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의 말 ┃11
서문 ┃17
1장 영화작품 분석의 정의(定義)를 위해 ┃23
1.1. 영화에 대한 다른 담론과 영화작품 분석 ┃25
1.1.1. 영화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담론 ┃25
1.1.2. 분석과 비평 ┃28
1.1.3. 분석과 이론, 분석과 작품의 독창성 ┃31
1.1.4. 분석과 해석 ┃33
1.2. 분석적 접근의 다양성: 몇몇 역사적 지표 ┃35
1.2.1. 한 감독이 자기 작품을 보다 잘 방어하기 위해 자기 작품을 탐색한다:
에이젠슈테인 ┃36
1.2.2. 문화 활동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 영화작품 분석: ‘영화기록 카드’ ┃43
1.2.2.1. 〈품행제로〉(장 비고, 1933), 장파트릭 르벨이 ‘영화기록한’ 것 ┃45
1.2.2.2. 〈여명〉(마르셀 카르네, 1939)에 대한 앙드레 바쟁의 시선 ┃48
1.2.3. 작가정책과 해석적 분석 ┃52
1.2.4. 정지화면 ┃56
1.3. 소결: 영화작품 분석의 정의를 위해 ┃58
2장 분석의 도구와 테크닉 ┃65
2.1. 영화작품과 메타영화: 영화 텍스트의 매개성 ┃67
2.1.1. 영화작품과 그 전사(轉寫) ┃67
2.1.2. 영화작품 분석의 도구 ┃70
2.2. 묘사의 도구 ┃71
2.2.1. 데쿠파주 ┃71
2.2.2. 분절 ┃82
2.2.3. 영화이미지의 묘사 ┃93
2.2.4. 도표, 그래픽, 도식 ┃96
2.3. 인용도구 ┃102
2.3.1. 영화클립 ┃102
2.3.2. 포토그램 ┃103
2.3.3. 또 다른 인용 방법 ┃109
2.4. 자료적 도구 ┃110
2.4.1. 영화 배급 이전의 자료 ┃110
2.4.2. 배급 이후의 자료 ┃112
3장 텍스트 분석: 논란이 되는 모델 ┃119
3.1. 텍스트 분석과 구조주의 ┃121
3.1.1. 몇몇 기본 개념 ┃122
3.1.2. 구조분석 ┃123
3.2. 텍스트로서의 영화작품 ┃127
3.2.1. 텍스트 개념의 부침(浮沈) ┃127
3.2.2. 영화작품의 텍스트 분석 ┃130
3.3. 명시적으로 약호적인 영화작품 분석 ┃132
3.3.1. 약호 개념의 실제적 파장 ┃132
3.3.2. 영화작품 분석, 약호 분석 ┃133
3.4. 종결된 분석, 종결될 수 없는 분석 ┃139
3.4.1. 남김없는 분석이라는 유토피아 ┃139
3.4.2. 영화 단편(斷片) 분석, 영화작품 분석 ┃140
3.4.3. 영화작품의 시작 부분 분석, 분석의 시작 ┃146
3.4.4. 분석대상의 크기, 분석의 크기 ┃150
3.5. 텍스트 분석에 대한 비판적 평가 ┃152
4장 이야기로서의 영화작품 분석 ┃159
4.1. 테마 분석, 내용 분석 ┃162
4.1.1. ‘테마’와 ‘내용’ ┃162
4.1.2. 테마 분석 ┃165
4.2. 이야기의 구조분석과 영화작품의 분석 ┃168
4.2.1. 프로프와 이야기 분석 ┃168
4.2.2. 이야기의 구조분석의 개선 ┃171
4.2.2.1. 바르트가 규정한 기능 ┃172
4.2.2.2. 바르트가 규정한 행동 ┃173
4.2.2.3. 바르트가 규정한 서사 ┃174
4.2.3. 그레마스와 이야기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 ┃175
4.3. 산물로서의 이야기 분석: 발화행위라는 문제의식 ┃183
4.3.1. 발화행위라는 문제의식 ┃183
4.3.2. 제라르 주네트: 이야기, 서사, 초점설정 ┃184
4.3.3. 등장인물의 시점, 화자의 시점 ┃187
4.3.4. 내러티브 ‘목소리’에 대한 질문 ┃193
5장 영상과 소리 분석 ┃201
5.1. 영화와 회화 ┃205
5.1.1. 회화적 분석의 몇몇 예 ┃206
5.1.1.1. 디드로의 살롱전(展) ┃206
5.1.1.2. 루돌프 아른하임이 규정한 시지각 ┃207
5.1.1.3. 루돌프 아른하임이 분석한 〈앙티브에서의 밤낚시〉(피카소, 1939) ┃208
5.1.2. 에릭 로메르가 분석한 무르나우의 〈파우스트〉 ┃211
5.2. 영화 영상의 분석 ┃213
5.2.1. 프레임과 시점: 〈카메라를 든 사나이〉 ┃213
5.2.2. 영상과 몽타주 분석, 내화면·외화면의 관계 ┃220
5.2.2.1. 에이젠슈테인의 〈10월〉의 몽타주 ┃220
5.2.2.2. 장뤽 고다르의 〈중국 여인〉에서 몽타주와 외화면 ┃223
5.2.3. 내러티브 공간: 장 르누아르의 〈게임의 법칙〉 ┃227
5.2.4. 영상의 조형성과 수사성: 〈노스페라투〉에서 마스킹과 아이리스 ┃233
5.2.5. 영상과 형상: 무르나우의 〈일출〉 ┃240
5.3. 사운드트랙 분석 ┃244
5.3.1. 음악의 예 ┃244
5.3.2. 영화 사운드 분석: 사운드트랙 개념과 그 한계 ┃246
5.3.3. 영화음악 분석 ┃249
5.3.4. 소음, 주변음, 음성의 분석 ┃253
5.3.5. 대사와 목소리 분석 ┃258
5.3.5.1. 영화의 대화 분석 ┃258
5.3.5.2. 영화작품에서 목소리 분석 ┃262
6장 정신분석과 영화작품 분석 ┃267
6.1. 왜 정신분석인가? ┃269
6.2. 정신분석과 영화작품 분석이 맺은 관계의 모호성 ┃272
6.3. 정신분석과 텍스트성 ┃276
6.3.1. 오이디푸스, 거세, ‘상징적 봉쇄’ ┃277
6.3.2. 이차적 동일시 ┃282
6.3.3. 정신분석과 서사학: 화자, 인물, 관객 ┃284
6.3.4. 텍스트 속의 관객: ‘봉합’ ┃287
6.3.5. 미국에서의 페미니즘 분석 ┃290
7장 영화작품 분석과 영화사, 분석의 검증 ┃297
7.1. 내재적 구조의 분석 또는 역사적 현상의 분석 ┃299
7.1.1. 영화작품 분석과 상호텍스트성 ┃300
7.1.1.1. 〈네 멋대로 해라〉, 진정성과 참조 ┃301
7.1.1.2. 〈경멸〉, 고전영화의 장례 기념물 ┃304
7.1.2. 방대한 자료군의 분석 ┃307
7.1.2.1. 근원을 찾아서 (최초 시기의 영화) ┃308
7.1.2.2. 할리우드 영화 (보드웰, 스테이거, 톰슨) ┃309
7.1.2.3. ‘1930년대의 특성’ ┃311
7.1.2.4. 1,895편의 영화는 1920년대의 ‘서부영화’를 만들었는가? ┃313
7.1.2.5. 방대한 자료군의 분석, 이야기, 그리고 약호연구 ┃314
7.2. 어떤 분석의 보증과 유효성 ┃316
7.2.1. ‘내적’ 기준 ┃316
7.2.2. ‘외적’ 기준 ┃318
7.2.3. 영화작품 분석과 사회사: 〈무방비도시〉 또는 이탈리아 레지스탕스의 증인 로셀리니 ┃324
8장 분석의 목표: 결론을 대신하여 ┃331
8.1. 분석, 이론의 분신 ┃333
8.1.1. 이론의 검증으로서의 분석 ┃334
8.1.2. 이론적 발명으로서의 분석 ┃335
8.1.3. 증명으로서의 분석 ┃336
8.2. 양식 분석과 시학 분석 ┃337
8.3. 이데올로기적 폭로로서의 분석 ┃341
8.4. 분석의 즐거움 ┃344
8.5. 학습으로서의 분석 ┃349
8.5.1. 구어로 하는 분석 ┃349
8.5.2. 집단으로 하는 분석 ┃352
8.6. 영화작품 분석, 시청각 분석 ┃353
참고문헌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