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감사의 말씀
일러두기
제1장
《현대 영문법》의 이론적 기초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이란 무엇인가
1.1 생성문법의 목표와 무의식적 언어능력 (Unconscious Linguistic Competence)
1.2 영어 구 구조 규칙(English Phrase Structure Rules)과 나무그림(Tree Diagrams)
1.3 문장 성분의 문법기능
1.3.1 주어, 서술어, 핵심어, 보어
1.3.2 수식어
1.4 명사구의 구조: 지정어와 수식어
1.5 영어 문장의 기본 어순
1.6 구 구조 규칙(Phrase Structure Rules)과 어휘 제약
1.6.1 주어-동사의 일치와 동사의 보어
1.6.2 조동사(Auxiliary Verbs)의 어휘 제약
1.6.3 Yes-No 의문문의 구조
1.6.4 능동문과 피동문
1.7 의문사(Wh-어)와 통사적 간격(Syntactic Gap)
1.8 복문(Complex Sentences): 종속절(Subordinate Clauses)과 대등절(Coordinate Clauses)
1.9 문장 구성의 원리와 어휘주의 문법
제2장
동사의 유형과 용법
2.1 5형식 문형의 문제점과 새로운 동사 유형 체계의 필요성
2.2 동사 유형 분류를 위한 기초적인 의미 개념들
2.2.1 명제(Proposition)와 문장(Sentence)
2.2.2 의미역(Semantic Roles)
2.2.3 논항과 의미역과 문법기능의 상관관계
2.3 비논항 주어(non-argument subject)와 비논항 목적어(non-argument object)
2.4 통제 동사(Control Verb)와 보통 주어(Ordinary Subject) 그리고 상승 동사(Raising Verb)와 상승 주어(Raised Subject)
2.5 동사 유형 분류의 기준과 유형의 윤곽
2.5.1 자동사(Intransitive Verbs)
2.5.1.1 단순 자동사(Strict Intransitive Verbs) V1
2.5.1.2 복합 자동사(Complex Intransitive Verbs) V2~V14
① 연결자동사(Linking Intransitive Verbs)
② 원형 부정사 동사구 자동사 (법조동사)
③ to부정사 자동사
④ ing분사 자동사
⑤ Be 동사
⑥ 완료 시상 동사 Have (Perfective Have)
2.5.2 타동사(Transitive Verbs)
2.5.2.1 단순 타동사(Strict Transitive Verbs) V18
2.5.2.2 복합 타동사(Complex Transitive Verbs) V19~V30
① 이중 명사구 타동사(Ditransitive Verbs)
② 연결 타동사(Linking Transitive Verbs)
③ 원형 부정사 타동사(Bare Infinitive Verbs)
④ 피동형 동사구 타동사(Passive VP Transitive Verbs)
⑤ To부정사 타동사(to-infinitive Transitive Verbs)
⑥ ing 분사 타동사(ing-participle Transitive Verbs)
2.5.3 절 동사(Clause Verbs) V36~V42
① that절 동사(that-Clause Verbs)
② 의문사절 동사(Wh-Clause Verbs)
③ 허사 It 주어 절 동사(Expletive It Subject Clause Verbs)
④ 간접화법(Indirect Reported Speech)에서의 that절과 의문사 절
2.6 맺는 말
제3장
전치사와 전치사구 동사(Preposition Phrase Verbs)
3.1 전치사의 종류
3.2 전치사의 의미: 공간과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1
3.2.1 위치의 전치사 at, on, in
3.2.2 이탈의 전치사 away, off, out
3.2.3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치사들 to, on, in: 목표 의미역
3.2.4 위치의 변화를 의미하는 from/away, off, out: 출처 의미역
3.2.5 Up과 Down
3.2.6 Over, Through, Across
3.2.7 시간의 전치사 at, on, in
3.3 전치사와 동사의 만남: 전치사구 동사 V15~V17, V31~V35
3.3.1 자전치사구 자동사(Intransitive PP Intransitive Verbs)
3.3.2 타전치사구 자동사(Transitive PP Intransitive Verbs)
3.3.3 이중 전치사구 자동사(Double PP intransitive Verb)
3.3.4 자전치사구 타동사(Intransitive PP Transitive Verbs)
3.3.5 타전치사구 타동사(Transitive PP Transitive Verbs) 1
3.3.6 이중 전치사구 타동사(Double PP Transitive Verbs)
3.3.7 첨사 타동사(Particle Transitive Verbs)
3.3.8 첨사 전치사구 타동사(Particle PP transitive Verbs)
3.4 맺는 말
제4장
형용사의 유형과 용법
4.1 결정사 앞의 형용사구(Predeterminer APs)
4.2 서술 수식어(Predicative Modifiers)
4.3 형용사 유형의 윤곽
4.3.1 통제 형용사와 상승 형용사
4.3.2 Tough 형용사
4.3.3 전치사구 보어를 거느리는 형용사들
4.3.4 that절 보어를 취하는 형용사들
4.3.5 외치 that절 보어를 취하는 형용사들
4.4 맺는 말
제5장
명사의 성질과 유형: 가산성과 불가산성
5.1 명사 가산성의 조건: 원자적 개체(Atomic Individuals)와내재적 경계(Inherent Bounds)
5.2 추상명사(Abstract Nouns): 개체화 불가능성
5.3 질량명사(Mass Noun): 비원자적 물질 (Non-atomic Physical ubstance)
5.4 혼합 집단 명사
5.5 복수만의 명사(Plural-Only Nouns)
5.5.1 두 갈래 명사
5.5.2 복수형 혼합 집단 명사
5.5.3 기타 복수만의 명사
5.6 단수만의 명사(Singular-Only Nouns)
5.7 집합명사(Collective Nouns) 523
5.8 부분 명사 구문(Partitive Noun Constructions)
5.8.1 수사 또는 양사 부분 명사
5.8.2 측정 명사 부분구문(Measure Noun Partitive Constructions)
5.8.3 용기 명사 부분구문(Container Noun Partitive Constructions)
5.8.4 많은 양 또는 수를 나타내는 부분구문
5.8.5 적은 양 또는 수를 나타내는 부분구문
5.8.6 “나머지”의 뜻을 가진 Remainder와 Rest
5.8.7 집합명사 부분구문
5.8.8 종류의 부분 명사 구문(kind/sort/type Partitive Noun Constructions)
5.8.9 Part 구문의 용법
5.9 맺는말
제6장
관사의 용법
6.1 관사 선택의 원리
6.1.1 담화문맥(Context of Discourse)과 지시(Reference)
6.1.2 지시공유의 조건: 한정명사구와 부정명사구의 용법
6.2 절 보어를 거느리는 명사구의 한정성과 부정성
6.3 Of 전치사구 보어를 거느리는 명사구의 한정성과 부정성
6.3.1 파생명사구
6.3.2 파생명사가 아닌 명사의 경우
6.4 동격 구문(Appositive Constructions)의 한정성
6.4.1 명사구 동격 구문(NP Appositive Constructions)
6.4.2 전치사구 동격 구문(PP Appositive Constructions)
6.5 역할의 무관사 명사구(Role Bare NPs)
6.6 총칭의 한정명사구(Generic Definite NP)
6.7 고유명칭(Proper Names)과 정관사
6.7.1 고유명사의 통사적 특징
6.7.2 고유명사와 고유명칭: 고유명칭의 유형
6.7.3 전형적인 지리적 명칭들
6.7.4 조직, 단체, 기관, 학교 등
6.7.5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
6.8 명사구의 용례 연구: 지시공유 조건의 발현
6.9 맺는 말
참고문헌
용어 찾아보기
단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