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안행정학개론 9급 세트 (2018)

지안행정학개론 9급 세트 (2018)

  • 염오봉
  • |
  • 탑스팟
  • |
  • 2017-08-24 출간
  • |
  • 1164페이지
  • |
  • 212 X 299 X 43 mm /2634g
  • |
  • ISBN 9791186814970
판매가

36,000원

즉시할인가

32,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4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의 특징
경기침체 심화와 청년실업 증가의 세태를 반영하여 공무원임용시험에 응시하는 인원도 급증하고 있다. 7급·9급 공무원시험의 경쟁률이 100대 1에 육박하여 가히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 각종 국가고시에서 모든 과목의 출제문제들의 난도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2013년도부터 행정학이 선택과목으로 전환되어 난도가 다소 내려갔지만 전반적으로 합격선이 상승하면서 단 한 문제에 당락이 결정되는 상황에서 선택과목에서 고득점 하는 것은 합격의 열쇠가 된다. 흔히 행정학은 내용이 방대하고 학제적 접근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단기간에 섭렵하기 어려운 과목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행정학의 최근 출제문제들은 매우 정형적이어서 예측 가능하며, 행정학 전체의 논리체계와 쟁점을 이해하면 확실한 고득점을 거둘 수 있는 전략과목이다. 이 책은 수험생들의 필승 합격을 위한 동반자가 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본서의 특징
첫째, 본서는 9급 선택과목인 행정학개론에 적합하게 방대한 이론과 법령·제도를 모두 망라하되 논리 흐름과 핵심 쟁점 위주로 간략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해설서이다. 따라서 백과사전식 내용이 아닌 간결하며 흐름 중심의 체계를 갖추어서 수험공부의 부담이 적다. 스마트한 학습을 해야 승자가 된다!
둘째, 본서는 각 제도(법령)와 이론들의 등장배경, 맥락 및 논리체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론과 법령을 수동적으로 암기하는 주먹구구식 공부를 버리고, 먼저 숲을 보고 이해한 후 그 안에 있는 나무들을 차례로 정복해나가는 본서 편제와 저자의 강의를 벗 삼기를 권한다.
셋째, 본서는 중요 기출문제와 친절한 해설을 함께 제공하여, 본문 진도와 병행해서 기출문제를 통해 기초를 확립하도록 인도한다. 본서와 저자 강의만으로 행정학을 정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행정학은 정부가 실제로 움직이는 현장에서 살아 있는 학문이므로, 2017년 7월 정부조직법 개정 내용부터 국민연금법, 행정규제기본법 등 최근 개정된 최신정보를 빠짐없이 수록하였다.

이제 수험생들은 단시간에 정형화된 기출문제들을 풀어보고 파편화된 개념들을 암기하는 방식으로는 행정학시험에서 결코 고득점할 수 없다. 그러나 전체의 흐름을 잡은 후에 기출문제로 기초를 쌓고 그 위에 심화 예상문제를 섭렵하면 행정학은 6개월 정도 기간 내에 고득점에 이를 수 있는 효자과목이다. 전문 산악인도 에베레스트 산에 오를 때 셀파라는 현지 안내인의 도움을 받는다. 하물며 인생이 걸린 취업 수험시장에서 합격의 고지에 오르는 데 좋은 셀파(교재와 강의)는 필수적이다. 저자는 행정고시에 합격 후 다년간 중앙행정부처에서 공직경험과 대학 등에서 강의 경험을 기초로 행정학 전체를 꿰뚫어보는 강의를 제공한다. 특히 지안에듀 공무원시험학원의 홈페이지와 필자의 인터넷 카페를 통해 본서와 강의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수험생 여러분과 1:1방식의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본서와 저자의 강의 및 질의응답으로 최단기 합격의 열매를 수확하자!

끝으로 이 책을 출간하는 데 애써주신 탑스팟 출판사 임직원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드리며, 본서 집필을 위해 오랜 시간 글 감옥에 갇혀있던 필자를 묵묵히 도와준 아내에게 이 책을 바친다. 그리고 이번에 출간한 2018년도 대비 지안행정학개론을 통하여 수험생 여러분들이 합격의 영광을 거두기를 기원한다.

목차

제1편 행정학의 발전과정과 연구접근방법

제1장 행정의 본질과 분석관점
제1절 행정의 발생연원과 의의
· 공공재로서 행정 · 권력성 vs. 관리성
제2절 행정과 정치의 상관관계
· 정치·행정2원론 vs. 정치·행정원론
제3절 행정과 경영의 비교
· 보제만(Bozeman) 공적 극점과 사적 극점
제4절 목적국가관과 시민연합국가관
· 시민사회 · 사회적 자본
제5절 행정법학적행정개념 vs. 행정과학적행정개념
· 행정관리설/통치기능설/행정행태설/발전기능설/신행정학/거버넌스론

제2장 행정학의 발전과정과 이론체계
제1절 유럽국가의 행정학
· 관방학(官房學, cameralism)
제2절 근대행정학의 성립과 이론체계
· 정통행정학 ·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제3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과학성 vs. 기술성 · 행정변수
제4절 사회현상의 본질에 대한 가정과 연구방법
· 주관주의 vs. 객관주의 · 연역법 vs. 귀납법
· 방법론적 개인주의 vs. 전체주의
제5절 행정학 접근방법의 체계
· 규범주의/실증주의 · 소범위이론/중범위이론/일반이론 · 개방체제/폐쇄체제

제3장 정통주의 접근방법 vs. 탈정통주의 접근방법
제1절 역사적 접근방법 : 정통주의
· 사례연구(Case Study)
제2절 법적 접근방법 : 정통주의
· 행정절차법
제3절 구제도주의 접근방법 : 정통주의
제4절 관리적 접근방법 : 정통주의
· 테일러(F.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제5절 행태주의 접근법 : 탈정통주의
· 논리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제6절 비교행정론과 생태론적 접근법 : 탈정통주의
· F.W.Riggs 프리즘적 행정모델
제7절 발전행정론 : 탈정통주의
· 기관형성(제도형성;Institution Building)
제8절 체제적 접근방법 : 탈정통주의
· 항상성 · 동태적 균형
제9절 신행정론 : 탈정통주의
· 형평성 · 미노브루크회의 · 블랙스버그선언

제4장 질적 접근법 & Post-Modernism(탈근대주의)
제1절 현상학적 접근방법
· 감정이입 · 상호주관성
제2절 비판이론적 접근방법
· 주의주의 · 도구적 이성 · 프랑크푸르트학파
제3절 Post-Modernism(탈근대주의)
· 상상/탈구성/영역해체/타자성

제5장 공공선택론 : 경제학적 접근
제1절 공공선택과 효율적 자원배분원리
· 교환으로서의 정치
제2절 집단적 의사결정방식과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 투표의 역설 · 중위투표자정리
제3절 관료제의 공공선택모형
· Niskanen 예산극대화모형
· Dunleavy 관청형성모형

제6장 신제도주의론 : 통합적 접근
제1절 ‘제도’에 대한 다양한 접근
· 구제도주의 vs. 신제도주의
제2절 합리적 선택제도주의 : 경제학에서의 신제도주의
· R.Coase의 거래비용이론 · 주인-대리인이론
제3절 역사적 신제도주의 : 정치?행정현상에 대한 신제도주의 접근법
· 역사발전의 비효율성/경로의존성
제4절 사회학적 신제도주의 : 조직과 신제도주의
· 배태성 · 제도적 동형화

제7장 현대적 접근방법
제1절 신공공관리론(NPM)
· Osborne & Gaebler 정부재창조론
제2절 New Governance와 신공공서비스론(NPS)
·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

확인문제

제2편 현대행정의 원리와 기능

제1장 현대행정의 기능과 특징
제1절 현대행정의 기능
· 행정수요 · 행정기능 · 행정과정
제2절 행정국가화의 의의와 특징
· 파킨슨법칙(Parkinson's Law)
제3절 신행정국가(규제국가)의 의의와 특징
· 공동정부 · 핵심행정부
제4절 정부운영체계의 변화 방향
· 네트워크화
· Ostrom부부의 다중적 공공서비스 공급체계

제2장 이데올로기와 행정이념(가치)
제1절 국가(정부)를 바라보는 관점과 이데올로기
· 보수주의 vs. 진보주의
제2절 행정철학과 행정이념(가치)
· 합법성/합리성/능률성/민주성/효과성/생산성/가외성
제3절 사회적 형평성과 정의(공익)론
· J.Rawls 정의론 vs. R. Nozick 자유주의
제4절 불평등과 정부의 대응
· 지니계수 · 공적부조 & 사회보험

제3장 시장실패 vs. 정부실패
제1절 정부 역할의 변천과정
· 온정주의(paternalism) vs. 신자유주의
제2절 시장의 작동원리와 효율성의 달성
· 완전경쟁시장 파레토 효율성
제3절 시장실패의 원인과 해결방법
· 독과점 · 외부성 · 불완전정보 · 공공재
제4절 정부실패의 원인과 해결방법
· X-비효율성 · 지대추구와 포획

제4장 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
제1절 제3섹터(the third sector)
· 준정부조직(QUAGO) · 시민단체(NGO)
제2절 제4섹터와 사회적 경제
· 사회적기업/사회적협동조합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형태의 변화와 공기업
· 복지국가적 공급체계 vs. 신공공관리적 공급체계
제4절 공기업의 운영체계
· 정부기업/시장형공기업/준시장형공기업
제5절 공공서비스의 다양한 공급방식
· 바우처(voucher) · 공급과 생산주체에 따른 공공서비스 공급방법 · 주요 민영화 방법별 장·단점

제5장 정부규제
제1절 정부규제의 의의와 접근법
· 명령지시적 규제 vs. 시장유인적 규제
제2절 정부규제의 유형
· 경제적 규제 vs. 사회적 규제
제3절 우리나라 정부규제의 운영체계와 규제개혁
· 행정규제기본법(1997)
제4절 정부규제에 대한 정치경제학의 분석모형
· Tullock의 포획이론 · Wilson의 규제정치모형

확인문제

제3편 정책학

제1장 정책학의 기초이론
제1절 정책학의 의의와 등장배경
· 후기행태주의
제2절 정책의 기초개념
· L. Salamon의 정책수단 분류
제3절 정책유형론
· Lowi의 정책유형론
제4절 기획론
· 기획의 그레샴법칙 · 연동기획
제5절 정책과정의 체계와 이론
· 정책결정 요인론(Policy Determinate Theory)
제6절 정책과정의 참여자
· 공식적 참여자 & 비공식적 참여자

제2장 정책결정론
제1절 정책의제 설정이론
· R. Cobb의 정책의제설정모형 : 외부주도형/동형/내부접근형
제2절 정책결정의 의의와 체계
· 품의제
제3절 정책결정자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 엘리트이론 · 다원주의 · 무의사결정론
· 조합주의 · 정책네트워크모형
제4절 정책결정모형
· 합리모형 · 만족모형 · 점증모형
· 최적모형 · 회사모형 · 조직모형
· 쓰레기통모형 · 정책창모형 · Allison모형

제3장 정책분석론
제1절 정책분석의 기초원리
· W. Dunn의 정책문제분석 : 경계분석/분류분석/계층분석/가정분석/유추법/브레인스토밍/복수관점분석/논변지도분석
제2절 정책대안의 결과 예측기법
· 델파이 · 브레인스토밍 · 회귀분석
· 의사결정분석 · 계층화분석법
· 선형계획법 · PERT/CPM
제3절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 할인율/내부수익률 · 비용-효과분석
제4절 합리적 의사결정의 한계와 극복방안
· 민감도분석/상황의존도분석/악조건가중분석/분기점분석

제4장 정책집행론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와 성공요인
· Sabatier 정책집행성공요인 · 순응/불응
제2절 정책집행모형과 접근법
· 하향적 정책집행 vs. 상향적 정책집행

제5장 정책평가론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와 논리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 총괄평가 vs. 과정평가
제3절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6장 정책효과의 인과관계와 통계적 추론
제1절 정책평가에 있어서 인과관계의 조건
· 허위변수 & 혼란변수
제2절 타당성(validity)과 신뢰성
· 내적타당성/외적타당성/구성타당성
제3절 인과성의 검증방법
· 진실험/준실험/비실험
제4절 정책평가와 가설검증
· 분산분석/상관분석/회귀분석/경로분석/요인분석

제7장 정책변동론 & 새로운 정책모형
제1절 정책변동 개요
제2절 정책변동모형
· Sabatier의 정책지지연합모형
제3절 새로운 정책모형(이론)
· 딜레마이론 · 시차이론 · 카오스이론

확인문제

제4편 조직론

제1장 조직의 기초원리
제1절 조직의 기본개념
제2절 조직의 유형
· A.Etzioni의 조직유형/Cox.Jr의 조직유형
· 계선/막료

제2장 조직이론의 체계
제1절 조직이론의 접근방법과 분류체계
제2절 고전조직이론
· Taylor 과학적 관리법 · M.Weber 관료제이념형
제3절 신고전적 조직이론
· 인간관계론 · 호오손실험
제4절 현대조직이론 1
· 구조적 상황이론
제5절 현대조직이론 2
· 자원의존이론 · 조직군생태학이론
· 전략적 선택이론

제3장 조직구조의 변수 및 환경과의 관계
제1절 조직구조의 개요
· 복잡성(전문성) · 공식화 · 집권화/분권화
제2절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 규모, 기술
· Perrow연구/Thompson연구/Daft연구
제3절 환경과 조직의 관계
· 완충전략/연결전략
제4절 조직과 환경에 관한 이론
· M형가설 · 결정론 vs. 임의론

제4장 조직구조의 설계전략
제1절 조직목표
· 교환모형/교화모형/수용모형 · MBO
제2절 조직의 원리
· 수직적 vs. 수평적 조정기제(Daft)
제3절 조직설계 전략
· H. Mintzberg의 조직설계 유형
제4절 관료제의 조직설계
· Max.Weber의 관료제 이념형
제5절 한국정부조직
제6절 관료제의 대안적 구조
· Adhocracy/위원회조직/Project Team&Task Force/매트릭스조직/학습조직/네트워크조직/프로세스조직
제7절 책임운영기관

제5장 개인수준의 조직관리 전략
제1절 행정조직의 관리전략
제2절 조직행태의 구성요소
· Pavlof 조건반사이론 vs. 조작적 학습이론
제3절 직무태도와 조직성과
· 직무만족 · 조직몰입 · 조직시민행동
제4절 동기부여이론의 체계
제5절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 Maslow 욕구계층이론 · McGregor X/Y이론
· Argyris 성숙/미성숙이론 · Herzberg 2요인이론
· Alderfer ERG이론 · McClelland 성취동기이론
제6절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 V.Vroom 기대이론 · Adams 공정성이론
· Porter&Lawler 기대이론
· Locke 목표설정이론

제6장 집단수준의 조직관리 전략
제1절 집단의사결정의 기초원리
· 집단사고 · 집단행동의 딜레마
제2절 의사전달 & 행정PR
· 의사전달 유형 · 행정PR vs. 선전
제3절 조직 내의 권력(power)과 갈등관리
· 갈등원인 · 토마스의 대인적 갈등관리방법
제4절 리더십이론
· 특성이론/행태이론/상황론/새접근법
· 변혁적 리더십 vs. 서번트리더십

제7장 조직수준의 조직관리 전략
제1절 조직문화
제2절 조직의 효과성
· 경쟁적 가치접근법
제3절 행정조직의 동태적 발전
· 조직진단 · 조직발전(OD) · TQM/BPR

확인문제

제5편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기초원리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와 체계
· 인사행정과 인사관리
제2절 인적자본론과 인적자원관리의 체계
· Gary Becker 인적자본론

제2장 인사행정제도
제1절 엽관제도와 실적주의
· Pendleton법과 추밀원령
제2절 직업공무원제도와 정치적 중립
제3절 대표관료제와 적극적 인사행정
· 우리나라 소수자보호 인사제도
제4절 중앙인사행정기관
· 독립단독형인사기관

제3장 공직의 분류
제1절 우리나라의 공직분류체계
· 경력직 vs. 특수경력직
제2절 계급제(ranking-in-person system)
· 4대 계급제
제3절 직위분류제(position classification)
· 서열법 · 분류법 · 점수법 · 요소비교법
제4절 직무설계(job design)
· 직무특성이론

제4장 인적자원관리의 혁신
제1절 개방형직위제도
· 개방형 vs. 폐쇄형 인사제도
제2절 공모직위제도
제3절 고위공무원단제도
· 적격심사제도 · 역량평가제도

제5장 공무원 임용
제1절 공무원 임용의 체계
· 인력계획 · 국가공무원법
제2절 임용제도
· 배치전환 · 승진 · 강임
· 시험의 타당도와 신뢰도 · 미국 SES

제6장 공무원의 능력발전
제1절 능력발전의 개요
제2절 공무원 교육훈련제도
· On-the-Job-Training vs. Off-the-Job-Training
제3절 공무원의 승진
· 경력개발제도(CDP)
제4절 근무성적평정제도
· 성과계약제 · 공무원성과평가등에 관한 규정
· 도표식척도법/사실기록법/강제선택법/강제배분법/체크리스트법/서열법/중요사건기록법/목표관리제법/평가센터법/행태기준척도법(BARS)/행태관찰척도법(BOS)
제5절 제안제도

제7장 공무원의 사기제고방안
제1절 공무원 사기의 기초개념
· 사기/직무특성/생산성
제2절 공무원 보수체계
· 연봉제 · 총액인건비제도
제3절 연금제도
· 공무원연금법 개정내용
제4절 공무원의 신분보장

제8장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절 공무원의 윤리
· 공직자윤리법 · 부패방지법
제2절 공직부패방지제도
· 부패의 유형 · 국가인권위원회 · 청탁금지법
제3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참여적 관료제 · 공무원복무규정
제4절 공무원단체
· 공무원노동조합 · 공무원직장협의회

확인문제

제6편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재정)의 기초원리
제1절 재무행정(재정 : public finance)의 개요
· Musgrave 재정의 3대 기능
제2절 재정의 범위와 통합재정
· 통합재정수지/총계/총수입/총지출
제3절 재무행정의 법률체계
· 국가재정법 · 정부기업예산법
· 국고금관리법 · 국가회계법
· 공공기관운영에 관한 법률
제4절 재무행정조직
· 3원체제/2원체제

제2장 예산의 기초이론
제1절 예산의 기초개념
· On-Budget/Off-Budget
제2절 예산에 관한 이론
· 총체주의 vs. 점증주의
제3절 예산의 원칙
· 한정성 원칙 · 통일성 원칙
· 단일성원칙 · 완전성(총계예산)원칙

제3장 예산의 종류와 분류체계
제1절 예산의 체계
· 일반회계/특별회계
제2절 예산의 종류
· 본예산 · 추가경정예산 · 수정예산 · 준예산
· 자본예산 · 조세지출예산
제3절 예산의 분류
· 조직별 분류 · 품목별 분류 · 기능별 분류
· 경제성질별 분류
제4절 예산제도의 구조
· 예산법률주의 vs. 예산비법률주의
제5절 기금

제4장 예산제도의 발전과 개혁
제1절 예산제도의 개혁방향
제2절 품목별예산제도(LIBS)
· 합법성(통제) 지향
제3절 성과주의예산제도(PBS)
· 단위원가(Unit cost)
제4절 계획예산제도(PPBS)
· 사업구조(program structure)
제5절 목표관리(MBO)제도
제6절 영기준예산제도(ZBB)
· 의사결정패키지(decision package)
제7절 신성과주의 예산제도(=프로그램예산제도)
· 성과지표 · 성과관리

제5장 정부회계제도
제1절 회계의 기초 원리
· 대차평균의 원리
제2절 회계제도의 유형 : 복식부기 & 발생주의
· 단식부기 vs. 복식부기 · 현금주의 vs. 발생주의
제3절 우리나라 정부회계의 개혁과 운영체계
· 재정상태표/재정운영표

제6장 예산과정론
제1절 재정절차와 예산행태(전략)
· Wildavsky 예산행태유형론
제2절 예산안 편성
· 상향식예산편성 vs. 하향식예산편성
제3절 예산안 심의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제4절 예산의 집행
· 규범성 확보제도 vs. 신축성 확보제도
제5절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민간투자제도
· BTO/BTL/BOT/BOO
제6절 결산

제7장 재정제도의 효율화를 위한 개혁
제1절 선진국의 재정개혁
· 지출관리예산/총괄배정예산/운영예산/산출예산/다년도예산/정치관리형예산
제2절 우리나라 재정제도 개혁의 방향과 내용
· Top-down Budgeting · 재정성과관리제도
제3절 재정민주주의의 확보방법
· 성인지예산제도

제8장 국가채권·채무 관리, 조세제도 및 조달행정
제1절 국가채권 및 국가채무의 관리
· 국가채권관리법 · 국가채무와 국가부채
제2절 공적자금
· 공적자금관리특별법
제3절 조세체계
· 국세/지방세 · 직접세/간접세
· 누진세/비례세/역진세
제4절 조달행정
· 집중조달 vs. 분산조달

확인문제

제7편 지방자치론

제1장 지방자치의 원리와 체계
제1절 지방행정과 지방자치
· 주민자치 vs. 단체자치
제2절 자치권
· 자치입법권(조례/규칙)/자치조직권/자치행정권/자치재정권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와 유형
· 광역/기초자치단체 · 일반/특별지방행정기관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 중층제/단층제 · 명칭 ? 구역 조정절차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제1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
· Rhodes 권력-의존모형
· Wright 단절모형/포획모형/중복모형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유형
· 기관대립형 vs. 기관통합형 vs. 주민총회형
제3절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기관
· 시정명령 & 직무이행명령
· 재의요구권 & 제소권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사무배분
제1절 기능배분의 기초원리
· Saunders 이원국가론
· 개별적 수권주의 vs. 포괄적 수권주의
제2절 자치사무와 위임사무
· 고유사무/단체위임사무/기관위임사무
제3절 교육 및 경찰서비스의 지방정부로의 위임
· 교육자치제 · 경찰자치제

제4장 지방재정
제1절 지방재정의 기초원리
· 응익 주의/응능주의 · 티부(Tiebout) 가설
제2절 지방세 수입
· 보통세/목적세 · 탄력세율제도
제3절 세외수입
제4절 지방채 수입
제5절 지방재정조정제도
제6절 우리나라의 지방재정조정제도
· 지방교부세(보통·특별·부동산·소방안전교부세)
· 국고보조금 · 조정교부금

제5장 광역행정과 주민참여자치
제1절 광역행정의 기초원리
제2절 정부 간 분쟁 해결방법
· 행정협의조정위원회
제3절 도시화와 도시정치
· Klassen 도시화단계 · 가도시화/과잉도시화
제4절 주민참여제도
· 주민발안제 · 주민소환제 · 주민투표제
· 주민감사청구제도 · 주민소송제도
· 주민참여예산제도

확인문제

제8편 전자정부와 행정환류론(feedback)

제1장 전자정부론
제1절 정보화의 기초원리
· 정보재
제2절 지식관리와 지식정부
· 정보자원관리(IRM) · 행정정보관리체제(PMIS)
제3절 전자정부와 전자정부법
· Back Office Strategy / Front Office Strategy
· Big Data · 전자정부법 · 국가정보화기본법

제2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제1절 행정책임
· 제도적 책임 & 자율적 책임
제2절 행정통제
· 옴부즈만제도 · 국민권익위원회
제3절 행정의 성과평가(feedback)
· 균형성과평가제도(BSC)

제3장 행정개혁과 한국행정의 미래
제1절 환경변화와 행정개혁의 추진전략
· 감축관리
제2절 행정개혁의 새로운 패러다임 : 시장지향적 행정개혁
제3절 주요 선진국과 한국의 행정개혁
· 우리나라 행정개혁 과정
· 시민헌장 · 민원사무처리제도
확인문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