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나를 빌려 드립니다

나를 빌려 드립니다

  • 앨리 러셀 혹실드
  • |
  • 이매진
  • |
  • 2013-09-10 출간
  • |
  • 432페이지
  • |
  • 152 X 223 X 30 mm /576g
  • |
  • ISBN 979115531018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날마다 나는 나를 아웃소싱한다!
엄마, 아빠, 할머니, 친구, 애인을 사고 가족, 사랑, 우정, 슬픔을 판다
사생활의 시장화와 서비스의 상품화가 빼앗아간 공동체의 삶
‘그냥 베푼다’라는 선물의 정신이 사라진 아웃소싱 자본주의의 시대
오늘도 돈을 주고 시장에서 나를 빌린다!


빌려야 산다 ― 아웃소싱 자본주의와 사생활의 시장화
K씨는 매일 아침 배달되는 녹즙을 마시며 하루를 시작한다. 배달 반찬으로 아침을 먹은 뒤에는 막내 아이와 집안일을 돌볼 조선족 도우미를 맞는다. 초등학생 첫째는 체험활동 진행자와 유적지 답사를 가 추억을 쌓고, 결혼을 앞둔 조카는 웨딩 플래너와 함께 하객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는 등 결혼 준비가 한창이다. 회사에 출근해 펀드 매니저한테 온 자산 운용 보고서를 읽던 K씨는 뒤늦게 오늘이 고등학교 은사의 생신이라는 걸 알고 선물 배달 사이트에서 선물과 카드를 고른다. 밤이 늦어서야 퇴근해 중매 업체를 통해 결혼한 남편을 만나 집으로 돌아오고, 주말에는 나이 든 어머니가 지내는 노인 요양원에 간다. 곧 다가올 명절에 쓸 음식은 케이터러에게 의뢰하고, 벌초는 대행 업체에 맡긴다. 지인의 장례식에서 유급 문상객을 봤다는 남편의 말에 어떻게 그런 일까지 사람을 고용할 수 있는지 혀를 찬 K씨는 빠듯한 생활비 때문에 야근과 특근을 더 많이 해야겠다고 생각하며 고단한 하루를 마무리한다. 가족과 친구, 이웃보다 시장을 믿으며 사생활을 아웃소싱하는 2013년, 한국인의 평범한 하루다.
‘감정노동’을 처음 명확한 개념으로 제시한 사회학자 앨리 러셀 혹실드(Arlie Russell Hochschild)는 [나를 빌려드립니다(THE OUTSOURCED SELF: Intimate Life in Market Times)]에서 러브 코치, 웨딩 플래너, 결혼 생활 상담 치료사, 대리모, 파티 플래너, 가족 관계 도우미, 유모, 하우스 매니저, 노인 돌보미, 유급 친구와 문상객 등 사생활 서비스의 판매자와 구매자를 직접 만난다. 최첨단 기술과 빈곤층 여성을 이용해 아이를 주문 생산하고 유통하는 ‘구글 베이비’부터 고객이 지금 정말로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정해주는 ‘원톨로지스트’까지 사생활 서비스 시장을 움직이는 주인공들의 입을 통해 아웃소싱 자본주의의 속살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개인의 감정이나 사생활의 외주화와 시장화로 특징지어지는 ‘아웃소싱 자본주의’는 사생활을 시장 영역으로, 인간관계를 상품 관계로, 교감과 인내 등 감정과 공동체의 베풂을 상품으로 바꾸며, 공동체 구성원이 자기 자신과 관계를 돌아볼 수 있는 역량을 과소평가하게 만들어 공동체를 파괴한다. 여성, 이주민, 빈곤층 등 소수자를 중요한 공급자로 하는 아웃소싱 자본주의에서 사생활 서비스는 탄생부터 죽음까지 인생의 각 단계에 맞춰 다르게 작동하며, 침실, 아침 식탁, 애정 생활 등 은밀한 사적 영역을 무대로 ‘공동체적인 것’에 맞서 치열한 전투를 벌인다. 또한 혹실드는 아흔이 넘은 엘리자베스 고모가 낯선 사생활 서비스를 받아들이는 실제 사례를 통해 일하는 여성의 등장과 이혼율 증가, 만연한 고용 불안과 허술한 사회복지 체계 때문에 무너진 공동체의 영역을 사생활 시장 서비스로 무마하는 미국 사회의 복잡한 현실을 세밀하게 묘사한다.

임신에서 무덤까지 아웃소싱 ― 편재하는 감정노동 시장과 불평등한 사생활
"집에 낯선 사람을 들인다고? 필요 없다. 돈을 왜 줘." 1924년생 엘리자베스 고모는 이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처지가 됐지만 자신을 도와줄 사람을 돈을 주고 고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다. 지속적인 관계를 전제한 공동체의 ‘그냥 베푼다’라는 선물의 정신이 더 익숙하기 때문이다. 반면 혹실드가 만난 아웃소싱 서비스 판매자와 구매자는 시장에 의지하는 방식에 더 익숙하다. 사생활을 시장의 영역으로, 베풂을 상품으로 만드는 아웃소싱 자본주의는 실제로 어떤 모습일까.
아웃소싱 자본주의는 공동체가 함께 의논해서 해결하던 문제를 전문가에게 맡기라고 권한다. 러브 코치, 웨딩 플래너, 결혼 생활 상담 치료사, 장례식 도우미 등이 그렇다. 비전문가인 가족과 친구의 노력은 ‘풋내기 보살핌’이나 ‘야생 데이트’로 폄하되며, 시장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사회의 이상적 표준으로 규정된다. 파티 플래너에게 맡기던 아이의 생일 파티를 직접 진행한 아버지는 "전문가들에게 맡겨요. 우리 같은 부모들은 잘 모르잖아요"라는 조언을 듣고, 수도원 모형 만들기 숙제는 "대형 완구점에서 산 수도원 모형"이면 충분하다. 경험과 추억마저 시장의 기준에 맞추기 위해 아웃소싱된다.
시장의 평가 기준, 곧 기업이 노동자를 평가하는 척도와 방식이 이제 사생활 영역에 그대로 적용된다. 데이트 상대를 찾으려고 인터넷 사이트인 ‘이하모니’나 ‘매치닷컴’을 이용하려면 자기 자신을 등급 매겨야 하고, 2000달러를 내면 가족 구성원으로서 제구실을 다하는지 ‘패밀리 360’을 통해 수치화할 수 있으며, 연간 150억 달러를 버는 상조 업체를 통해 애도를 드러내는 정도와 방식까지 주머니 사정을 고려해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임대 친구는 상황에 따라 50달러, 75달러, 100달러만큼만 친구 노릇을 하고, 난자는 SAT 점수 100점당 2000달러씩 더 비싸게 팔린다.
또한 경제적 불평등은 사생활의 불평등으로 이어진다. 필리핀에서 온 유모는 구매자의 아이를 보살피느라 자신의 아이를 안아줄 수 없고, 하우스 매니저는 고된 노동 때문에 정작 자기 집을 청소할 수 없다. 미국의 대리모는 8만 달러에, 인도의 대리모는 1만 달러에 자궁을 임대해 다른 사람들의 아이를 낳는다. "그 사람의 아름다운 집을 보살피는 동안 제 인생은 산산이 조각나고 있었습니다"라는 고백에서 알 수 있듯이 경제적 능력이 있는 사람이 사생활을 아웃소싱하는 동안 그럴 능력이 없는 가난한 사람들의 사생활은 아예 사라지고 만다. 서비스 노동자가 대개 여성, 이주민, 빈곤층 등 사회의 소수자라는 사실은 아웃소싱 자본주의가 사회의 불평등을 더 깊게 만드는 현실을 드러낸다.
아웃소싱 자본주의는 아주 복잡한 양상을 띤다. "저는 도움이 필요할 때 가족에게 부탁할 처지가 아니었습니다. 저랑 처지가 비슷한 사람들을 많이 알고 있습니다." 공동체가 파괴된 현실에서 일회적이고 계약적인 아웃소싱 서비스는 때때로 가장 친절한 대안이 되기 때문이다. "저도 그렇지만 집수리, 세탁, 요리, 육아를 아웃소싱하고 직장에 나갔다가 퇴근해서 남편이랑 예쁜 정원에 나가 오붓이 앉아 칵테일 한 잔 마시는 이웃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아웃소싱하면 할수록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일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마주하기도 한다. 직접 개를 산책시킬 여유가 있는데도 왜 누군가를 고용할까? 직접 고르지 못할 선물을 왜 할까? 직접 사진을 고르고 분류할 수 없는데 가족 앨범을 간직하는 이유는 뭘까? 공동체가 무너지고 시장이 인생에서 가장 의지할 수 있는 구세주가 된 현실에서 우리는 이런 의문을 끌어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다.

공동체의 대안은 시장? ― 공동체적인 것을 향한 인간적 필요와 현실의 가능성
‘1인 가구’ 비율이 넷 중 하나로 늘어나면서 한국에서도 소형 아파트, 간편 음식, 방범 서비스, 도우미 서비스 등 새로운 소비자층을 노린 ‘솔로 이코노미’가 인기다. 그러나 무연고 사망자가 매년 100여 명씩 늘어나는 현실과 소규모 가족일수록 행복 인식이 낮다는 연구 결과는 시장이 공동체를 대신할 수 없다는 불편한 사실을 보여준다. 혹실드는 "생일 파티용 풍선을 스스로" 불고 토요일에는 직접 개를 산책시키는 등 시장에 넘긴 사생활을 되찾고, "남에게 발각돼 난감한 상황이나 감정이 상하는 경우를 피하려고 은밀한 경로를 통해 시장을 사생활에 끌어"들이거나 "서비스 제공자하고 적극적으로 교감을 나누는 등" 사생활 서비스를 변형하고 재인간화하려는 사람들의 행동을 통해 아웃소싱 자본주의의 적나라한 현장인 미국에서 ‘공동체적인 것’을 향한 인간적 필요와 현실의 가능성을 포착해낸다. 최근 서울시가 자본주의 문제를 넘어선 대안 경제 운동인 협동조합을 지원하는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에서도 생활협동조합, 의료협동조합, 마을 공동체, 교육 공동체 등 시장에 포섭되지 않고 공동체에 의지하려는 흐름이 활발하다. 독거 노인 지킴이들은 반지하방에 갇힌 노인들을 마을 공동체로 끌어들이고, 취업 대란 속에 히키코모리가 된 20대와 과로 사회에 시들어가는 사람들도 더는 시장에서만 해결책을 찾으려 하지 않는다. 사생활 시장은 여전히 공동체와 사회복지 정책 등 공공 부문이 무너져도 시장에서 나를 빌리면 행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아웃소싱 자본주의의 현장을 탐사한 [나를 빌려드립니다]는 이 주장이 감춘 진짜 현실을 파헤쳐 우리에게 보여준다.

목차

감사의 말
머리말 - 마을 사람과 외주자

1장. 3초의 시간 ― 러브 코치의 사랑과 진실
사랑에도 조언자가 필요하다 | 전송 버튼 누르기 | 그다지 운이 좋지 않은 사람들| 끝없이 뻗어 나가는 러브 산업 | 결혼의 조건

2장. 레몬나무의 전설 ― 웨딩 플래너의 완벽한 하루
해피스트 데이 | 전설의 약속 | 탈인격화, 재인격화 그리고 그냥 평범한 사람

3장. 검은 머리와 파뿌리 ― 결혼 생활 상담 치료사의 사랑과 전쟁
32년 결혼 생활의 북엔드 | 온라인 상담 치료 시대

4장. 우리의 아기, 그 여자의 자궁 ― 구글 베이비와 대리모 찾는 사람들
조용하고, 비쩍 마른 대리모 | 모든 게 상품이 된 시대

5장. 내 자궁, 그 사람들의 아기 ― 임대 자궁과 대리모 이야기
“두 번이면 충분합니다” ― 대리모 안잘리 이야기 | “내 아이를 건네준 건지, 낳기도 전에 돈 주고 판 건지……”

6장 아이 키우는 데 서비스 몰 하나가 통째로 필요하다 ― 서비스 몰의 빛과 그림자
자동차 튜닝과 아이 기르기의 공통점 | 부족한 것을 다른 곳에서 보충하기

7장. 다섯 살짜리 아이 웃기기가 생각보다 어려워요 ― 파티 플래너의 영업 비밀
“전문가들에게 맡겨요” | 안에서는 가족을 걱정하고, 밖에서는 기업을 파괴하고

8장. 7점 만점에 7점 ― 가족 추억 만들기와 점수 매기기
패밀리 360의 모범 가정 | 추억은 만들 수 있다

9장. 러브 인 아시아 ― 필리핀 유모와 가족의 가치 수입하기
“사람들은 제가 아기들을 좋아한다고 생각합니다” | 글로벌 바다에 이는 파문들

10장. 보이지 않는 사랑 ― 자기 자신에게도 보이지 않는 하우스 매니저
브라운 가족 | 서비스라는 장막의 뒤편 |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 보는 것

11장. 아버님 댁에 말동무 놔드려야겠어요 ― 노인 돌보미와 감정의 아웃소싱
도저히 믿을 수 없는 | 특별한 부류의 친구

12장. 뭐든 돈 주고 사는 게 낫다 ― 친구여 시장에서 만날까
치료사만큼 좋은 친구? | 시장 관계와 우정 | 시장은 구세주?

13장. 우리 엄마라면 그렇게 해드렸을 겁니다 ― 노인 요양보호사의 지금을 살아가는 법
그런 일에 실망하면 전문가가 아니다 | 지금 속에서 산다는 것

14장. 묘비명에 새겨진 시장 ― 장례사와 사생활의 마지막 순간
물속으로 | 애도의 아웃소싱, 감정의 시장화

맺음말 -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야 ― 아웃소싱 자본주의와 원톨로지스트


참고 자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감사의 말
머리말 - 마을 사람과 외주자

저자소개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사회학과 명예 교수다. 평생 여성 노동과 사회 문제를 연구했고, 이 책 《가족은 잘 지내나요?》를 포함해 모두 8권의 저서를 냈다. 이 중 세 권, 《감정노동(The Managed Heart)》(1983), 《돈 잘 버는 여자 밥 잘 하는 남자(The Second Shift)》(1989), 《시간의 구속(The Time Bind)》(1997)은 《뉴욕 타임스》가 뽑은 올해의 책에 선정됐다. 《감정노동》으로 미국사회학회가 주는 찰스 쿨리상을 받았고, 《돈 잘 버는 여자 밥 잘 하는 남자》와 《시간의 구속》으로 제시 버나드상을 받았다. 또한 평생 사회학의 대중화에 앞장선 공로로 사회학 대중화 공로상을 받았다. 이밖에도 《뜻밖의 공동체(The Unexpected Community)》(1973)와 《사적인 삶의 상품화(The Commercialization)》(2003), 공동 편집한 《글로벌 우먼(Global Woman)》(2003) 등의 저서가 있다. ‘감정사회학(Sociology of Emotion)’의 창시자라는 칭호를 안겨준 《감정노동》은 인간, 특히 여성의 감정이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에 따라 규정되고 상품화되고 이용되는 과정을 밝힌 책으로, 1983년 출간 이후 지금까지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구겐하임, 풀브라이트, 멜론 펠로우십을 받았고, 학부 생활을 한 미국의 스와스모어 칼리지, 덴마크의 올보르 대학교, 노르웨이의 오슬로 대학교, 핀란드의 라플란드 대학교에서 각각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서소개

구글 베이비에서 원톨로지스트까지, 사생활을 사고파는 아웃소싱 자본주의

아웃소싱 자본주의와 사생활의 시장화 『나를 빌려 드립니다.』. 이 책은 사회학자 앨리 러셀 혹실드가 사생활 서비스의 판매자와 구매자를 직접 만나 사생활 서비스 시장을 움직이는 아웃소싱 자본주의의 실체를 밝히고 있다. 아웃소싱 자본주의는 공동체를 파괴하고 사생활 서비스부터 죽음까지 또는 사적 영역까지 들어와 ‘공동체적인것’에 맞서 전투를 벌인다. 이러한 무너진 공동체 영역을 사생활 시장 서비스로 무마시키는 미국 사회의 현실을 세밀히 분석한다.

아웃소싱 자본주의는 공동체가 함께 의논하여 해결하는 문제를 러브 코치, 웨딩 플래너, 결혼 생활 상담 치료사, 장례식 도우미 등의 전문가를 등장시켜 해결 하라고 권한다. 또한 경제적 불평등은 사생활 불평등으로까지 이어져 경제적 능력이 있는 사람은 사생활을 아웃소싱하고 능력이 없는 사람은 사생활이 사라진다. 서비스 노동자가 대부분 이주민, 빈곤층, 여성 등 사회 소수자라는 사회 불평등을 더 깊게 만들어 내는 현실을 통해 사생활 시장이 말한는 나를 빌리면 행복할 것이란 주장 속 진짜 현실을 보여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