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부 고대
001 위만의 쿠데타(BC 194년) ― 최초의 쿠데타: 신화의 시대는 끝나고
002 고구려 불교 승인(372년) ― ‘불국토’로 가는 길
003 고구려의 중원 정벌(395년) ― 대륙을 달리다
004 평양 천도(427년) ― 한반도와 만주 동시 경영의 계기
ㆍ한국사 깊이 읽기_수도를 바꾼다, 시대를 바꾼다-천도
005 웅진 천도(475년) ― 백제의 멸망을 막은 결단
006 진흥왕의 성왕 배신과 한강 유역 진출(553년) ― 진흥왕이 북한산에서 본 것은…
007 선덕여왕 즉위(632년) ― 모란꽃 그림에는 피의 향기가…
008 연개소문의 쿠데타(642년) ― 고구려의 혼을 살린다?
009 나당동맹(648년) ― 한반도의 운명을 가른 역사적 결정
010 소정방의 신라군사 처벌에 반발한 김유신(660년) ― 나당전쟁의 실마리
011 원효의 당 유학 포기(661년) ― 해골 물에서 얻은 것은
012 남건의 남생에 대한 반란(666년) ― 고구려의 멸망을 불러온 형제 간 싸움
013 경덕왕의 중국화 정책(757년) ― 동방예의지국으로의 첫걸음
014 장보고 암살(846년) ― 스러진 해상왕의 꿈
제 2부 고려시대
015 왕건의 궁예 축출과 고려 건국(918년) ― 준비된 쿠데타: 승자가 쓴 역사
016 왕건의 대신라 햇볕정책(918년) ― 평화적 통일을 위한 결단
017 신검의 쿠데타(935년) ― 후백제의 멸망을 부른 아들의 반역
018 노비안검법 실시(956년) ― 최초의 민권 개혁?
019 과거제 도입(958년) ― 900년간 이어온 ‘인재 등용의 혁명’
020 시무28조 채택(982년) ― 유교국가로의 길
021 서희의 강동 6주 획득(993년) ― 한국사 최고의 협상
022 서경 천도 무산과 묘청의 난(1135년) ― 서경에 심은 황제의 꿈
023 무신의 난(1170년) ― 피가 피를 부르는 폭압의 시대
024 고려 고종의 강화도 천도(1232년) ― 국난 극복을 위해? 정권 연장을 위해!
025 팔만대장경 조판(1237년) ― 한국사의 불가사의
026 원종의 쿠빌라이칸 접견(1260년) ― 강화도에서 나와 팍스 몽골리카로
027 삼별초항쟁(1270년) ― 최초의 민중운동?
028 일연의 삼국유사(1285년경) ― 또 하나의 역사
029 안향의 성리학 수입(1288년) ― 거대한 뿌리 심겨지다
030 이제현의 입성책동 반대운동(1323년) ― 홀로 나라를 지키다
031 공민왕의 반원정책(1352년) ― 익숙한 것에서의 결별
032 문익점의 목화 수입(1363년) ― 널리 세상을 따뜻하게 하다
033 공민왕 시해(1374년) ― 고려 부흥의 꿈은 저물고
034 정도전과 이성계의 만남(1383년) ― 개인과 개인의 만남? 문과 무의 동맹!
035 위화도 회군(1388년) ― 이미 주사위는 던져졌다
ㆍ한국사 깊이 읽기_한국사의 정치폭력
036 개혁세력의 토지개혁 추진(1390년) ― 회귀형 개혁
제 3부 조선시대
037 한양 천도(1394년) ― 한강으로 물갈이 가자
038 이방원의 1차 왕자의 난(1398년) ― 이방원 vs 정도전
039 조선왕조실록 편찬 결정(1409년) ― 실록 편찬 결정을 둘러싼 갈등
040 양녕 아닌 세종에 왕위 계승(1418년) ― 조선은 어떤 국가여야 하는가?
041 대마도 정벌(1419년) ― 왜구의 본거지를 쳐라
042 세종의 공법 개혁 및 후퇴(1430년) ― 국민투표로도 부족했던 개혁 기반
043 4군 6진 개척(1433년) ― 한반도 강역의 완성
044 세종의 갑인자 주조(1434년) ― 위대한 금속활자, 그러나…
045 세종의 숙신옹주 친영 결정(1435년) ― ‘시집살이’의 기원
046 한글 창제(1443년) ― 글 또한 만 백성이 공유할 권리가 있다
ㆍ한국사 깊이 읽기_창조와 발명
047 계유정난(1453년) ― 수양대군 vs 김종서
048 조광조의 소격서 혁파(1518년) ― 무엇이 미신인가?
049 조광조 일파 제거(1519년) ― 젊은이들의 좌절
050 이순신, 전라좌수사로 임명되다(1591년) ― 임진왜란을 막아낸 인사행정
051 신립의 탄금대 선택(1592년) ― 피할 수 있었던 패배
052 고경명의 금산 선택(1592년) ― 한양으로? 고향으로?
053 여진족의 원군 제의를 조선정부가 거절(1592년) ― 병자호란의 불씨를 남기다
054 동의보감 편찬 결정(1596년) ― 독자적 의학체계를 구축하다
055 쇄환사 파견(1607년) ― 다시 내민 화해의 손
056 광해군의 대동법 실시(1608년) ― 200년이 걸린 개혁
057 이수광의 서양문물 소개(1614년) ― 매우 귀중한 ‘주워들은 이야기’
058 광해군, 후금에 국서 전달하다(1622년) ― 고독한 결단은 배신을 부르고
059 인조반정(1623년) ― 조선은 오랑캐 나라가 아니다?
ㆍ한국사 깊이 읽기_명분이냐? 실리냐?
060 안용복의 독도 수호(1696년) ― 홀로 국토를 지키다
061 이승훈의 천주교회 창설(1784년) ― 취사선택의 실패
062 신해통공(1791년) ― 왕의 필요와 백성의 필요
063 정조, 사망 직전 김조순에게 앞날을 부탁하다(1800년) ― 세도정치의 문을 열다
064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제작(1861년) ― 한평생 걸려 정리한 한반도의 모든 것
제 4부 근ㆍ현대
065 경복궁 중건(1865년) ― 경복궁에 비친 낙조
066 대원군의 쇄국정책(1866년) ― 과거에 매달렸던 실용주의
067 강화도조약(1876년) ― 역시 믿을 수 없는 회담
068 갑신정변(1884년) ― 개혁의 쿠데타: 가장 짧은 쿠데타
069 동학농민운동(1894년) ― 자주를 외친 대중의 첫 목소리
070 신분제 철폐(1894년) ― 수천 년 동안의 사슬
ㆍ한국사 깊이 읽기_세상의 절반, 여성에 관한 한국사의 결정들
071 한글의 공식문자화(1894년) ― 450년 만의 햇볕
072 명성황후 시해(1895년) ― 누가 이 여인을 죽였는가?
073 독립협회와 독립신문(1896년) ― 개화와 친일 사이
074 메가타의 화폐 정리 사업(1904년) ― 103년 전의 IMF
075 이토 히로부미 암살(1909년) ― 하얼빈의 총성
076 33인의 독립 선언(1919년) ― 3.1 운동의 불씨를 만든 명망가들의 선언
077 임정 수립(1919년) ― ‘임시’로 만든 ‘조국’
078 한반도 분할 점령(1945년) ― 전쟁의 불씨
079 반탁운동 결정(1945년) ― 엘리트의 기만
080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1948년) ― 찢겨진 산하
081 농지 개혁(1949년) ― 미흡한 새 세상
082 김구 암살(1949년) ― 거인의 죽음
083 반민특위 습격(1949년) ― 원죄의 씨를 뿌리다
084 한국전쟁(1950년) ― 한반도 냉전 심화의 결정적 계기
085 북한군의 3일 서울 지체(1950년) ― 전장의 안개에 싸여?
086 유엔의 한국전 개입 결정(1950년) ― 소련 안보리 불참의 의문
087 맥아더 해임(1951년) ― 맥아더, 누구를 위하여 전쟁하려 했나?
088 한미동맹(1953년) ― 이승만의 벼랑 끝 전술
089 4.19 교수 데모(1960년) ― 민중 승리의 결정적 계기가 되다
090 5.16(1961년) ― 후퇴란 없다?
091 베트남 파병(1964년) ― 동맹의 덫, 혹은 복음
092 한일회담(1965년) ― 한일관계, 숙제는 이어지고
093 경부고속도로 착공(1968년) ― 압축적 경제 발전을 가능하게 한 결정
094 한글 전용(1968년) ― 한글 vs 한자
095 10월 유신(1972년) ― 가지 않았어야 할 길
096 박정희 암살(1979년) ― 장기 독재시대, 20년 만에 막을 내리다
097 12.12(1979년) ― 악(惡)의 반복
098 광주민주화운동(1980년) ― 민주화운동의 위대한 기념비
099 올림픽 유치 성공(1981년) ― 벽을 넘어 한국을 세계에 알리다
100 이병철 반도체 생산 결정(1982년) ― 반도체 강국으로의 도약
101 6.10 수용한 6.29(1987년) ― 한국의 민주주의가 뿌리내리게 된 절반의 승리
102 후보 단일화 실패(1987년) ― 복마전을 열다
103 카터 방북(1994년) ― 현대 한국사 최고의 결정
104 IMF 구제금융 신청(1997년) ― 세계화의 덫
105 남북정상회담(2000년) ― 적대적 남북관계, 화해와 협력관계로 전환되다
ㆍ한국사 깊이 읽기_만남의 순간들
106 노무현 탄핵(2004년) ― 쿠데타인가? 정의 실현인가?
107 수도 이전 무산(2004년) ― 관습 헌법의 벽
108 부계성 강제조항 폐지(2005년) ― 동방예의지국은 없다
ㆍ한국사 깊이 읽기_가장 많은 한국사 중요 결정을 내린 사람은?
부록 한국사 40대 주요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