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두 번째 종교개혁과 작은교회 운동

두 번째 종교개혁과 작은교회 운동

  • 이정배
  • |
  • 동연
  • |
  • 2017-10-23 출간
  • |
  • 444페이지
  • |
  • 155 X 227 X 21 mm /654g
  • |
  • ISBN 978896447377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과거 루터 신학이 천 년을 지속한 중세 가톨릭교회의 타락상과 맞서 이룬 결과라면 지금의 상황은 그 칼날을 자본주의에 함몰된 자기 내부로 돌려야 마땅하다. 이를 위해 당시 상황에서 로마서를 독해한 종교개혁자들의 시각으로부터 개신교 신학은 해방되어야 한다. 중세 가톨릭교회의 병폐를 치유할 목적으로 3개의 ‘오직’ 원리가 만들어 졌고 이것 모두가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루터에 이르는 소위 종교개혁가들에 의한 로마서 독해의 결과였기 때문이다. 16세기 정황에서 로마서가 그렇게 읽힌 것은 당연한 일이겠으나 500년이 지난 지금 그것을 그대로 답습할 이유가 없다. 그것이 16세기의 해답일 수는 있겠으나 우리 시대를 위한 답이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오히려 자신들 처한 문제 상황(Context)에서 예수가 답인 이유를 철저하게 되묻는 것이 신학의 본질이자 사명이기 때문이다. 기독교가 통째로 달라지지 않는다면 언제든 이 땅에서 사라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종교개혁 500년 ‘이후’의 종교를 치열하게 생각한 한 신학자의 외침을 듣는다.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예수 정신 하나만 빼고 일체를 버리는 기독교로 탈바꿈할 것을 선포하며 종교개혁 500년 이후를 한국적으로, 탈자본화된 방식으로 즉 다른 기독교인으로 재(再)주체화하는 길을 제시한 그의 혜안을 통해 한국교회의 환골탈태를 기대한다.

[저자소개 추가]
기획 현장(顯藏)아카데미
현장아카데미는 강원도 횡성과 종로 부암동에 근거를 둔 연구소 겸 수행 공동체이다. 2017년 종교개혁 500년을 앞두고 본격적 활동을 준비하고 있다. 이 땅의 사상적 맥락(聖. 性. 誠)과 종교적 상상력(고독, 저항, 상상)에 터해 한국적 기독교를 정초하는 일을 주된 과제로 삼고 있다. 현장(顯藏)이란 본래 <주역>에 있는 말로서 감추인듯 하면서 나타나고, 보이면서도 감춰지는 인(仁)의 덕목을 적시하는바, 사랑이라 해도 좋겠다. 그래서 현장은 종종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의 삶의 자리, 현장(現場)과 치환될 수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종교개혁 500년 以後의 교회와 신학: ‘한국적’, ‘작은’, ‘교회’를 말한다
머리글 종교개혁 500년과 대선을 맞는 2017년: 사회, 생태적 영성으로 종교와 정치를 개혁하라
|1부| 두 번째 종교개혁에로의 길
두 번째 종교개혁의 교회적 과제: 교회가 쌓아야 할 공적功績으로서의 교회 복음화
들어가는 글
1. 교회에 복음이 있는가?: 교회의 복음화가 우선이다
2. 교회 복음화를 위한 첫 과제: 지속적으로 묻기(智)
3. 교회 복음화를 위한 두 번째 적공積功: 사랑하기
4. 교회 복음화를 위한 또 다른 적공: 상상想像하는 힘
짧은 마무리
두 번째 종교개혁의 사회적 과제: 탈脫자본적 영성으로 자본주의적 기독교 넘어서기
들어가는 글
1. 탈脫세속화 시대의 영성 ― 포스트모던 사조를 넘어
2. 보편적 영성으로서의 기독교적 가치: 고독, 저항 그리고 환(상)상
3. 초대 공동체와 ‘복음의 정치학’: 영성신학의 원형
4. 영성목회의 화두: ‘작은교회가 희망이다’
짧은 마무리
두 번째 종교개혁의 신학적 과제: 종교개혁 신학의 3대 원리(세 개의 ‘오직sola’ 교리)에 대한 메타 비판
들어가는 글
1. 개신교가 직면한 21세기 한국적 현실: 자본(주의)화된 기독교, 기독교화된 자본(주의)
2. 칭의稱義에서 정의로: ‘오직 믿음’에 대한 화해론적 이해
3. ‘오직 은총’으로서의 하느님 의義: 하느님 의(은총)와 세상 법의 대립
4. ‘오직 성서’의 지평 확대를 위한 세 가지 눈(觀): 길들여진 성서로부터 하느님 해방시키기
5. 만인제사장직에 터한 교회 재구성: 탈脫성장, 탈脫성직, 탈脫성별의 시각에서
짧은 마무리
|2부| 두 번째 종교개혁의 실상으로서 작은교회 운동
작은교회 운동의 신학적 토대 ― 종교개혁 3대 원리에 대한 메타 크리틱을 중심하여
들어가는 글
1. 왜 작은교회 운동을 말하는가?: 교회의 복음화를 위해서
2. 탈脫자본주의를 위한 작은교회 운동, 그 가치론적 방향성
3. ‘다른’ 기독교로서의 작은교회 운동, 그 역사적 토대: 복음의 정치학
4. 복음의 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세 개의 ‘오직Only’ 교리: 작은교회 운동의 신학적 근거
짧은 마무리: ‘체제 밖’ 사유를 실험하기
두 번째 종교개혁의 실상으로서 작은교회 운동: 교회 생태계의 변화
들어가는 글
1. 선교의 새 주제로서 작은교회 운동
2. 작은교회 운동의 성서적, 신학적 근거: 초기 공동체의 특성과 종교개혁 원리의 재발견
3. 탈脫자본화된 교회의 제諸 실상: 새로운 선교로서 작은교회 운동의 유형 분석
4. 두 번째 종교개혁의 방향으로서의 작은교회 운동: 세월호 이후 시대의 ‘작음’의 선교신학
짧은 마무리
|3부| 기독교 재주체화를 위한 작은교회 운동의 세 과제: 탈脫성직, 탈脫성장, 탈脫성별(인간)
탈脫성직: 유교의 신독愼獨으로부터 배우는 만인제사직
들어가는 글
1. 종교개혁의 미완과제로서 만인제사직론 ― 종교의례와 관련하여
2. 종교적 관점에서 본 조상제례(제사)
3. 최소주의적 시각에서 본 조상제례
4. 예배와 제사의 불이不二성 ― 탈脫성직의 척도로서의 ‘신독’愼獨
짧은 마무리: 신독愼獨에 터한 성聖의 평범성, 그것이 평신도를 의례의 주체 로 만든다
탈脫성장: 이슬람의 서구 자본주의 비판
들어가는 글
1. 모든 종교에 있어서 ‘허용’과 ‘금기’
2. 이슬람 종교에 있어서 ‘허용’과 ‘금기’ 생태적, 경제적 차원들
3. 서구 자본주의와 변별된 이슬람 자본주의 ― 이슬람 자본주의로부터 경제를 다시 배운다
4. 신학(종교)의 법학화와 믿음 없는 행위, 무엇이 더 문제인가?
짧은 마무리: 이슬람에도 의심의 해석학이 필요하다
탈脫성별(인간): 생태학에서 얻는 전일적 녹색 지혜
들어가는 글
1. ‘새로운 가난한 자New Poor’로서의 자연
2. 기독교도 천지인天地人 상관성을 말한다
3. ‘작음’의 가치를 알리는 성서 ― 최소한의 물질로 살기
4. 피조물의 탄식 소리를 듣는 것이 성령 체험이다
5. 생태영성으로 기독교를 재주체화하라: 탈脫성별(인간)을 향하여
맺는 글
종교개혁 以後 신학으로서의 ‘역사유비’ 신학: 유대적 사유와 동학의 만남을 통한 기독교의 한국적 재주체화
들어가는 글: 종교개혁 以後 신학은 가능한가?
1. ‘존재유비’와 ‘신앙유비’를 넘어서 ― 두 신학방법론의 형성, 의미 그리고 한계
2. 기억을 통한 ‘역사유비’로서의 신학 ― 실패한 과거와 메시아 사건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3. 종교개혁 以後 신학으로서의 ‘역사유비’ 신학, 그 한국적 함의와 수용
짧은 마무리: ‘역사유비’로서의 종교개혁 以後 신학, 무엇이 새로운가?
부록
부록 1 _ 종교개혁 3대 원리의 인문학적 성찰: 고독, 상상 그리고 저항
부록 2 _ 종교개혁 500년을 맞는 독일 ‘교회의 날Kirchentag’
― 500년 미완의 과제를 풀기 위한 독일 교회의 노력

저자소개

저자 이정배는 현장(顯藏)아카데미 원장. 감리교신학대학교 및 동대학원,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년간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국 게렛 신학대학, 버클리 GTU,
일본 동지사대학교 신학부 교환교수로 활동했으며, 기독자교수협의회 회장, 대학 부설 기독교 통합학문
연구소 소장, 한국문화신학회 회장, 한국조직신학회 회장, 한국 종교인평화회의(KCRP) 종교간대화 위원
장을 역임했다. 현재 나눔문화 이사장직을 맡고 있고, 생명평화마당 공동대표직을 수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이정배의 생명과 종교 이야기』, 『이웃종교인들을 위한 한 신학자의 기독교 이야기』, 『생
태 영성과 기독교의 재주체화』, 『빈탕한데 맞혀놀이 - 多夕으로 세상을 읽다』, 『한국개신교 전위 토착신학
연구』, 『켄 윌버와 신학』, 『없이 계신 하느님, 덜 없는 인간 -多夕신학과 얼과틀 그리고 쓰임』, 『생명의 하
느님과 한국적 생명신학』, 『토착화와 생명문화』, 『현대이후주의와 기독교』, 『한국적 생명신학』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진리를 찾아서』, 『몸과 우주 - 동양과 서양』등이 있다. 또 문화신학회 회원들과 함께 『한류
로 신학하기 - 한류와 K-Christianity』란 책을 엮어 펴냈다.

도서소개

종교마저 삼키는 초국적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종교개혁 3대 원리를 재조명하다

개신교를 탄생시켰던 3개의 ‘오직’ 교리는 그 부작용으로 인해 다시 검증되어야 마땅하다. 종교개혁(신학) 역시도 시대의 산물인 탓에 당대의 물음에는 답이었겠으나 기독교 이후 시대(Post christian Era)에 이른 지금, 인간 이해를 비롯하여 자연, 정치 영역에서 그 역할을 잃었다. 포스트모던 철학자들이 말했듯 현실에서 실패한 이념은 아무리 위대해도 역사 속에서 높게 평가되기 어려울 것이다. 개신교를 역사의 퇴물로 만들지 않으려면 500주년을 맞는 이 시점에서 개신교는 자신의 존재 기반을 허물고 재구축해야 옳다. 그렇기에 이 시점에서 개신교회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바르게 이해해야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