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글에 앞서
1. 민예품 사랑의 샘물
우리 민예품 사랑의 근원
서울 성북동, 고미술 사랑의 요람
그리움을 그림에 담아
문화춘궁기의 치어리더
우리 문화감각도 '근대화'되고
2. 한국 전승미술의 추임새
전승미술, 알고 좋아하고 즐기고
민화를 찾아 나섰던 '서부'사나이
민예품 사랑의 산파역
전승문화 '한류'를 꿈꾸던 샘돌
'양반 인간문화재'
한창기, 반편의 사연
3. 우리 미학 각론
전승미술과 현대미술 사이
나무 체질이던 서양화가
"꿈은 화폭에, 시름은 담배에"
전업화가의 홀로서기
도필(刀筆)로 믿음을 새긴 전각가
'은총의 소나기' 그림의 사연
멀리 돌아와 우리 돌을 다듬는 조각가
분장회청사기 중흥조
4. 한류 미학 사랑의 방식
한 미술사학자의 인문주의 진경
'최후의 신라인' 행동미학
'무소유' 스님의 물건
도자기로 시조를 빚다
옛 그림 읽기의 고수
소설가 박경리의 손맛, 고향 예찬
우리 현대문학의 미술 사랑
조국 문화재 사랑이 세계적 아동문학으로 날다
열화당 이백 년
5. 우리 미학의 현창방식
인문주의자가 자랑한 우리 문화유산
공간 사랑이 꿈꾸던 것
강운구의 '사진실학(實學)'
피부과 전문의의 조선 초상화 진찰
저승미술 순례의 기점 통인가게
조선백자 한일(韓日) 수집가 열전
"이중섭은 못 만났다"
6. 세계 속에서 우리 찾기
판소리 기사회생 시절
우리 활의 비밀을 풀다
평생에 한 번은 봐야 할 그림, 일기일회(一期日繪)
해외에서 만난 한국 핏줄 그림
맹자에서 오늘을 읽는 부부 서예전
7. 전통 민예의 재발견
목기의 오리지널은 농기구?!
달항아리, 조선백자 리바이벌 기수
보자기, 한민족 아낙네들의 손재주 본때
제주소반
무쇠 등가, 단아한 현대감각
불두(佛頭), 그 고졸함이란
목안값 고공비상, 기러기의 명예회복?
8. 앞날을 기약하려면
고개 숙인 우리 동양화, 어디로?
광화문 현판 유감
문화재 행정이 삼갈 일
우리 공공미술의 가벼움
이을 만한 과거, 어디 없소?
ㆍ참고문헌
ㆍ주요 등장인물
ㆍ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