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행정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본질
제1절 행정의 의의
제2절 공행정과 사행정(정부와 기업)의 관계***
제3절 행정의 변수, 과정, 기능
제4절 행정학의 두 가지 조류와 모습
제5절 행정이념***
제2장 행정학의 주요 접근방법
제1절 접근방법과 제 분류기준***
제2절 과학적 관리, 인간관계론, 후기인간관계론
제3절 행태론, 현상학, 비판이론, 포스트 모더니즘, 담론, 행정문화론
제4절 행정에의 생태론
제5절 행정에 대한 체체적 접근
제3장 행정학의 발달과 전개동향
제1절 행정학의 발달과 전개
제2절 비교행정론
제3절 발전행정
제4절 신행정론***
제5절 정보화 사회, 지식사회, 전자정부***
Part 2 정책론과 기획론
제1장 정책의 기초이론
제1절 정책의 본질
제2절 시장실패와 정부규제***
제3절 정부실패***
제4절 정부실패의 대책 - 작지만 강한 정부***
제5절 공익(public interest)
제6절 사회지표(social indicator)
제2장 정책과정
제1절 정책과정에 대한 개괄***
제2절 정책의제형성론(policy agenda settint theory)***
제3절 정책결정론(1)
제4절 정책결정론(2) - 정책결정모형 -***
제5절 대안의 비교ㆍ분석ㆍ평가 -SA, PA, B/C 분석, E/C분석
제6절 정책집행론
제7절 정책평가론***
제3장 기획이론
제1절 행정기획의 본질
제2절 기획의 유형과 기구 및 과정
제3절 미래예측기법***
Part 3 행정조직론
제1장 조직의 기초이론
제1절 조직의 본질
제2절 조직의 목표
제3절 목표관리(MBO) -단기성과를 위한 내부참여관리-***
제4절 조직과 인간(motivation theory)***
제5절 조직과 환경***
제2장 조직의 골격과 형태
제1절 조직구조의 상황변수와 기본변수***
제2절 제 3섹터, 준정부조직(Quago), 비영리민간단체(Quango)
제3절 고전적 조직 - 형성과 운영의 원리(원리주의)
제4절 관료제(뷰로크라시)와 탈관료제(애드호크라시)***
제5절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제6절 계선(line)과 막료(staff)
제7절 위원회(committee)
제8절 공기업(public enterprise)
제3장 행정관리론
제1절 행정관리론의 체계
제2절 의사소통(communication)
제3절 공공관계(PR)
제4절 행정상의 권위(authority)와 권력(power)
제5절 갈등(conflict)
제6절 사무관리(office management)
제7절 리더십(leadership)***
제8절 조직의 변화와 대응 -동태화, 조직발전, 혁신***
Part 4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본질
제1절 인사행정의 본질
제2절 인사행정제도(엽관제, 실적제, 적극적 인사제도)***
제3절 직업공무원제도***
제4절 대표적(성) 관료제***
제5절 공직의 분류
제6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제2장 임용과 능력발전
제1절 임용 및 채용
제2절 수직적/수평적 인사이동
제3절 교육훈련
제4절 근무성적평정***
제3장 공무원의 사기양양과 신분보장
제1절 공무원의 사기앙양
제2절 공무원 보수
제3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제4절 공무원의 윤리와 부패***
제5절 공무원의 연금제도와 신분보장
Part 5 재무행정론
제1장 예산의 기초이론
제1절 예산의 본질
제2절 예산의 원칙***
제3절 예산의 종류
제4절 예산분류
제2장 예산과정
제1절 예산의 과정
제2절 예산편성
제3절 예산심의
제4절 예산집행***
제5절 결산과 회계검사
제3장 예산개혁과 예산제도
제1절 예산결정이론과 예산개혁***
제2절 성과주의예산(PBS)
제3절 계획예산제도(PPBS)
제4절 자본예산제도(CBS)
제5절 영기준예산(Zero Base Budgeting)***
제6절 계획과 예산, 구매행정
Part 6 행정통제와 행정개혁
제1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제1절 행정책임론
제2절 행정통제(행정책임의 확보방안)
제2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의 본질
제2절 1980년대 이후 정부개혁(혁신)
제3절 OECD 국가들의 정부혁신
Part 7 지방행정론
제1장 지방행정 및 지방자치
제1절 집권과 분권
제2절 지방자치(Local Autonomy)
제3절 지방재정***
제4절 지방자치의 위기와 주민(시민)참여
제2장 일선기관과 광역행정, 최근 지방개혁
제1절 중앙통제와 일선기관(특별지방행정기관)
제2절 광역행정(reg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