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엽집(萬葉集)>은 629년경부터 759년경까지 약 130년간의 작품 4516수를 모은 일본의 가장 오래된 가집으로 총 2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만엽집>은 많은(萬) 작품(葉)을 모은 책(集)이라는 뜻과 만대(萬代)까지 전해지기를 바라는 작품집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책에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 작가 중에서 이름을 알 수 있는 사람은 530여 명이며 나머지 절반 정도의 작가는 모두 미상이다. 여기에 수록된 4,516편의 시 가운데 일부는 7세기 혹은 그 이전의 작품들이다.
<만엽집>이 수백 년 동안 일본인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온 것은 ‘만요초[萬葉調]’라고 불리는 소박하고 참신하면서도 진지한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만엽집>만이 가진 특징으로, 이후에 나온 세련되고 양식화된 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들이기 때문에 더 소중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렇다고 <만엽집>에 실린 시들이 결코 다듬어지지 않은 거친 것은 아니다. 비록 기술적으로 미숙한 부분이 있고 중국 한시로부터 영향도 받았지만, 세련된 시의 전통미가 뚜렷이 드러나 있다.
이 책은 <만엽집> 권 제15와 제16을 역해한 것이다. 『만엽집』 권 제13는 3,221번가부터 3,347번가까지 총 127수가 실려 있는데 구성은 雜歌·相聞·問答·비유가·挽歌로 나누어 長歌 66수, 短歌 60수, 旋頭歌 1수를 싣고 있으므로 長歌를 중심으로 모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만엽집』 권 제14는 3,348번가부터 3,577번가까지 東山·東海 2道에 속하는 지역의 노래인 東歌가 총 238수(어떤 책의 노래 8수를 포함) 실려 있다. 모두 短歌이며 작자를 알 수 없는 작품들이다.
『만엽집』 권제15는 3578번가부터 3785번가까지 총 208수를 수록하고 있다. 권제15는 크게 두 작품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은 3578번가부터 3722번가까지의 145수인데 이 작품들은 天平 8년(736)에 신라에 파견된 사신들이 이별을 슬퍼하며 주고받은 작품들, 항해하는 동안의 어려움 등을 노래한 작품들이다. 후반은 3723번가부터 3785번가까지의 63수인데 이 작품들은 天平 11년(739) 무렵, 죄를 지어서 越前으로 유배된 나카토미노 아소미 야카모리(中臣朝臣宅守)가 도읍에 남아 있는 아내인 사노노 치가미노 오토메(狹野茅上娘子)와 주고받은 노래들이다. 앞의 145수는 長歌가 5수, 短歌가 137수, 577?577형식인 旋頭歌가 3수이다. 이 63수는 모두 短歌이다.
『만엽집』 권제16에는 3786번가부터 3889번가까지 총 104수가 실려 있다. 長歌가 8수, 短歌가 92수, 旋頭歌가 3수, 575777형식인 佛足石體歌가 1수 수록되어 있다. 有由緣幷雜歌라는 분류명칭으로 되어 있으며 전설을 소재로 한 노래, 웃음을 유발하는 戱笑歌, 민요 등이 실려 있는데 대부분의 작품의 제목이나 左注에서 노래가 지어진 사연을 설명하고 있다.
만엽집은 앞으로 전 20권을 모두 역해하여 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