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네르바 인문 읽기와 쓰기

미네르바 인문 읽기와 쓰기

  • 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재편찬위원회
  • |
  • HUINE
  • |
  • 2017-09-01 출간
  • |
  • 432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91159012242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7,46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46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동서양의 고전들을 소통과 배려의 측면에서 탐구함으로써 인간이 사회적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덕목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 혼자만의 삶을 영위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속한 사회를 넘어 국가와 세계 시민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알려 주고 있습니다.
[소통과 공감], [미디어로 들여다 본 사회], [열린 사회와 관용], [옛 것과 새로운 것]등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의 핵심 키워드를 볼 때, 소통, 공감, 미디어, 전통과 현대, 정의와 불평등, 민족주의와 세계화, 제4차 산업혁명과 과학 등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가장 필요한 가치들을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이러한 주제들을 바탕으로 한 토의ㆍ토론은 물론 글쓰기를 통해 각 주제들을 사유해 나간다면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목차

서문 _ 5

제1장 소통과 공감 ································································ 13
· 들어가는 말 ················································································ 15
1. 말과 글의 차이: 김기림의 『문장론신강』 ·················································· 20
2. 번역과 의사소통: 발터 벤야민의 「번역가의 과제 · ········································ 36
3. 공감의 힘: 데이비드 흄의 『도덕에 관하여』 ··············································· 47
4. 소통과 공동체감: 알프레드 아들러의 『인간이해』 ········································· 56

제2장 미디어로 들여다 본 사회 ··········································· 65
· 들어가는 말 ················································································ 67
1. 미디어는 메시지다: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의 이해』 ······································ 72
2. 광고의 미디어: 장 보드리야르의 『소비의 사회』 ·········································· 83
3. 사진 이미지와 현실: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 ·········································· 90
4. 팬텀과 매트릭스로서 세계: 진중권의 『미디어 이론』 ····································· 100

제3장 열린 사회와 관용 ······················································ 121
· 들어가는 말 ··············································································· 123
1. 관용의 의무: 존 로크의 『관용에 관한 편지』 ············································· 129
2. 사상과 언론의 자유: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 141
3.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대한 관용: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 ·········· 154
4. 이산(離散)의 아픔에 대한 공감: 서경식의 『디아스포라 기행』 ··························· 162

제4장 청춘, 사랑을 논하다 · ················································ 175
· 들어가는 말 ··············································································· 177
1. 만남의 의미: 마틴 부버의 『나와 너』 ····················································· 181
2.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 ············································· 194
3. 보살핌의 정치: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 ················································· 205
4. 진정한 인류애: 한나 아렌트의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 213

제5장 옛것과 새로운 것의 대화 ·········································· 227
· 들어가는 말 ··············································································· 229
1. 전통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 ··················· 234
2. 새로운 전통 만들기: 에릭 홉스봄 외의 『만들어진 전통』 ································· 246
3. 중국 전통에 대한 반항과 계몽: 루쉰의 「광인일기」 ······································ 254
4. 동양문화에 대한 현대적 변용: 여영시의 『여영시의 동양문화 다시 읽기』 ················ 270

제6장 사회 정의와 경제적 불평등 · ····································· 283
· 들어가는 말 ··············································································· 285
1. 정의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 290
2. 왜 불평등해졌는가: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 302
3. 불공정한 사회: 조지프 스티글리츠의 『불평등의 대가』 · ································· 310
4. 세습자본주의: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 320

제7장 세계는 평평한가 ······················································· 337
· 들어가는 말 ··············································································· 339
1. 보편적 교류와 상호 의존: 진래의 『진래 교수의 유학과 현대사회』 ······················· 344
2. 근대 국가와 민족주의: 에릭 홉스봄의 『혁명의 시대』 ···································· 353
3. 정치적 종교로서의 민족주의: 한스 울리히 벨러의 『허구의 민족주의』 ··················· 365

제8장 과학은 인간의 미래인가 ·········································· 379
· 들어가는 말 ··············································································· 381
1. 과학적 패러다임의 새로운 변화: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 387
2. 기후변화와 지구의 위기: 존 캐리의 『지식의 원전』 ······································ 398
3. 인간 증강의 약속과 도전: 앨런 뷰캐넌의 『인간보다 나은 인간』 ························· 407
4.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 자크 모노의 『우연과 필연』 ································· 416

저자소개

편찬위원:
라영균(통번역대학 독일어통번역학과 교수)
최호성(통번역대학 영어통번역학부 교수)
김석수(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나영남(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박남용(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양선이(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임명희(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조준래(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도서소개

이 책은 동서양의 고전들을 소통과 배려의 측면에서 탐구함으로써 인간이 사회적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덕목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 혼자만의 삶을 영위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속한 사회를 넘어 국가와 세계 시민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알려 주고 있습니다. [소통과 공감], [미디어로 들여다 본 사회], [열린 사회와 관용], [옛 것과 새로운 것]등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의 핵심 키워드를 볼 때, 소통, 공감, 미디어, 전통과 현대, 정의와 불평등, 민족주의와 세계화, 제4차 산업혁명과 과학 등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가장 필요한 가치들을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이러한 주제들을 바탕으로 한 토의·토론은 물론 글쓰기를 통해 각 주제들을 사유해 나간다면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