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모닭 치킨, 중남미 삼겹살, GMO 콩, 화약 연료로 키운 망고…
우리의 식탁은 더 이상 통제 불가능하다
세계적인 먹거리 산업, 대규모 농장과 가공 공장 시스템의 현장
그리고 그 속에서 살거나 저항하는 사람들
식품 혹은 식재료의 원산지를 한 번이라도 유심히 본 적 있는가? 그렇다면 세계 도처의 나라와 도시 이름을 확인했을 것이다. 이처럼 우리 밥상에 수입된 먹거리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한동안 열풍이 불었던 노르웨이의 연어와 이집트콩, 망고, 아티초크 샐러드, 전 세계 닭 공급의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브라질의 닭 사육 현장 등 먹거리의 본고장을 찾아 경향신문 특별취재팀이 10개국으로 떠났다. 전작인 2015년 『지구의 밥상』을 통해서는 정치·경제·사회 모든 분야의 글로벌화가 우리 먹거리에 농축돼 있음을 보여줬다면, 이번 후속편 『밥상 위의 세계』에서는 세계화의 톱니바퀴 속에 물려 들어간 먹거리의 생산과 유통 과정의 단면을 관찰했다. 우리가 먹는 것들이 어디서 왔는지 혹은 지금 국내에서 생산되는 낯선 이름의 먹거리들의 원산지는 어디인지, 그것들을 생산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들여다보기 위해 애썼다. 먹거리 원산지의 자연환경, 사회현실, 구성원 등이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바뀌어왔는지를 중심 뼈대로 놓고 현재 생산자, 유통·소매인 등을 심층 인터뷰해서 현황을 자세히 알려준다. 이 책은 먹거리를 역사와 문화가 집약된 산물로 조명할 뿐만 아니라 이를 키워내는 현장, 그리고 사람들의 생생한 삶을 입체적으로 그린 결과물이다.
- 예방주사를 맞고 컨베이어벨트 위에서 가공되는 노르웨이 연어
- 전 세계 어디서도 금하지 않는 진짜 ‘평화의 새’ 닭
- 고대 이집트 파라오도 먹던 콩, 산업 자원이자 미래 식량이 되다
- 빈라덴이 자금을 댄 참깨밭, 참깨 한 알에 담긴 수단 사람들의 ‘깨알 같은’ 이야기
- 필리핀 밭떼기 농장과 저임금 공장을 거쳐 제사상에 올라오는 망고
- 현대판 ‘노아의 방주’, 전 세계 씨앗을 보관하는 스발바르 국제 종자저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