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길한은 한국 현대 영화사를 거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시나리오 작가다. 엄혹하고 열악했던 1980년대 이후 작업한 <짝코>, <만다라>, <비구니>, <길소뜸>, <티켓> 등의 작품은 분단의 역사, 인간의 구원, 사회적 타락 등의 소재를 폭넓게 관통하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깊이를 이뤄 냈다. 그 밖에도 <우상의 눈물>, <안개마을>, <씨받이>, <나비 품에서 울었다> 등 당시 한국 영화의 의무제작 시스템에서 제작된 영화들을 통해서도 인간과 사회를 미시·거시적으로 동시에 포착하는 날카로운 안목을 보여 줬다.
이 작품들은 당대의 흥행 여부와 상관없이 생명력을 보장받을 수 있는 예술로서의 격을 갖추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만들어지기 힘든 대담한 창의력의 산물들이다. 임권택 연출, 송길한 각본으로 만들어진 영화들은 지금도 한국 영화사의 맨 꼭대기에 위치하고 있고, 아마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이것이 바로 2017년, 국내 처음으로 전주국제영화제가 송길한 특별전 ‘작가 송길한, 영화의 영혼을 쓰다’를 마련한 이유다. 특히 특별전에 상영된 대표작 12편 중에 1984년에 제작에 들어갔으나 내용이 외설적이라는 불교계의 반발로 촬영이 중단됐던 <비구니>를 전주국제영화제와 한국영상자료원이 발굴·복원해 상영한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