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의 전통색

한국의 전통색

  • 문은배
  • |
  • 안그라픽스
  • |
  • 2012-09-01 출간
  • |
  • 422페이지
  • |
  • 175 X 238 X 30 mm
  • |
  • ISBN 9788970596464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의 전통색
그 아름다운 발견


우리의 색은 아름답고 정교하며 조선시대에 이미 상당한 수준의 경지에 올라 있었다. 이 책은 우리 색의 기원이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또한 현대 기술을 이용해 여러 사물에서 추출한 139가지 한국 전통색으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우리 색에 접근한다. 한편 한국 전통색이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예절, 의복, 음식, 건축 등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우리 색의 생활사를 개괄한다. 전통이 한곳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듯이 한국 전통색은 시대와 사회에 맞게 지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잊고 살아 온 100여 년의 세월에 대한 연결고리
우리 색을 뿌리에서부터 탐구한다


1장 ‘한국 전통색의 이해’에서는 한국인의 색채의식과 한국 전통색의 역사를 언어적·역사적·생활사적으로 살핀다. 또한 송나라의 여행서인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을 시작으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동의보감(東醫寶鑑)』,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한양가(漢陽歌)』 등 고문헌 속에 있는 색채를 탐구한다.

2장 ‘한국 전통색의 체계’에서는 색채와 음양오행과의 관계, 정색과 간색, 한국 전통색의 색상과 농담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정색과 상극간색을 논하며 색채와 연관시킨 것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공예서인 『고공기(考工記)』에서 볼 수 있다. 이 책은 상생간색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이는 음양오행이 발전한 중국에서도 이루어지지 않은 시도이다. 2장 연구의 시작은 조선시대의 여성 실학자인 빙허각(憑虛閣) 이 씨의 『규합총서(閨閤叢書)』이다. 이 책은 여성이 여성을 위해 쓴 생활백과사전으로 유일하게 상생간색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이와 함께 염색법을 비롯해 누에치기, 길쌈, 수놓기, 옷 수선 등을 다룬다. 염색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오행의 원리와 정색과 간색의 생성 및 조합 원리를 설명하면서 각 색의 정의와 그에 따른 염색법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3장 ‘한국 전통색 해설’에서는 현대 기술을 이용해 추출한 139가지 우리 색을 언어와 역사, 생활의 눈으로 탐구한다. 특히 색 추출을 위해서 컬러체커를 이용한 사진 촬영, 색채 추출과 보정을 위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한 사진 추출과 보정 과정을 거쳤다. 한편 추출한 색의 먼셀(Munsell), CIELAB, CMYK, sRGB 값과 함께 전통색과 현대색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호와 함께 연관색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연구와 실무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 색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장 ‘생활 속의 색채’에서는 예절, 의복, 음식, 건축에서 우리 색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살핀다. 색으로 본 조상들의 생활사라 할 만한다.

추천사

“한국과 중국은 오랫동안 문화를 교류해 온 이웃이다. 한국 문화에 영향을 준 중국보다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오늘날 한국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에 감탄할 뿐이다. 이 책은 한국의 전통색 연구의 시작이 되었을 뿐 아니라 앞으로 한국과 중국이 색채학에서 서로에 유익한 담론을 진행할 수 있는 영향을 주었다.”
-리저우량(대련민족학원 인문사회과학 처장)

“색채와 음양오행을 결합한 연구의 결과물인 이 책은 문화적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 음양오행은 한자 문화권에서 예로부터 전해 오던 관념이다. 이 관념을 심화해 색채를 탐구한 이 책은 한문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색채 연구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불러일으켰다.”
-천원신(무한대학교 문학원 교수)

“누군가는 흰색을 한국인의 낙천성을 표현한 색으로 보았다. 다른 누군가는 민족의 애환이 담긴 비애의 색으로 보았다. 이처럼 같은 색이라도 추론에 따라 결론을 전혀 달라질 수 있다. 색채와 색명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지식과 깊은 통찰, 냉정한 추론이 필요하다. 이 책은 그런 분석을 통해 색명의 의미를 깊이 있게 통찰한다.”
-오미 겐타로(일본색채연구소 이사장)

“문은배 선생은 지독하리만큼 철저하다. 하나의 생명이 잉태되어 산고의 고통을 넘어 세상에 빛을 발하는 과정처럼 책이 나오는 것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천 년의 우리 색을 현대화하는 작업은 철저한 고증이 필요하므로 더욱 고단하다. 오래 전부터 지녀온 우리 색 연구를 책으로 쓰고 싶다는 바람을 실현한 문은배 선생의 ‘색이 있는 꿈’에 경외를 표한다.”
-박연선(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커뮤니케이션전공 교수)

“이 책은 외국인이 한국 문화를 연구하기 위한 좋은 자료이다. 외국과의 비교 연구에 활용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그러나 먼저 우리 한국인들에게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다. 한국의 전통문화가 곧 나 자신이기 때문이다. 자신을 발견하고 싶은 모든 한국인에게, 자신의 정체성이 깃든 작업을 원하는 모든 분이게 이 책을 필독서로 추천한다.”
-정유나(상명대학교 도서관장, 한국색채학회 부회장)

목차

1장 한국 전통색의 이해

1. 한국인의 색채의식
-색의 언어적 고찰
-전통색의 생성
-한국인의 색채관
-백의민족

2. 한국 전통색의 역사
-고대와 샤머니즘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3. 고문헌 속의 색채
-선화봉사고려도경
-조선왕조실록
-산가요록
-국조오례의
-악학궤범
-본초강목
-각의궤의예소
-동의보감
-천공개물
-개자원화전
-성호사설
-국혼정례
-탁지준절
-상방정례
-산림경제
-이수신편
-청장관전서
-한중록
-해동농서
-임원십육지
-만기요람
-규합총서
-궁중발기
-한양가
-오주연문장전산고

2장 한국 전통색의 체계

1. 음양오행사상과 색채관
-하도낙서
-음양
-오행·오상
-태극도설
-사상팔괘

2. 정색과 간색
-오방정색
-십간색
-오방정색과 십간색, 하도낙서
-생활 속의 오방정색
-오방정색과 소리
-오방정색과 태극기

3. 한국 전통색의 색상과 농담
-한국 전통색의 표준체계
-색상체계
-농담체계

3장 한국 전통색의 해설

1. 적색
-갈색
-강색
-노홍색
-다자색
-단색
-도홍색
-동색
-등색
-목홍색
-번색
-보라색
-비홍색
-석간주색
-성홍색
-연지색
-위색
-육색
-은색
-자색
-자주색
-장단색
-적색
-적자색
-적토색
-적황색
-전색
-정색
-주색
-주홍색
-진색
-천색
-추향색
-포도색
-혁색
-현훈색
-호색
-홍색
-확색
-훈색
-휴색

2. 황색
-괴색
-규색
-금색
-다할색
-돈색
-두록색
-등황색
-락색
-백황색
-상색
-송화색
-아황색
-아황색
-운색
-웅황색
-유황색
-자황색
-자황색
-장색
-지황색
-치자색
-침향색
-토색
-행황색
-호박색
-홍황색
-화색
-황상색
-황색

3. 청색
-감색
-군청색
-남색
-녹색
-뇌록색
-단청색
-대홍관록색
-번루색
-벽색
-복청색
-비색
-삼록색
-삼청색
-아청색
-애색
-앵가록색
-양록색
-옥색
-유록색
-유록색
-정색
-창색
-창록색
-천청색
-청색
-청록색
-청자색
-청현색
-초록색
-총색
-취람색
-류청색
-포도청색
-포두청색
-표색
-하엽색

4. 흑색
-검색
-날색
-담색
-담색
-로색
-맘색
-묵색
-미색
-오색
-유색
-이색
-이색
-조색
-참색
-추색
-치색
-칠색
-현색
-흑색

5. 백색
-교색
-구색
-백색
-분색
-설백색
-소색
-애색
-운백색
-유백색
-지백색
-파색
-학색
-호색
-호색
-회색

4장 생활 속의 색채

1. 예절과 색채
-국조오례
-반차도
-관혼상제
-벽사와 생활

2. 의복과 색채
-조선시대의 복색의 발전
-조선시대의 왕복과 관복
-조선시대 서민의 예복
-장신구 및 패물
-색동
-복색의 금제

3. 음식과 색채
-조선시대의 식생활
-음식과 색채 조화
-음양오행적 상차림

4. 건축과 색채
-조선시대 건축의 특징
-단청의 이해
-단청의 색채
-단청의 종류와 특성

저자소개

저자 문은배는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을 졸업했다. 1989년 제일기획에서 광고디자이너로 일했으며, 1995년 (재)한국색채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1997년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2000년부터 한국색채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색채디자인 교과서』 『색채의 이해와 활용』 등 20여 권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현재 문은배색채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며 색채 전문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와 홍익대학교 색채전공에서 후학을 가르치고 있다.

도서소개

우리 전통색의 근원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전통색』은 우리의 전통색을 뿌리에서부터 탐구한 책이다. 이 책은 우리 색의 기원이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현대 기술을 이용해 여러 사물에서 추출한 139가지 한국 전통색으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우리 색에 접근한다. 또한 한국 전통색이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예절, 의복, 음식, 건축 등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우리 색의 생활사를 개괄한다. 한국 전통색과 연관색을 한 눈에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며, 시대와 사회에 맞게 지속해서 발전하는 우리의 전통색을 발견하는 귀중한 기회를 선사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