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산사로 가는 길

산사로 가는 길

  • 박재완
  • |
  • 연암서가
  • |
  • 2016-05-15 출간
  • |
  • 302페이지
  • |
  • 152 X 225 X 30 mm /507g
  • |
  • ISBN 9788994054896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시계 위로 떠오르는 태양을 햇살이라고 부르고 싶을 때, 지구의 자전 너머로 사라지는 태양을 노을이라고 부르고 싶을 때, 멀고 먼 우주의 돌덩어리를 밤하늘의 별이라고 부르고 싶을 때, 창밖에 내리는 빗방울이 가슴으로 떨어질 때, 바다의 끝을 수평선이라고 부르고 싶을 때, 우리는 그것들을 풍경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풍경이 글을 쓰게 하는 것이다.
산사에서 아침을 맞을 때 산새 한 마리가 우주를 깨우고 있었고, 거대한 우주는 나비 한 마리에 온 힘을 쏟고 있었다. 소리 없이 내리는 눈송이가 거대한 문명의 모든 결행을 멈추게 했고, 빛의 속도로 흐르던 시간은 눈부신 설경의 시간을 기다려 주었다. 그리고 그 풍경 속에는 우리가 있었다. 때론 뒤늦은 생각과 빗나간 마음을 안고, 기어이 겨울을 따라나선 갈대 앞에 서 있었다. 그렇게 나의 글은 풍경에서 왔다. -책머리에 중에서

자기 내면의 흐름을 용서하지 않고 낱낱이 따지는 시선은 가장 박재완적인 시선이다. 자기 엄격성은 작가에게, 특히나 수필작가에겐 필수적인 덕목이다. 그는 이 산행의 경험을 역경을 뚫고 어떤 목표물을 쟁취한 승리의 기록보다는 자기의 비굴을 어쩔 수 없이 목격하고만 자기 격하의 경험으로 받아들이려고 한다. 이 작가에게 이런 오기는 왜 생기는 걸까? 극한의 상황에서 나의 허약함을 발견했다면―어디 이게 나만이 갖는 허약함이겠는가. 인간이란 종이 갖는 허약함일 것이다―어떤 경우에도 인간에 대한 재발견이고 그렇다면 진전된 시선 아닌가. 그날 솟아오르는 태양을 보며 감격해서 셔터를 눌렀던 것은 그날의 태양 자체가 특별나서가 아니라 나에게 그 태양이 특별난 의미를 가졌기 때문이다. 이 감격은 무너지는 자신을 몸으로 견뎌냈다는, 그리하여 견딘 자만이 누릴 수 있는 감격 아닌가. 그런데 박재완은 이 영광을 거부한다. 끝끝내 아무런 일도 없었다고 시치미를 땐다. 그러면서 자기의 허위의식을 눈 똑바로 뜨고 낱낱이 체크한다. -김종완, 「해설: 산승(山僧)이 바랑을 메고 세상을 걷다」 중에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사찰 풍경 속 이야기
아침 | 삼월 | 기다림 | 나비처럼 | 나에게 | 기적을 꿈꾸며 | 너의 언어 |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서 | 아름다운 날 | 설경 | 사랑 | 고백 | 가을에는 | 인간과 가을 | 아침바다 | 입적(入寂) | 화택(火宅) | 기도 | 산사의 가을 | 너의 흔적 | 겨울숲 | 하늘과 구름 | 오늘도 | 운주사 석불 |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 돌담 위의 낙엽 | 수수께끼 | 나무도 운다 | 석탑 | 약속 | 너와 나 | 우리가 알고 있다는 것 | 청운사 연밭 | 운명 | 편지 | 길과 나 | 봄에 | 새처럼 | 가을굿 | 달 | 길이 있어야 하는 이유 | 법당 | 세상 | 낙수 | 갈대 앞에서

제2부 산사로 가는 길
산사(山寺)로 가는 길 | 일신수필(馹迅隨筆) | 어머니의 관세음보살 | 아버지 | 중년(中年) | 적선(積善) | 텅 빈 운동장 | 꿈꾸다 죽은 늙은이 | 노란 리본 | 무명(無明) | 침몰

제3부 절로 향하는 마음
의성 고운사(孤雲寺) | 김제 망해사(望海寺) | 남해 용문사(龍門寺) | 삼척 신흥사(新興寺) | 논산 관촉사(灌燭寺) | 여주 신륵사(神勒寺) | 경주 분황사(芬皇寺) | 영천 운부암(雲浮庵) | 완주 화암사(花巖寺) | 공주 신원사(新元寺) | 연기 비암사(碑巖寺) | 김제 금산사(金山寺) | 포항 오어사(吾漁寺) | 남원 실상사(實相寺) | 서산 개심사(開心寺) | 영천 거조암(居祖庵) | 영암 도갑사(道岬寺) | 김제 흥복사(興福寺) | 울진 불영사(佛影寺) | 김천 청암사(靑巖寺) | 경주 기림사(祇林寺) | 공주 동학사(東鶴寺) | 해남 대흥사(大興寺) | 영월 법흥사(法興寺) | 순창 구암사(龜巖寺)

제4부 절 속의 문화 읽기
안동 영산암(靈山庵) | 사천 다솔사(多率寺) | 강진 무위사(無爲寺) | 군위 인각사(麟角寺) | 해남 일지암(一枝庵) | 고창 선운사(禪雲寺) | 화순 운주사(雲住寺) | 김해 은하사(銀河寺) | 예산 수덕사(修德寺) | 영주 부석사(浮石寺) | 봉화 청량사(淸凉寺) | 순천 선암사(仙巖寺) | 통영 용화사(龍華寺) | 곡성 태안사(泰安寺) | 순천 불일암(佛日庵) | 경주 불국사(佛國寺) | 인제 오세암(五歲庵) | 구례 연곡사(?谷寺)

해설 산승(山僧)이 바랑을 메고 세상을 걷다

저자소개

저자 박재완은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예술대학에서 사진을 전공했고 2014년까지 현대불교신문사에서 사진기자로 일했다. 비종교인이었던 작가는 신문사에서 일하면서 불교와 가까워졌다. 많은 시간 천년고찰의 산사를 오가며 그 불가적(佛家的) 풍경의 느낌들을 글로 옮기기 시작했다. 재직 중 「박재완 기자의 사찰풍경 1·2」와 「절 속의 문화 읽기」, 「불교 사진 이야기」, 「신 사찰 건축」, 「갤러리 색즉시공」 등을 연재했다. 「박재완 기자의 사찰 풍경 2」와 「절속의 문화읽기」로 2008년과 2010년에 한국불교기자협회가 수여하는 한국불교기자상(사진영상 보도부문)을 수상했다.
2012년 로 등단했고, 「텅 빈 운동장」으로 2015년 의 ‘올해의 작품상’을 수상했다.

도서소개

박재완 산문집 『산사로 가는 길』. 저자는 산행의 경험을 역경을 뚫고 어떤 목표물을 쟁취한 승리의 기록보다는 자기의 비굴을 어쩔 수 없이 목격하고만 자기 격하의 경험으로 받아들이려고 한다.

상세이미지

산사로 가는 길 도서 상세이미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