에 빠져 서구이론을 배격하고 우리식으로만 하자는 것이 아니다. 필요한 서구이론의 토착화는 계속되어야겠지만, 우리의 행정현실이 단지 서구이론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대상으로 전락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근대의 유산인 서구중심의 일원적 보편주의를 넘어 다양한 형태와 수준의 맥락확산적 보편성이 각자의 정체성을 잃지 않은 채 서로 소통하면서 공존한다고 보는 다원적 보편주의(plural universalism)로 나아가야 한다.
모든 국가(문화권)의 사회현실에는 그 나름의 이른바 ‘보편적 특수성’이 내재해 있다. 학문의 한국화는 한국 사회현실의 이러한 특수성을 추상화하여 한국적 맥락에 타당하면서도 대외적 확산가능성이 있는 맥락특화이론(context-specific theory)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한국화는 한국의 맥락특화이론이 ‘한국에만’ 적용되기 때문이 아니라, 한국적 맥락에서 창출되기 때문에 한국화인 것이다. 그 이론은 일단 ‘한국에’ 적용되지만 보편화 수준에 따라 적어도 문제의 맥락이 한국과 유사한 다른 국가(문화권)에는 적용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한국화는 한국적 특수에 머물자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사회문화적 결을 타고 이론적 보편화의 지평에서 세계와 소통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한국적 특수에서 표층 저 너머의 보편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세계화는 한국화의 연장선상에 있는 목표가치이므로 한국화에는 한국이론의 세계화라는 꿈이 배어있다. 진정한 학문의 한국화가 이루어질 때, 우리도 이론적으로 세계학계에 기여하는 학문 선진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기획된 이 책은 2005년 이후 행정학계에서 논의한 한국 행정학(학문)의 한국화 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총 43편의 글 중 2005년도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에 발표된 글(12편)과 「kapa@포럼」(111호, 112호) 기획논단(한국 행정학의 한국화)에 실린 단상(斷想) 형식의 글(16편)이 28편, 2006년 이후 한국행정학회 ‘행정학 한국화 논단’ 등에 발표된 글이 7편, 이 책에 처음 발표된 글이 8편이다. 한국 행정학은, 역사적으로 미국이라는 특정 국가로부터 그것도 기술원조의 일환으로 단기간에 도입되었다는 학문적 자의식 때문에, 다른 어떤 학문 분야에서보다 토착화와 한국화에 대한 논의를 심화시켜 왔다. 최근 행정학계 일각에서 한국화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지만, 이 책은 기획 취지에 따라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를 통해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를 모색하는 한국화 긍정론에 초점을 맞추었다.
2005년도 한국행정학회 회장을 맡았던 필자가 2006년에 2005년도의 한국화 관련 글을 모아 책으로 펴내려고 시도한 바 있으나 워낙 불민한 탓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학문의 한국화’라고 하는 벅찬 주제를 안고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던 필자는 이제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자 한다. 많이 늦어지긴 했지만 세 가지 점에서 위안을 삼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첫째는 2005년을 기점으로 한국 행정학의 발전을 위한 담론의 무게중심이 ‘토착화에서 한국화로’ 이동하면서, 한국화는 여전히 한국행정학계의 주요 이슈로 논의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2006년에 준비했던 당초의 원고를 대폭 보강함으로써 행정학의 한국화(토착화) 논의에 대한 최근의 동향까지 반영하고, 한결 짜임새 있는 구성 체계를 갖출 수 있게 되었다. 2005년도와 그 뒤에 발표된 글도 많은 필자들께서 이번에 그 내용을 수정 · 보완해 주셨다. 셋째는 서구보편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한국화 담론은 비단 행정학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최근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저변에는 주요 학문 분야를 중심으로 학문의 ‘주체적 재정립’을 모색하는 거대한 한국화의 물줄기가 꿈틀거리고 있다.
한국화는 제2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토착화 개념과 착종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모두 ‘한국적’ 맥락을 준거로 하기 때문이다. 토착화가 외국이론을 한국적 맥락에 맞도록 적용하는 적응 과정이라면, 한국화는 한국적 맥락에 맞는 독자적 이론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한국화는 토착화와 맞물려 이어지기도 하므로 현실적으로 이들의 구분이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논자에 따라 외국이론의 ‘변용적 토착화’를 한국화로 이해하거나, 토착화라는 개념으로 ‘한국적’ 한국화까지 논의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도 다양한 시각의 한국화 개념이 논의되고 있지만, 한국화가 추구하는 바는 결국 ‘한국적 특수의 이론적 보편화’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제1편 한국 행정학 한국화의 기조담론
제1장 한국행정학의 성찰과 전망
제2장 학문의 한국화의 개념 정립
제3장 한국화 담론의 학문적 의의와 과제
제4장 학문의 한국화 담론의 구조: 이론적 다원주의와 담론적 다원주의
제5장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 담론
제6장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 담론: 학문적 위상
제7장 행정학: 미국행정학인가 한국행정학인가
제8장 한국 행정학의 한국화 단상
제2편 한국의 전통 행정사상
제9장 삼봉 정도전의 행정사상
제10장 율곡 이이의 정치?행정사상: 담론분석
제11장 다산 정약용의 행정사상
제3편 한국의 현대 행정이론
제12장 박동서 교수의 권력통제이론: 행정개혁의 한국화
제13장 정정길 교수 중심의 ‘행정의 시차이론’: 논리와 과제
제14장 이종범 교수 중심의 딜레마이론: 선택상황에서의 공적 의사결정
제4편 한국행정학의 이론적 역량과 한국화: 해외 학자들의 시각
제15장 Beyond the Quest for Indigenous Theory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제16장 The Capacity and Potential for Building Indigenous Theory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a New Approach to comparative study of Development Administration
제17장 One Perspective on What Developing Indigenous Theoretical Capacity Should Mean
제5편 한국 행정학 연구의 한국화
제18장 한국 행정학의 토착화: 제1세대 학자들의 역할
제19장 한국 행정학의 토착화: 제2세대 학자들의 역할
제20장 행정학의 토착화 ? 한국화 담론: 성찰과 연구과제
제21장 한국 행정학 연구의 한국화 단상
제6편 한국 행정학 교육의 한국화
제22장 행정학 교육의 한국화: 논리와 과제
제23장 행정학 교육의 변화: 보편성은 있는가?
제24장 한국 행정학 교육의 한국화 단상
제7편 한국 행정학 실천의 한국화
제25장 행정학과 행정현실의 정합성
제26장 한국 정책학 연구의 비판적 성찰과 실천의 한국화
제27장 한국행정의 한국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제28장 한국 행정학 실천의 한국화 단상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