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시인 조지훈의 수필 읽기
1. 시인 조지훈에게 수필이란
2. 시인 조지훈의 수필읽기
(1) 수필「돌의 美學」과 시의 뿌리
(2) 자연과 자아의 만남, 그리고 시
(3) 멋과 인생, 자연과 사회, 근원 찾기
(4) 술과 인생, 술과 멋에 대한 시적 감수성
(5) 술과 시와 인생의 멋과 향
(6) 술과 인생과 시, 그리고 멋
(7) 시인, 학자, 지조의 선비로서의 삶
(8) 시와 선이 만나는 공간
(9) 白得的 回顧와,追憶 그리고 鄕愁
(10) 사색과 명상, 그리고 대화와 회상
(11) 추억과 회상과 욕망의 흔적
(12) 꼿꼿한 자아와 신념의 시인
제2부 비평의 세계
(1) 한국 에코詩의 현황과 전망
-생태시와 환경오염의 문제
(2) 김문수의「서러운 꽃」읽기
-예와 아니오, 열림과 닫힘의 변증법
(3) 김용호 시인의 시적 신념과 감수성
-서사시「남해찬가」의 조운
(4) 팽창된 관조의 즐거움
-강기옥 시인의 시적 감수성
(5) 몽상(夢想) 혹은 상상력, 그리고 시인의 몸 앓이
-강기옥 시인의 신작시 해설평
(6) 시는 말들의 놀이마당
-2014년 강남문학 시ㆍ시조 평설
(7) 만남, 그 깊고 영원함의 황홀함과 현기증
-2016 강남문학 제19회 서울문예상 심사평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