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책머리에ㅣ 5
제1부 시ㆍ문학ㆍ문화
시: 정신, 감정, 의식, 전위 15
자본의 힘과 시의 우위 19
젊은 시인이여 네 머리를 돌로 쳐라 27
생각, 앎, 언어, 아름다운 삶 36
박영근 시인을 추억하며 43
책, 불빛, 외로움, 습관 48
다형 김현승, 잊을 수 없는 시인 55
고은 시인을 찾아서 65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 73
꿈 혹은 추억 82
순수 혹은 저절로 그러한 삶 91
강한 책임감 혹은 분명한 가치관 99
성찰과 응시 102
시, 풍경과 존재의 변증법 111
가슴과 이마에 등불을 켜고 122
시조를 쓰고 읽는 즐거움 127
나는 이런 시를 쓰고 싶다 131
시적 발상과 형상의 언어 143
제2부 시 쓰기의 흥취와 아취
운명의 출발 157
진해 바다 혹은 사로잡힌 마음 161
저희들 마음대로 깔고 뭉개는 내 고향마을 164
죽음의 늪을 건너는 법 1 72
죽음의 정서들 밖으로 내는 쬐그만 창 184
생활과 자연과 시의 서정들 208
생태환경의 현실, 그리고 우주와의 연대 221
언어 혹은 바람에 대한 몇 가지 상념 246
지구와 달을 모시고 사는 생명의 길 259
반성하고 성찰하지 않는 인간이 어디 있으랴 272
시와 성스러움의 경지 276
오늘의 시조와 역사적 현재 280
하나로 빛나는 보랏빛 설움 287
제3부 시 읽기의 기쁨과 재미
독재, 저항, 투옥, 자유 293
박용래 시의 계보 300
17번 다순이 308
살아 있는 눈, 깨어 있는 마음 312
시와 고향의 모래둑 316
풍경 혹은 풍속의 발견 320
생생한 아픔과 경험의 시 325
상징으로 읽는 현대시 329
내화된 상처 혹은 고뇌 337
엿새는 질주하고 하루는 소요하는 사람의 이야기 341
차마 보내지 못한 사람들 347
진정한 전위정신 352
시를 읽는 봄밤 356
순간의 형식 혹은 장르의 통합 360
포도나무 시대가 나팔꽃 시대를 받아들이는 노래 366
소신공양을 마친 어둠 속의 존재들 374
지고의 선 혹은 물의 상상력 379
제4부 역사ㆍ사회ㆍ현실ㆍ문학
생명시학, 살아온 길과 살아갈 길 385
[삶의문학]과 1980년대의 한국문학 388
삶 속에서, 삶을 통해, 삶과 더불어 393
깨어 있는 정신, 활기 있는 작품 398
기독교 운동과 1980년대의 시 410
완충과 중립으로 표상되는 원시대지와 생명의 노래 416
초월적 죽음과 튼실한 울음의 세계 428
1994년 민족문학계 동향에 대하여 442
도로명 주소를 반대하는 문화예술의 시각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