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에서 독립해 제3세계 국가로 출발, 독립 이후 미국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 군사쿠데타 후 독재정권을 거치며 인민들의 민주화운동, 민주화 이후에도 독재세력과 민주화세력의 정치적 대립 지속, 외환위기를 겪은 후 신자유주의 정책 도입, 이어지는 사회갈등과 빈부격차 등의 부작용 발생… 어떤 나라가 연상되는가? 먼저 한국이 떠오를 것이다. 그런데 정답은 한국 말고도 여럿이다. 바로 지구 반대편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 역사도, 민족도, 문화도 판이한 대륙의 나라들임에도 말이다. ‘세계의 실험실’이라 불리는 대륙답게 온갖 정치 역사 사회 모델이 역설과 반전이 교차하는 가운데 등장했고 또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조건에서 실행된 같은 ‘실험’들이, 어떤 결과는 우리에게 귀감으로 또 어떤 결과는 반면교사로 다가와 가치가 크리란 의미다.
그런데 브라질 삼바축구, 칠레산 수입와인, 페루의 잉카 유적, 쿠바의 카스트로 정도 떠올리는 게 고작 우리의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관심과 이해 수준이어도 되는 걸까? 단지 세계 최대의 원유 매장량이 있는 베네수엘라의 혼란이 당장 우리의 유가 역시 흔들고, 브라질 닭고기 수출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 치킨 값이 뛰는 걸 피할 수 없다고 해서가 아니다.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이 자신의 자서전에서 한번 알게 되면 결국은 “홀딱 빠지게 된다”고 했던 대륙. 『역설과 반전의 대륙』은, 마찬가지로 18년째 거기에 ‘홀딱 빠져’ 살고 있는 저자가 자신의 생생한 체험을 바탕으로 라틴아메리카의 오늘을 정치사회 중심의 10가지 테마에 담아 살피고 있다.
▶ 『역설과 반전의 대륙』 북트레일러
* 출판사의 사정에 따라 서비스가 변경 또는 중지될 수 있습니다.
* window7의 경우 사운드 연결이 없을시, 동영상 재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어폰, 스피커 등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하시고 재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