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의 사회통합』은 사회통합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의 다양한 속성들을 포괄하는 통섭적 관점을 바탕으로 적실성 높은 정책적 대안들을 제안하고자 하는 노력을 담았다. 이를 위해 첫째, 공동체에의 소속감, 국민적 결집력 등 국내 사회로 한정 지어 논의하던 사회통합의 개념을 국제적 수준으로 확장시켜 ‘개인 보호’, ‘공동체 건설’, ‘국제사회 기여’로 구성하여 통합사회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둘째, 국가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의 통합사회 위상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한편 통합사회의 핵심가치체계인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국가주의, 세계시민주의가 행복, 포용성, 사회체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셋째, 사회적 자본 구축 및 사회 갈등 해소와 관련된 국내 정책들을 분석하여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