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1 허셀 요크 박사(미국 남침례신학교 설교학 교수) _5
추천사 2 정성구 박사(전 총신대학교 총장 및 명예교수) _6
추천사 3 류응렬 박사(현 와싱톤중앙장로교회 담임목사) 외 8인 _8
약어표 _13
감사의 글 _16
프롤로그 _26
제1부 청중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을 위한 해석학적 기초:
왜,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이 필요한가? / 35
제1장 설교 적용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적용 해석학의 필요성_3 9
1. 설교 적용에 대한 정의(definition)를 통해 본 적용 해석학의 필요성 _39
2. 현대 해석학의 흐름을 통해 본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 _41
3. 성경 해석학의 흐름을 통해 본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 _45
4. 강해 설교의 흐름을 통해 본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 _48
5. 적용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 _50
6. 해석학과 적용 사이의 역동적 관계 지평 재정립을 위한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 _61
7. 허쉬의 이분법 논쟁을 넘어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발전하기 위한 적용 해석학 필요성 _65
제2장 기존의 다리놓기 모델에 대한 발전적 평가 _ 68
1. 존 스토트의 두 다리놓기 모델을 넘어 _68
2. 두 지평 융합을 넘어 세 지평 변혁을 향하여 _70
3. 재상황화, 재적용을 위한 다리놓기 패러다임의 필연성 _71
4. 다리놓기에 대한 해석학적 반대 입장 비판과 개혁주의 입장 _73
제3장 청중의 삶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으로서의 네 다리놓기를 향하여 _79
1. 네 지평, 네 다리놓기 모델을 청사진으로 삼으라 _79
2. 적용 지향적 주해 다리놓기(application-aimed exegetical bridge) _80
3. 적용 지향적 신학 지평 다리놓기(application-aimed theological bridge) _81
4. 적용 지향적 적실성 과정 다리놓기(application-aimed homiletical bridge) _82
5. 적용 지향적 변혁 과정 다리놓기(application-aimed transformational bridge) _83
6. 끊어진 다리들에 의한 탈선적 적용 형태들(deviations by broken bridges) _85
7. 결어: 적용 지향적 설교 패러다임을 위한 적용 해석학을 향하여 _86
제2부 청중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을 위한 성경적 모델 / 88
제1장 구약의 모델 _89
1. 에스라의 적용 지향적 강해 설교 _90
2. 모세의 적용 지향적 설교 패러다임 _91
3. 소선지서에 나타난 적용 지향적 설교 패러다임 _93
제2장 바울의 설교에 나타난 적용 패러다임 _100
1. 바울의 설교 분석을 통한 적용 패러다임 연구의 필요성 _100
2. 바울의 설교 분석을 통한 적용 패러다임 고찰 _104
3. 바울의 설교 분석을 통해 본 적용 패러다임 주요 특징들 _121
4. 결어: 대안적 적용 모델로서의 바울의 설교 패러다임 _142
제3부 청중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을 위한 역사적 모델 / 147
제1장 존 크리소스톰의 설교 적용 패러다임 _148
1. 청중의 삶의 변혁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추구하는 적용 _150
2. 건실한 주해와 신학적/보편적인 원리에 뿌리박은 윤리적 적용 _152
3. 부와 가난에 대한 적용을 강조함 _156
4. 교회적 공동체로서의 가정과 양육에 대한 적용을 강조함 _157
5. 청중 분석과 다양한 적실성 범주 _160
6. 결어: 한국의 크리소스톰을 기대하며 _164
제2장 존 칼빈의 목회적 설교에 나타난 적용 패러다임_ 168
1. 칼빈의 적용이 정초하고 있는 해석학적 토대: 이중 음성에 근거한 칼빈의 적용 해석학 _171
2. 칼빈의 적용에 초점을 둔 목회적 설교 _172
3. 칼빈의 삼중적 적용의 목적 _174
4. 네 다리놓기 적용 패러다임을 통해 본 칼빈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 _176
5. 결어: 칼빈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이 개혁주의 설교의 모델이 되어야 _193
제3장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 분석을 통한 적용 패러다임 1_98
1. 에드워즈의 설교와 적용에 대한 재조명 _200
2. 에드워즈의 적용 해석학의 주요 특징들 _205
3. 에드워즈의 다리놓기 적용 패러다임 특징 _208
4. 결어: 에드워즈의 적용을 통해 본 한국교회 설교의 적용 회복을 위한 제언 _219
제4장 존 브로더스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 _224
1. 브로더스의 본문이 이끄는 설교 철학 _226
2. 브로더스의 본문이 이끄는 설교에 대한 발전적 평가(현대 강해 설교학자들의 관점에서) _242
3. 결어: 브로더스의 설교 적용 연구를 통한 제언 _248
제4부 포브릿지 프리칭 패러다임 / 249
제1장 주해적 다리놓기 과정 253
1. 적용적 주해를 통해 저자 의도적 의미 파악 _253
2. 저자가 의도했던 원 청중을 향한 원 적용 찾기 및 직접/간접적 적용 구별하기 _264
3. 원 적용에 기초한 저자 의도적 빅아이디어와 주해 아웃라인 _268
제2장 원리화 과정을 통한 트랜스퍼링 방법론 _273
1. 원리화 다리놓기의 정의와 본질 _275
2. 원리화 과정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넘어 _283
3. 원리화 과정을 위한 트랜스퍼링의 기준 _287
4. 7가지 교리에 기초한 원리화 다리를 통해 트랜스퍼링 _293
5. 원리화 과정을 통한 트랜스퍼링 5단계 방법론을 향하여 _298
6. 결어: 설교자여, 원리화 다리놓기를 위한 트랜스퍼링 패러다임을 구축하라! _313
제3장 적실성 다리놓기 _316
1. 다양한 적실성 범주 모델들 _317
2. 성경적, 역사적, 현대적 모델에 기초한 7가지 적실성 범주 _321
3. 7가지 적용 영역과 연결된 적용적 예화 _348
4. 적실성 다리놓기를 위한 청중 주해 _353
5. 적용을 지향하는 설교적 아웃라인과 서론 및 결론 _382
제4장 변혁적 다리놓기 _400
1. 변혁적 설교를 위한 성령의 역할, 그 설교신학적 근거 _404
2. 변혁적 설교를 위한 성령의 다차원적 역할 _410
3. 적혁적 설교의 전달 과정에서 성령의 역할 _423
4. 설교 전달 후 성령의 역할: 성령을 따라 행함으로 성령의 열매를 맺게 하심 _430
5. 결어: 성령이 이끄는 변혁적 다리놓기를 향하여 _433
에필로그 _436
부록 1 포브릿지 프리칭 10단계 프로세스 _444
부록 2 포브릿지 프리칭 10단계 프로세스 예시(스가랴 4장) _446
참고문헌 _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