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편 미래형 자동차
제1장 자동차 산업 주요 동향
1. 자동차 산업의 개요
1) 자동차 정의 및 분류
2) 자동차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 특성
(2) 산업 구조
3) 자동차 산업의 핵심경쟁력 변화 방향
(1) 자동차의 진화에 따른 핵심경쟁력의 변화
가. 시스템의 지능화
나. 동력원의 전기화
다. 차체의 경량화
(2) 자동차산업 가치사슬의 변화
가. 소재
나. 부품
다. 완성차
라. 인프라
(3) 산업구조 재편 전망
가. IT/SW/첨단소재 부상
나. 개방적 거래구조 형성
다. 정부의 역할 증가
2. 자동차 시장 동향
1) 국내외 자동차 시장 동향
(1) 해외 주요국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2) 품목별 자동차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가. 미국
나. 중국
(2) 국내 시장 규모
3) 해외 주요국 자동차 생산 전망
(1) 미국
(2) 중국
(3) 인도
(4) 멕시코
(5) 아세안
(6) 브라질
(7) 러시아
3. 자동차산업 R&D 동향 및 투자 현황
1) 국내외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가. 엔진기반차
나. 하이브리드차
다. 수소연료전지차
(2) 국내 R&D 동향
가. 엔진기반차
나. 하이브리드차
다. 전기차
라. 수소연료전지차
2) 국내외 R&D 투자 동향
(1) 세계 R&D 투자 동향
(2) 국내 R&D 투자 동향
4. 자동차 산업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1) 미국
가. 대체연료 차량 개발 지원정책
나. 환경규제 정책
다.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지원정책 및 관련규제 추진현황
라. IT기업 자동차 개발 동향
(2) 유럽
가. 환경규제
나. 新배기가스 테스트
다. CO2 배출 규제
라. 커넥티드카 정책
마. 기술개발 지원
바. R&D 프로그램
사. 구매지원
아. IT 기업 자동차 개발 현황
(3)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1) 분야별 정부 정책
(2) 자동차 부품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
가. 자동차 부품기업 글로벌 진출 적극 지원
나. 중소중견기업 육성 산업 생태계 구축 지원
제2장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1. 스마트카 주요 동향
1) 스마트카 개요
(1) 정의
(2) 분류 및 특성
(3) 스마트카 기술의 분야별 파급효과
2) 국내외 스마트카 기술 동향
(1) 기술Map 및 핵심기술
(2)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가. 스마트카의 무인주행 원리
나. 스마트카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다. 국내 기술개발 현황
(3)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3) 국내외 스마트카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규모
4) 국내외 스마트카 업계 동향
(1) 해외 업계 동향
가. 자동차
나. ICT
다. 자동차・ICT 업계의 혁신・협력으로 스마트카 생태계 구축 및 공고화
(2) 국내 업계 동향
가. 스마트카 핵심 원천기술 미흡 및 주요 전장품의 수입 의존 지속
나. 선도국 대비 자동차・ICT 업계 간 협력 및 융합 속도 미흡
다. 2013년 이후 주요 자동차・ICT 기업의 스마트카 사업전략 구체화
5) 스마트카 대외 기술경쟁력 분석
(1) 기술 SWOT 분석
(2) 기술경쟁력 수준 분석
가. 스마트카 기술경쟁력 비교 분석
나. 핵심기술 기술경쟁력 비교 분석
(3) 정부의 기술육성전략
6) 스마트카 표준화 현황
7) 스마트카 국제표준화 기구 및 역할
(1) ISO TC204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가. ISO TC204 WG3 ITS Database Technology
나. ISO TC204 WG14 Vehicle/Roadway Warning and Controls
다. ISO TC204 WG16 Wide Area Communications
라. ISO TC204 WG17 Nomadic Device
마. ISO TC204 WG18 Cooperative Systems
(2) ISO TC22 Road Vehicles - 도로차량
(3) IEEE 802 LAN/MAN Standards Committee
(4) ISO 국제표준 현장에서의 자율주행 표준화
가. TC204 밴쿠버 회의 자율주행 표준화 특별 워크샵
나. 자율주행 표준화 추진방향을 담은 기술보고서
8) 국내외 스마트카 관련 법・규제
(1) 해외 법・규제
(2) 국내 법・규제
2. 자율주행자동차 핵심 기술
1) 자율주행자동차 개요
(1) 정의
(2) 기술단계
(3) 자율주행자동차 등장 배경
가. 안전사고 예방
나. 에너지 절감
다. 고령자 등 교통약자에 대한 서비스
라. 안전규제 강화와 정부 지원책 확대
마. 차량제어 전장화와 센서기술 발전
바.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4)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효과
가. 운전 스트레스 해소 및 이동성(Mobility) 개선
나. 교통혼잡 해소 및 통근시간 단축
다. 주차공간 활용도 제고
라. 교통사고율 감소
마. 에너지 효율성 제고 및 공해 방지
바. 물류비용 감축
(5)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생태계
2) 자율주행자동차 주요 기술
(1) 센서
가. 카메라
나. 라이다
다. 레이다
라.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2) ECU
(3) 임베디드 스프트웨어
(4) V2X 통신 모듈
(5) 고정밀 디지털 지도
(6) 복합 측위 모듈
(7) 스마트 액추에이터 모듈
(8) 운전자-차량 인터페이스(HVI) 모듈
(9) 차세대 IVN 기반 통합 DCU
(10) 인공지능
3)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의 응용별 분류
(1)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2) 차선 이탈 경고
(3) 사각 지대 감지
(4) 야간 시야 확보
(5) 주차 보조
4) 현재 자율주행 기술의 한계
(1) 센서 기술
(2) 정밀지도 기술
(3) 측위 기술
3.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동향
(1) 해외 개발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2) 국내 개발 동향
가. 개발 현황
나. 자율주행 개발 계획
2) 업체별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동향
(1) ICT 관련 업체
가. 구글
나. 애플
(2) 완성차 업체
가. 포드
나. BMW
다. 볼보
(3) 전기차 업체
3)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SW 기술 동향
4) 자율주행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1) 센싱을 위한 인공지능기술
(2) 인지를 위한 인공지능기술
(3) 측위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4) 차량 제어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4.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동향과 시장 전망
1)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동향
(1) 상용화 현황
(2) 상용화 수준
(3) 상용화 목표 시기
2) 자율주행자동차 시장 규모
5. 자율주행 관련 규제 및 입법 동향
1) 국내외 자율주행 관련 규제 현황
(1) 해외 자율주행 관련 규제 현황
(2) 국내 자율주행 관련 규제 현황
2) 국내외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입법 동향
(1) 해외 입법 동향
가. 국제협약
나. 미국
다. 영국
라. 스웨덴
마. 독일
바. 일본
(2) 국내 입법 동향
가. 자동차관리법
나. 자동차관리법 시행령 및 동 시행규칙
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요건 및 시험운행 등에 관한 규정
제3장 전기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1. 전기자동차 발전과정 및 성장요인
1) 전기자동차 개요
(1) 정의
(2) 종류
가.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다. 순수 전기자동차
(3) 전기자동차 구조
(4) 전기자동차의 중요성
가. 환경적 측면
나. 기술적 측면
다. 시장적 측면
2) 전기차 시장 발전과정
3) 전기차 시장 성장요인
2. 전기자동차 보급 동향과 시장 전망
1) 국내외 전기자동차 보급 동향
(1) 해외 보급 동향
가. 전기자동차 보급 동향
나. 전기자동차 보급 전망
(2) 국내 전기자동차 보급 현황
2) 국내외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 전기차 시장 성장 및 전망
(2) 세계 전기차 판매 동향 및 시장별 특성
가. 판매 동향
나. 시장별 특성
(3)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해외 시장 현황
나. 국내 시장 현황
3. 전기자동차 밸류체인 및 업체 동향
1) 전기자동차 밸류체인별 동향
(1) 전기차 밸류체인
(2) 배터리
(3) Power Train
(4) 전기차 생산
(5) 전기차 충전인프라
2) 국내외 전기자동차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가. GM
나. 포드
다. 도요타
라. BMW
마. 다임러
바. 폭스바겐
사. 르노-닛산
(2) 국내 업체 동향
가. 현대-기아 자동차
나. 르노-삼성
다. 쌍용자동차
4. 전기자동차 기술 및 표준화 동향
1) 국내외 전기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가. 전기자동차 R&D 방향
나. 주요국 기술개발 현황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가. 정부 주도 기술개발
나. 민간 주도 기술개발
다. 업체별 기술개발 현황
라. 국내 기술 수준
2) 국내외 전기자동차 표준화 동향
(1) 전 세계 표준화 동향
가. 충전인터페이스 표준 현황
나. 데이터 통신 표준 현황
다. 충전장치 표준 현황
라. 기타 표준 현황
(2) 국내 표준화 동향 및 전망
5. 전기자동차 정책 동향
1) 국내외 전기자동차 지원 정책 현황
(1) 해외 주요국 현황
가. 중국
나. 독일
다. 프랑스
(2) 국내 현황
2) 국내외 전기자동차 개발・보급 정책
(1) 해외 주요국 개발・보급 전략
가. 독일
나. 일본
다. 중국
라. 노르웨이
(2) 국내 개발・보급 정책 현황
가. 전기차산업 활성화 방안(2009. 10.)
나. 전기자동차 개발계획(2010. 9.)
다. 그린카산업 발전전략(2010. 12.)
라. 전기차 상용화 종합대책(2014. 12.)
마. 친환경자동차 구매지원 대책(2015)
바. 지자체 전기차 보급지원
6.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주요 동향
1) 국내외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 현황
(1) 해외 충전인프라 구축 현황
(2) 국내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
가. 충전기 표준 현황
나. 보급 현황 및 전망
다. 급속충전기 지역별 분포 현황
2) 국내외 충전인프라 시장 현황
(1) 세계 시장 현황
(2) 국내 시장 현황
3)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기술 현황
(1) 주요 기술
(2) 완성차 업체 충전기 개발 동향
가. 테슬라 - 슈퍼차저(Super-Charger)
나. 혼다 - 전기자동차용 스마트 홈시스템(HSHS) 구축
다. BMW - 급속충전기 및 폭스바겐과의 공동전기차 충전소 구축
라. 미쯔비시 - 판매점에 전기차 충전기 설치
마. 닛산 - 판매점에 전기차 충전기 설치
4)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표준화 동향
(1) 통상적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과 충전방식
(2) 국내외 표준 진행 현황
가. 충전시스템
나. 충전 인터페이스
다. 충전 프로토콜
라. 전기자동차 관련 신규표준
5) 국내외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충전인프라 구축 지원 정책
가. 미국
나. 중국
다.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가. 지원 정책
나. 설치여건 개선
다. 1호 유료충전사업자 출범
라. 공공급속충전시설 유료화 요금(안) 발표)
7.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시장 및 기술 동향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적용 기술
(1) 종류별 기술 현황
가. HEV
나. PHEV
다. EV
(2) 배터리 차량 적용 기술
가. 리튬이온전지
나. 셀 소재
다. 배터리 모듈화 및 패킹 기술
라. 배터리 열관리 기술
마. 부품 공용화
바. 배터리 수명해석
2)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적용
(1) 이차전지 종류 및 특징
(2) 리튬이차전지 적용
(3) 리튬이차전지 에너지 효율
3)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시장 동향
4)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기술 현황
(1) 이차전지 시스템의 설계/패키징
가. 선진사별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시스템 주요 사양
나. 리튬이차전지 팩/시스템의 주요 설계 기술
(2) 전기자동차(xEV) 구동용 리튬이차전지의 핵심 부품별 기술 동향
가. 양극활물질
나. 음극활물질
다. 전해액
라. 분리막
5) 차세대 전기자동차 구동용 이차전지 기술
(1) 리튬이차전지의 한계
가. 리튬-유황전지
나. 리튬-공기전지
제4장 수소연료전지차 기술개발 동향
1. 수소연료전지차 개요
1) 수소연료전지차의 정의 및 구조
(1) 정의
(2) 환경성
(3) 구조
2) 수소연료전지차의 특성
(1) 장점
가. 높은 에너지 효율
나. 무공해
다. 연료의 무제한
(2) 단점
가. 고가의 차량 가격
나. 수소 공급 인프라 문제
다. 차내 수소 저장의 문제
라. 내연기관의 부재
마. 촉매에 백금 사용
2. 수소연료전지 주요 동향
1) 연료전지 개요
(1) 정의
(2) 구성
(3) 분류
(4) 종류별 특징
가. PAFC(Phosphoric Acid Fuel Cell)
나. PEM(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다. MCFC(Molten Carbonate Fuel Cell)
라. SOFC(Solid Oxide Fuel Cells)
마. DOE 목표치
(5) 산업별 분류 및 발전 동향
가. 이동전원용 연료전지(DMFC)
나. 수송용 연료전지
다. 발전용 연료전지
라. 건물용 연료전지
(6)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성
나. 산업 구조
2) 국내외 연료전지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3) 국내외 연료전지 시장 전망과 수출입 동향
(1) 세계 시장 및 수출입 동향
가. 시장 규모
나. 수출입 현황
(2) 국내 시장 규모
(3) 무역현황
4) 국내외 연료전지 보급 및 운영 현황
(1) 국내 보급 및 운영 현황
가. 정부의 과거 연료전지 보급 목표(~2011)
나. 신・재생에너지 및 연료전지 보급 현황
다. 연료전지 발전량
라. 연료전지 보급량
마. 연료전지 보급 잠재량 및 전망
(2) 해외 연료전지 보급 및 운영 현황
가. 세계 보급 현황
나. 국가별 보급 현황
6) 연료전지 정책 동향
(1) 시기별 정책 방향
가. 국내
나. 해외
(2) 국내외 정책 동향
가. 국내 연료전지 보급 정책
나. 세계 정책 동향
3. 수소연료전지차 산업 현황과 시장 전망
1) 수소연료전지차 산업 현황
2)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전망
(1) 단기적인 전망
(2) 장기적인 전망
4. 수소연료전지차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1) 미국
가. 포드
나. GM
(2) 유럽
가. 다임러 벤츠
나. 폭스바겐
(3) 일본
가. 도요타
나. 혼다
다. 닛산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5. 수소전기자동차 시장 및 기술 동향
1) 수소전기자동차 개요
2) 수소전기차 시장 및 출시 현황
(1) 시장 현황
(2) 출시 현황
3) 수소전기차 가격저감 기술개발 동향
6. 수소연료전지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현황
1) UN/ECE/WP.29 활동 현황
(1) SGS(안전분과)
(2) ELSA(전기안전분과)
2) 국내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현황
(1) 연구 현황
(2) 주요 연구내용
가. 연료 공급시스템 고정성 시험
나. 수소 저장시스템 충돌시험
다. 자동차 화재시 안전성 평가
라. 수소누설 위험모델 안전확보 연구
마. 실차화재시험
바. 전자파 적합성 시험
3) 안전기준 제개정 현황
(1) 수소안전성
(2) 운행안전성
(3) 전기안전성
4) 결론
7.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과 기술개발 동향
1) 수소충전소 정의 및 공급방식
(1) 정의
(2) 공급방식
가. Off-site 방식의 수소충전소
나. On-site 방식의 수소충전소
2) 국내외 수소충전소 현황
(1) 해외 현황
(2) 국내 현황
3) 수소충전소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수소제조장치 기술개발 동향
(2) 국내외 수소충전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제Ⅱ편 자동차 전장
제1장 자동차 전장부품 시장 및 기술 동향
1. 자동차 부품 산업 동향
1) 자동차 부품산업 현황
(1) 전방산업의 성장에 따른 매출 증가 추세
(2) 자동차 부품업계 매출 내역
(3) 대기업화 진행
(4) 부품업계 트렌드
가. 모듈화
나. 플랫폼 통합 및 부품공용화
다. 전장화
2) 국내 자동차부품 산업 동향
(1) 산업 위상
(2) 시장 규모
(3) 업체 현황
(4) 국제경쟁력
3) 경량・복합 소재 자동차부품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다. 산업 특징 및 구조
(2)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3) 국내외 업체 현황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2. 자동차 전장부품 산업 환경
1) 전장부품 개요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분류
(2) 중요성
(3) 작동원리
가. 센서(Sensor)
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다. Actuator
(4) 활용분야
가. 파워트레인 계열
나. 주행안전(섀시) 계열
다. 바디계열
라. 인포테인먼트 계열
2) 전장부품 산업 환경 분석
(1) 산업 특성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ADAS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
1)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ADAS 관련 전장부품
2)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술 동향
(1) 정의
(2) 인포테인먼트 산업 현황
(3) 인포테인먼트 기술 동향
가. 과거 인포테인먼트 기술
나. 최근 신기술 동향
(4)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기술
가. Google - Android
나. Apple - Carplay
다. MS - Window in the car
라. GENIVI Alliance - GENIVI
마. Tizen - AGL
3) ADAS 시장 및 기술 동향
(1) 정의
(2) 주변환경 인식 센서의 종류
가. 레이더(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
나. 레이저(LASER, Light Amplification by the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다. 초음파(Ultrasonic wave)
라. 카메라(Camera)
(3) 국내외 ADAS 시장 동향
(4) ADAS 주요 기술
가.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나. 적응형 주행 제어(Adaptive Cruise Control: ACC)
다. 교통 신호 인식(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라. 야간 시각(Night Vision: NV)
마. 적응형 상향등 제어(Adaptive High Beam Control: AHBC)
바. 보행자/장애물/자동차 감지(PD)
사. 운전자 졸음 경고(Driver Drowsiness Alert)
(5) 센서 시장과 기술 발전 방향
가. 시장
나. 기술
(6) 센서 업체의 전략 비교
가. 레이더
나. 라이다
다. 카메라
라. 센서융합
4. 자동차 전장부품 주요 동향
1) 국내외 전장부품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무역현황
2) 주요 부품별 동향 및 전망
(1) 센서
가. 자동차용 센서의 적용 분야
나. 시장 및 업체 동향
(2) 반도체
가. 정의 및 특성
나. 시장 동향
(3) 소형 모터
(4) 카메라모듈
(5) 통신 모듈
(6) 디스플레이
(7) LED 램프
(8) MLCC
(9) 터치패널
5. 자동차 전장부품 기술 및 특허 동향
1) 국내외 전장부품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스마트카 기술
나. 전기자동차
다. 자동차 안전 관련 법제화에 따른 전장화 촉진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2) 국내외 전장부품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4) 주요출원인 분석
(5) 국내 출원인 동향
제2장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 및 기술 동향
1.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및 정책 동향
1) 디스플레이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나. 범위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특징
가. 기술・자본집약적
나. 전후방 산업 의존성
다. 공정기술의 중요성
(3) 주요 기술
가. LCD
나. TFT
다. OLED
라. 해상도
마. Quantum Dot
바. Plastic Display
2) 국내외 디스플레이 산업 동향
(1) 국내외 시장 동향
가. 세계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2) 세계 시장 점유율
가. LCD
나. OLED
(3) 기술경쟁력 현황
가. 패널
나. 장비
다. 부품・소재
(4) 디스플레이 수출 전망
3) 디스플레이 분야 경쟁국 동향
(1) 중국
(2) 대만
(3) 일본
(4) 인도
4) 디스플레이 국제 표준화 동향
5) 국내외 디스플레이 정책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6) 디스플레이 분야별 시장 동향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가. 정의 및 유형
나. 기술 동향
다. 시장 전망
(2) 투명 디스플레이
가. 개요
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다.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3) OLED 디스플레이
가. 개요
나. 시장 현황 및 전망
다. 주요 기업 및 투자 동향
2.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및 개발 동향
1) 차량용 디스플레이 성장 가능성
(1) 성장성
(2) 수익성
2) 차량용 디스플레이 적용 분야 및 개발 방향
(1) 적용 영역 및 기능
(2) 개발 방향
가. 대형화/고화질화
나. 고기능화
3)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및 업체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외 업체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자동차 증강현실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1) 자동차 증강현실의 필요성
(1) 인지와 판단의 중요성
(2) 인지와 판단 오류로 인한 사고 위험
(3) 인지 판단력 증강
2) 자동차 증강현실 기술개발 현황
(1) 차량용 증강현실 개념 제시
가. BMW
나. Autoglass
다. Toyota
(2) 단말기 기반 증강현실
가. imaGinyze
나. Pioneer
다. 아이나비
(3)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반 증강현실
가. GM
나. Continental
다. Jaguar Land Rover(JLR)
3) 자동차 증강현실을 위한 요소 기술
(1) 주행환경 인식 기술
(2) 주행상황 판단 기술
(3) 운전자 시야중심 정보 정합 기술
4.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장 및 기술 동향
1)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2)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구조
(3) 경쟁환경
(4) 전후방산업 환경
2) 국내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무역현황
3) 국내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프로젝션 방식 HUD
나. 레이저 방식 HUD
다. 디스플레이 패널 방식 HUD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국내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 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4) 주요출원인 분석
(5) 국내 출원인 동향
5. 차량용 터치스크린패널 기술 동향
1) 터치스크린패널 개요
(1) 정의 및 방식
가. 정의
나. 정전용량 방식
(2) 분류
가. 정전용량 방식
나. 부착형(Add-on Type)
다. 커버윈도우 일체형(Touch Integrated with Cover Window Type)
라. 디스플레이 일체형(Touch Integrated with Display(LCD/OLED) Type)
(3) 각 방식의 특징
가. 필름 방식(GFF, GF2)
나. Glass방식(GG, GG2)
다. 커버윈도우 일체형(G1F, G2, G1)
라. 디스플레이 일체형(On-Cell, In-Cell)
2) 터치스크린패널 기술 동향
3) 터치센서 산업 및 기술 동향
(1) 터치 제품별 산업동향
가. Smart Phone
나. Tablet PC
다. Notebook PC
라. All-in-One PC
(2) 세계 터치제품 시장 동향
(3) 터치센서 기술개발 방향
가. High End 및 Low End 전략
나. 단일층 터치센서 기술개발
다. 플랙시블 터치센서 기술개발
라. Embedded 터치센서 기술개발
마. 대면적 터치센서 기술개발
제3장 자동차용 LED 조명 시장 및 기술 동향
1. LED 조명 시장 및 기술 동향
1) LED 조명 개요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분류
(2) 특성
2) 국내외 LED 조명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환경 변화
(2) 국내외 시장 동향
가. 해외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3) LED 조명 부품기술 동향
(1) LED 패키지 및 관련 부품
가. 개요
나. LED 패키지 기술동향 및 전망
다. LED 패키지 소재부품 기술동향 및 전망
(2) 메탈코아 PCB
가. 개요
나. 기술 동향 및 전망
(3) 구동회로 및 SMPS
가. 개요
나. 기술 동향 및 전망
(4) 방열부품
가. 개요
나. 기술 동향 및 전망
(5) 광학부품
가. 개요
나. 렌즈 기술동향 및 전망
다. 반사판 기술동향 및 전망
라. 확산판 기술동향 및 전망
2. 융합조명시스템 시장 및 기술 동향
1) 융합조명시스템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구조
(3) 경쟁환경
(4) 전후방산업 환경
2) 국내외 융합조명시스템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무역현황
3) 국내외 융합조명시스템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수요자 맞춤형 제품의 고기능화 및 신뢰성 확보(4차산업혁명 기술 융합)
나. 디자인 고도화 및 아이디어 창출 등에 따른 고부가가치 창출
다. 사용자 편의성 및 호환성 확보(IT 융합)
라. 인간 친화 및 헬스케어
마. 국내외 표준화 선점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자동차용 LED 조명 시장 및 기술 동향
1) 자동차용 LED 조명 개요
(1) 자동차용 조명의 새로운 패러다임
(2) 자동차에서의 LED 조명 채택 이유
2) 자동차용 LED 시장 동향
(1) 자동차용 LED 조명 시장의 급성장
(2) 자동차 LED 모듈 시장
3) 자동차용 LED 조명 기술 현황
(1) LED 조명 적용 및 신기술 동향
가. 적용 현황
나. 전조등 신기술 동향
(2) 국내외 자동차용 LED 조명 기술 현황
가. 해외 자동차용 LED 조명 기술 및 장착 현황
나. 국내 자동차용 LED 조명 기술 및 장착 현황
4) 국내외 자동차용 LED 융합산업 구조 현황
(1) 해외 수송기기 LED 조명 산업 현황
(2) 국내 자동차용 LED 융합산업 구조 현황
가. LED 융합산업 구조 현황
나. 수송용 LED 융합산업 현황
통계(도표) 목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