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 천득염
  • |
  • 심미안
  • |
  • 2017-02-27 출간
  • |
  • 264페이지
  • |
  • 180 X 240 X 18 mm /581g
  • |
  • ISBN 9788963812038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동양의 진주’라 불려온 스리랑카는 인도의 남쪽 인도양에 있는 작은 섬나라다. 마르코 폴로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섬’이라고 극찬했고, BBC가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여행지 50곳 중 하나로 선정했다지만, 스리랑카를 소개한 책은 국내에 별로 없다.
이 책은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불교문화유적을 소개하고 있다. 그동안 인도의 불탑이 아시아에서 어떻게 전이되었는가를 연구해 온 저자가 4년 전에 펴낸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에 이은 두 번째 책이다.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역사, 불교전래와 남방 상좌부 불교, 이민족의 침입과 민족적 갈등,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 전통문화유산, 불탑의 형식, 그리고 스리랑카의 주요 도시까지 연구서이지만 딱딱하지 않고 재미있으며 깊이까지 갖추었다.
기원전 3세기경에 불교가 도입된 스리랑카는 국민의 대다수가 불교를 신봉하는 나라다. 곳곳에 불교문화유적이 자리하고 있지만 역사적 시련을 겪었기에 전통과 현대, 동서양의 문화가 혼재되어 있다. 서구열강들이 침탈하면서 스리랑카의 고유한 정체성은 부침을 거듭했고, 오래전부터 있었던 민족 간의 갈등이 현대에 이르러 더욱 심해져 수많은 인명이 살상되기도 했다. 그리고 스리랑카는 아직도 내전의 아픈 상처가 치유되지 않고 있다.
불교미술을 이해하려면 불교사원과 그 안의 중심적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불탑을 이해해야 한다. 그간 인도 주변 국가들의 불교미술 연구는 서구의 학자들이 시작하고 주도해 왔다. 물론 근세기에는 일본인들의 업적도 많다. 그럼에도 스리랑카에 관련된 자료나 연구업적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런 까닭에 불교건축의 한 분야, 다소 미시적인 불탑에 대한 관심을 큰 주제인 불교미술 전반으로 확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고 저자는 토로한다. 특히 석조로 된 유적은 잘 남아 있으나 벽돌로 조적된 불탑유적들은 대부분 최하부의 모습만을 확인하고 그 위에 새롭게 복원한 것들이 많아 진정성에 있어서 다소 의문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 책의 ‘제6장 스리랑카 불탑의 형식’은 문화재연구소 허지혜 씨가 썼다.
저자는 수 년 동안 티베트, 미얀마, 스리랑카, 네팔, 라오스, 인도 등 여러 나라의 불탑을 조사해 왔다. 앞으로 네팔, 미얀마, 태국의 불교유적을 책으로 펴낼 계획이다.

목차

제1장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역사
스리랑카의 간략한 소개?14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배경?20
스리랑카의 역사적 기원과 민족?27
스리랑카 불교미술의 시대 구분?35

제2장 스리랑카의 불교전래와
남방南方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
생존 시 붓다의 스리랑카 방문과 그 흔적?38
불교경전의 정리와 결집?40
인도불교의 스리랑카 전래?42
'3차결집'과 남방南方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45

제3장 이민족의 스리랑카 침입과 민족적 갈등
아누라다푸라왕국의 설립과 타밀족의 침입?50
싱할라왕조의 두 번째 수도 폴로나루와?54
종족간의 대립과 불교의 쇠퇴?56
서구 열강들의 침탈과 전통문화의 파괴?57
캔디왕국의 설립과 서양인의 지배?60
1948년 해방과 민족적 갈등?64
싱할라족과 LTTE(타밀족 무장 단체)의 내전?66
인도의 개입과 실패, 2009년 전쟁의 종료?69

제4장 스리랑카의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
스리랑카의 풍습과 축제?74
세계인들의 차, 실론 티(Ceylon Tea)?85
스리랑카의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91

제5장 스리랑카의 전통문화유산
스리랑카의 세계문화유산?100
상좌부불교의 스리랑카와 최초의 수도 아누라다푸라 신성도시
(Sacred City of Anuradhapura)?104
스리랑카 최초 불교성지, 미힌탈레(Mihintale)?133
두 번째 수도 폴로나루와 고대도시
(Ancient Kingdom of Polonnaruwa)?148
요새궁전 시기리야(Lion Rock Citadel, Sigiriya) ?178
담블라 황금석굴사원
(Golden Dambulla Rock Temple)?183
중세 왕도 캔디(Kandy)와 불치사佛齒寺
(Sri Dalada Maligawa)?198
패엽경이 만들어진 아루비하라 석굴사원
(MATALE & Aluvihara Cave Temple)?204
대승불교의 흔적 웰라와야와 부두루바가라
(Wellawaya & Buduruvagala)?206
부처의 세 번째 방문지 켈라니야의
라자 마하 비하라(Raja Maha Vihara)사원?207

제6장 스리랑카 불탑의 형식
스리랑카 불탑의 출현과 초기형식?212
스리랑카 돔 형식 불탑의 구성요소?216
불탑 주변의 시설?221
스리랑카 불탑의 유형?225

제7장 스리랑카의 주요 도시
콜롬보(Colombo)?234
캘라니야(Kelaniya)?241
네곰보(Negombo)?242
마운트 라비니아(Dehiwala Mount Lavinia)?243
해양 스포츠 도시 하카두와(Hikkaduwa)?244
네덜란드가 세운 항구도시 갈레(Galle Dutch Fort)?246
마타라(Matara)?249
탕갈라(Tangalla)?250
소금 생산지 함반토타(Hambantota)와
팃사마하라마(Tissamaharama)불탑?252
스리랑카 종교들의 성지 카타라가마(Kataragama)?254
북부 자프나(Jaffna)지역?255

참고문헌?258

저자소개

저자 천득염은 전남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에서 「백제계석탑의 조형특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하버드대학에서 「시원불탑의 의미론적 고찰」, 그리고 교토대학에서 「불탑의 동아시아 지역 전래」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는 전남대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문화재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한국의 명원 소쇄원』, 『전탑』, 『백제계석탑 연구』, 『한국의 건축문화재(전남편)』, 『광주건축사』,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문화』, 『불탑의 아시아 지역 전이양상2-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등이 있다. 그간 100여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도서소개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그 불교문화와 불탑!

불탑의 아시아 지역 전이양상 두 번째 권, 30여 년 연구의 결실, 다양한 컬러 사진과 함께 엮었다.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역사, 불교전래와 남방 상좌부 불교, 이민족의 침입과 민족적 갈등,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 전통문화유산, 불탑의 형식, 그리고 스리랑카의 주요 도시까지 연구서이지만 딱딱하지 않고 재미있으며 깊이까지 갖추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