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집권플랜>
● 조국의 이야기 ‘촛불’을 기억하는 당신에게
● 프롤로그 진보 집권을 디자인하다
● 플랜 1: 성찰
왜 진보가 집권해야 하는가
승리하는 경험은 왜 중요한가 | ‘나쁜 삼성’과 ‘좋은 삼성’ | 무상급식, 박정희 모델을 흔들다 | 왕이 되기를 포기한 영주들 | 정치 진보ㆍ생활 보수 ‘386의 딜레마’ | 김대중ㆍ노무현으로 만족하십니까
● 플랜 2: 사회ㆍ경제 민주화
특권과 불공정의 시대를 넘어
출산파업 권하는 사회구조 | 경쟁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특권 | 시장임금을 넘어 사회임금으로 | 4대강 사업이 ‘나쁜 일자리’ 늘렸다 | 사자와 소를 한 울타리에 풀지 마라 | 삼성과 발렌베리의 세습경영 | 유럽이라면 피맛골을 없앴을까 | 진보의 욕망을 디자인하라
● 플랜 3: 교육
청년들의 미래에 투자하라
중학교 성적으로 학생을 뽑는 대학 | ‘어퍼머티브 액션’을 도입하라 | 서울대 폐지보다 분할이 낫다 | 선행학습이 반칙인 프랑스 교육 | 20대의 요구에 침묵하면 미래는 없다
● 플랜 4: 남북문제
그래, 통일이 밥 먹여준다
천안함과 초코파이, 서로 다른 힘 | 법륜 스님의 북한 인권 접근법 | 통일은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 한미동맹, 버리지 말고 고쳐 쓰자 | 북한은 베트남 모델에서 배워라 | 민족주의 넘어서야 미래가 열린다
● 플랜 5: 권력
‘괴물’ 검찰 어떻게 바꿀 것인가
막강한 권력, 브레이크 없는 검찰 | ‘죽은 권력’ 노무현은 이겼지만 | 검찰은 퇴임한 MB에게 칼 겨눌까 |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는 필수다 | 법무부는 검찰 그늘 벗어나야 | 권력혐오증을 넘어서
● 플랜 6: 사람
잔치는 다시 시작이다
대중은 판을 바꿀 준비가 돼 있다 | ‘민란 프로젝트’와 ‘올리브 동맹’ | 마키아벨리적 재능을 지닌 유시민 | 정동영의 반성, 진정성이 열쇠다 | 지방권력 쥔 ‘노무현 가문’의 과제 | 이정희의 가능성과 민노당의 딜레마 | 원희룡ㆍ나경원의 닮은꼴과 차이점 | 진보ㆍ개혁 진영의 ‘드림팀’을 만들자
● 에필로그 진보의 고속도로를 만들자
● 오연호의 이야기 조국을 찜하다
<조국의 만남>
프롤로그 | 세상을 위해, 세상과 기꺼이 싸우는 사람들
1부 내가 싸우는 이유
“파업 동참 이유? 가슴이 울어서…” | 김태호〈무한도전〉PD
“보상금 받고 잊어버릴 돌덩이가 아니에요” | 강동균 제주 강정마을 회장
“난 더럽혀지지도, 망가지지도 않았어요” | 은수연(가명) 친족성폭력 생존자
“국가권력은 우리를 사람 취급하지 않았다” | 쌍용자동차 정리해고자들
2부 나는 세상의 불청객
“세상의 ‘잡l놈’들에게 ‘너 자신을 믿어라’라고 말해주고 싶어” | 김기덕 영화감독
“어디에서든, 패자부활전은 필요합니다” | 김성근 고양 원더스 감독
“광고천재? 학창시절엔 공부 못하는 불청객이었을 뿐” | 이제석 이제석광고연구소 대표
3부 내 방식대로 세상에 말 걸기
“지금이야말로 시인의 근성이 필요한 시대” | 고은 시인
“박정희가 지하에서 한 층 한 층 올라와 지상으로 나오고 있다 | 조정래 소설가
“‘26년’ 전 그날에 문화적 처벌을 내리고 싶었다” | 강풀 만화가
“사람이 선해질 수 있는 건축 설계하고파” | 승효상 이로재 대표
“나의 변화가 나도 놀라워요!” | 이효리 가수
4부 야만의 시대, 원로로 살 수 없다
“어떤 경우든‘올인’할 것이다” |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갈 길 멀어도 부디 제자리에 서 있기를” | 홍세화 진보신당 연대회의 재창당 준비위원회 상임대표
“야만의 시대에 ‘원로’로 살 수는 없다” | 권영길 전 민주노동당 대표
“국회에서 전태일 정신 구현하겠다” | 전순옥 ‘참신나는옷’ 대표, 민주통합당 비례대표 당선자
참여하면 변화가 온다는 믿음 | 박원순 서울시장
에필로그 | 못다 한 만남 : 박근혜 대통령에게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
시작하며_7평 연구실, 그곳에서 나는 세상을 꿈꾼다
1. ‘호모 아카데미쿠스’
_공부하는 인간
-책상보다 골목이 좋았던 꼬마
-형은 ‘공부 1등’, 동생은 ‘싸움 1등’
-내가 가야 할 길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
-학생은 ‘나’를 찾아가는 유목민이 되어야 한다
-몰입할 수 있는 대상을 찾다
-스펙을 빼고 나면… 나는 누구인가
-‘일류 인생’이 ‘일류 행복’을 주는 건 아니다
-‘운칠기삼’ 그 30%의 가능성
2. ‘호모 레지스탕스’
_저항하는 인간
-소년이 본 외눈박이 거인들의 세상
-책만으로는 배울 수 없는 진짜 세상을 보다
-사노맹, 그리고 수감생활
-현재에 발 딛은 유토피아를 꿈꾸다
-변화는 내면의 작은 용기에서 시작된다
3. ‘호모 쥬리디쿠스’
_정의로운 인간
-진보적 학풍의 심장, 버클리
-Kill your father!
-법 공부를 잘하려면
-차가운 머리와 따뜻한 가슴을 함께 가지다
-‘중용’의 ‘중’은 ‘가운데’가 아니라 ‘정확함’
-가장 기피하는 ‘형사법’을 선택하다
-지금 청년에게 필요한 것은…
-결국 문제 해결의 주체는 나 자신이다
4. ‘호모 엠파티쿠스’
_공감하는 인간
-동네 ‘바보 형’에 대한 기억
-우리는 너무 많이 생각하고 적게 느낀다
-어리석음을 온몸으로 실천하는 ‘철부지’가 되자
-공감의 시대, 공감하는 인간
-늙지 않는 공부, 나보다 우리를 위한 시선
-‘공적 지식l인’이 된다는 것
-‘진보적’이지만 ‘독립적’인 지식l인
마무리하며_“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야”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