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열며
제1장 시대의 긴밀한 요청, 역사와 문화콘텐츠의 만남
1. 역사의 진실이란
2. 역사의 진실이 왜곡된다면
3. 왜 문화콘텐츠인가
4. 역사인식방법의 전환 '큰 역사에서 작은 역사로'
5. 팩션(Faction) 열풍과 꿈의 역사
제2장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까?
1. 스토리텔링이란
2. 이야기 기획하기
3. 자료수집과 이야기모양 만들기
4. 캐릭터 만들기
5. 스토리 짜기
6. 이야기 확장하기
제3장 역사 + 스토리텔링
1. 영상 포지셔닝 : 공감대 형성 전략
2. 가능성의 역사 형상화하기 : 확보 방법
3. 정통사극과 픽션사극의 역할 정하기 : 정체성 정립의 필요성
4. 역사사실의 재구성, 역사다큐멘터리 : 진정성 전달 방법
제4장 역사, 역사문화콘텐츠를 입다
1. 고대 왕권강화의 비밀, <이차돈 순교는 정치 쇼였나>
2. 고구려 멸망의 속사정 <평양성>
3. 공민왕이 개혁에 실패한 또 다른 이유, <쌍화점>
4. 조선건국의 또 다른 주인공, <정도전>
5. 위대한 '사람' 이순신, <명량>
6. 정치는 무엇을, 누구를 향해야 하나, <광해 왕이 된 남자>
7. 나를 위안부라 하지 마라, <시대의 초상, 위안부라 하지 마라>
8. 한국전쟁, 끝나지 않은 열전, <웰컴 투 동막골>
책을 마치며
덧붙이는 글│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의 필요성과 운영방향
참고자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