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왜 부마에 주목하는가
1장 왕위 계승 쟁탈
들어가는 글: 왕자의 난과 계유정난
01 개국공신의 운명, 태조 부마 흥안군 이제 / 02 단종의 보호자, 문종 부마 영양위 정종
2장 폭군과 함께한 운명
들어가는 글: 새로운 훈척의 등장
03 연산군의 채홍사, 성종 부마 풍원위 임숭재 / 04 폐주로 인한 이혼, 연산군 부마 능양위 구문경
3장 사림파로의 전향
들어가는 글: 성리학적 사회질서의 정착
05 뛰어난 문장가, 성종 부마 고원위 신항 / 06 문집을 남긴 문사, 중종 부마 여성위 송인
4장 벼슬하지 못한 슬픔
들어가는 글: 명분과 절개, 사림의 시대
07 장원급제 실력, 선조 부마 해숭위 윤신지 / 08 강직한 척화론자,선조 부마 동양위 신익성
5장 왕권 강화의 뒤편
들어가는 글: 국왕 주도의 정국 운영
09 숙종의 밀사, 효종 부마 동평위 정재륜 / 10 중국에 알려진 명필, 현종 부마 해창위 오태주
6장 북학 수입의 첨병
들어가는 글: 문예 군주와 북학파
11 박지원과 함께한 사행, 영조 부마 금성위 박명원 / 12 정조 특명의 사행, 영조 부마 창성위 황인점
에필로그 : 부마와 그 가문을 통해 본 조선
부록 : 조선왕조 공주·옹주와 부마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