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나는 내 마음도 잘 모르면서
1부 내 마음을 읽는 법
관계는 어렵고 감정은 모르겠다면
1장 나는 왜 항상 휘둘리는가?
나를 읽는 마음도구 1. 자기분화
말려드는 것과 공감 사이│‘융합’은 언제, 왜 일어날까?│‘노’라고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부모화가 ‘온전한 내가 되기’를 가로막는다│출생순서가 성격을 만든다?│가정에서의 삼각관계가 더 위험하다│나는 얼마나 ‘독립적이면서 친화적’인가?│너무 의존적이거나 너무 독립적이거나│잘 분화된 사람이 직장에서도 행복하다│나를 지키면서 상대를 존중하는 건강한 경계가 필요해
2장 일과 사람에 둘러싸여도 허전한 진짜 이유
나를 읽는 마음도구 2. 애착
돌아보니 남는 게 하나도 없는 듯한 삶│늘 바쁘지만 불안한 당신│애착이란? ‘나는 안전하다’는 느낌│애착 유형이 말해주는 것│정서적 방임이 마음에 남긴 흔적│친밀감을 주지 못하는 부모│어른의 애착은 달라질 수 있다│지금 나의 애착 상태는?
3장 내 감정을 알면 보이는 것들
나를 읽는 마음도구 3. 정서분별
세밀하게 구분된 감정에는 힘이 있다│학교에서 ‘감정수업’을 하는 이유│감정과 최대한 구체적으로 맞닥뜨려라│첫 번째 방법: 감정 단어 알기│두 번째 방법: 감정일기 쓰기│세 번째 방법: 정서분별 연습│몸에서 시작하는 마음읽기│정서분별, 한번 해볼까요: H씨 이야기│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왜 중요할까│원인을 알지 못하는 감정은 오래간다
4장 감정은 내 마음의 SOS 신호
나를 읽는 마음도구 4. 정서조절
내 감정은 타고난 것일까, 학습된 것일까?│뇌는 ‘예측기계’다│정서가 만들어진다는 획기적인 생각│정서란 곧 뇌의 상태다│정서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정서조절을 바라는 관점│목표가 정서에 영향을 끼친다│감정은 생존 신호다
2부 삶을 탄탄하게 구축하는 법
관계와 감정의 회복을 향하여
5장 감정에 쓸려가지 않게 닻을 내리는 법
나를 바꾸는 마음도구 1. 마음챙김
마음챙김, 오해에서 이해로│마음챙김의 간략한 역사│심리학에서 얘기하는 마음챙김│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완화│마음챙김은 나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까?│명상이 ‘뇌’를 바꾼다│마음챙김과 ‘그냥 쉬는 것’은 어떻게 다를까?│마음챙김과 ‘호흡 훈련’은 어떻게 다를까?│마음챙김의 흥미롭고 다양한 효과│“조용히 좀 해주세요”│마음챙김, 어떻게 하나요?
마음챙김 연습 1|소리에 대한 마음챙김
마음챙김 연습 2|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마음챙김 연습 3|걷기에 대한 마음챙김
6장 그 누구보다도 나에게 친절할 수 있다면
나를 바꾸는 마음도구 2. 자기자비
자존감이 높으면 무조건 좋은 걸까?│자존감에 대한 여러 가지 의문│자존감에 대한 대안, 자기자비│나에 대해 판단하지 않는 마음│감정과 동기: 자비는 감정일까?│자기자비의 세 가지 요소: 자기친절, 인간보편성, 마음챙김│자기자비는 ‘따뜻한 마음챙김’이다│자비를 꺼리는 사람들│이렇게 피곤한 건 다 ‘감정’ 때문이야│자비를 기르는 법
자비를 촉진하는 방법 1|아끼는 존재 떠올리기
자비를 촉진하는 방법 2|고통 따뜻하게 감싸기
7장 마침내, 진짜 나를 만날 시간
나를 바꾸는 마음도구 3. 조망수용
고독이 고독을 낳는 이유│고독이 뇌에 일으키는 변화│외로우면 면역력이 약해진다│조망수용이란 무엇인가│조망 안 되면 자제력도 약해진다│자존감이 놓친 것: 조망수용을 높이려면
나오며|알 수 없는 인생에 대처하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