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KEI-BINM 간 양자 공동연구 협력의 틀을 러시아과학원(Russian Academy of Sciences) 산하 시베리아 분원 및 극동 분원의 5개 주요 연구기관 및 동 지역 내 5개 국립대학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등 공동 연구역량 강화에 관심이 있는 유관 연구기관들로 확대하는 한편, 한국과 러시아 양국의 공동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러시아 극동개발정책과 우리나라 유라시아이니셔티브의 상호 연계방안을 UN SDGs 이행을 위한 녹색경제 전환과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의 자원생산구조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공동연구네트워크 확대를 위하여 양측 주관 연구기관은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의 10개 연구기관 및 대학과 2개 국내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공동연구협력 양해서를 체결하였으며, 녹색경제 전환 관점의 사회경제 발전 전략, 지역생산구조 분석 방법론 등 사전 협의를 통해 선정한 연구 주제를 대상으로 2016년 6월에서 12월까지 모두 3차(러시아 2회, 한국 1회)에 걸친 공동연구 세미나와 1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공동 세미나에서는 6건의 문헌조사 자료를 포함 모두 36건에 달하는 연구결과에 대한 발표 토론이 진행되었다.
다양한 연구 주제와 지역특성을 다룬 연구결과의 효율적인 집성을 위하여 본 연구보고서는 2부로 나누어 구성하였는데, 제1부 1장 서론에서는 연구추진 배경과 네트워크 구성 경과를 정리하였으며, 제1부 2장은 제2부에 제시된 개별연구 결과를 종합한 4개의 공통주제를 각 절로 나누어 정리한 총괄보고서를 담았으며, 제2부는 현지 공동조사 결과(제2부 1절), 개별 연구발표 자료(제2부 2절) 및 문헌조사 자료(제2부 3절)를 각각의 절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공동연구 네트워크를 통한 국제 공동연구 역량강화 사업이 일회적인 연구 사업에 그치기보다는, 보다 안정적인 공동연구 재원마련 방안 등을 토대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공동연구 및 연구인력 교류 형태로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