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양주동 수필선집

양주동 수필선집

  • 양주동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7-08-10 출간
  • |
  • 202페이지
  • |
  • 130 X 190 X 15 mm /225g
  • |
  • ISBN 9791128838682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수필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수필을 대표하는 주요 수필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무애 양주동은 생전에 세 권의 수필집을 남겼다. 첫 수필집은 1960년 발간한 ≪문주반생기(文酒半生記)≫이고, 두 번째 수필집은 1964년 발간한 ≪인생잡기(人生雜記)≫, 세 번째 수필집은 1981년에 발간한 ≪지성의 광장≫이다. 이들 수필집에는 인생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드러내는 에세이에서부터 일상생활의 사소한 이야기를 제시하는 미셀러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여 준다. 그의 수필이 지닌 소재는 매우 다양한 편인데, 그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술, 문학, 학문, 가족, 여성 등이다. 또한 그의 수필은 유머와 위트가 빈번하게 등장하면서 읽는 즐거움을 배가해 준다.
양주동에게 술은 인생의 낭만과 문학의 열정을 매개하는 소종한 존재다. 첫 번째 수필집의 제목을 ‘문주반생기(文酒半生記)’라고 붙인 것만 보아도 그가 얼마나 애주가였는지 짐작케 한다. 수필집의 제목처럼 그의 인생에서 문학과 술은 평생의 동반자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수필에는 또한 한시나 향가, 고려 가요 등 고전 시가에 대한 애정이 진솔하게 드러난다. 그는 어린 시절에 이미 중독이라고 할 만큼 한문 문장을 좋아해서 높은 수준의 경지에 오른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고전 문학 연구자로서의 감회 등에 대한 에세이들도 우리 수필의 깊이와 넓이를 보여 주었다. 양주동의 수필에서 가족은 삶의 활기와 안정을 담보해 주는 소중한 존재다. 그의 수필 가운데는 아버지, 어머니, 자식들과의 가정생활에 얽힌 이야기가 많은 편이다. 또한 여성 혹은 여성관과 관련된 내용도 자주 드러난다. 그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근대적인 여성관을 지니고 있었는데, 그런 생각을 갖게 된 것은 서구적인 학문을 공부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또한 일생의 반려자인 아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당사자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조혼 제도에 대해 큰 반감을 가졌다.
이렇듯 양주동의 수필은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형식이나 표현의 측면에서도 다양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우선 그의 수필에는 지적인 요소와 낭만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를테면 어떤 작품은 역사와 지식에 대한 깊은 사유를 보여 주고, 어떤 수필은 유머, 위트와 같은 요소들로 글의 윤기를 더해 주고 있다. 그의 수필은 또한 낭만적이어서 인간적 감정과 예민한 감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주기도 한다. 앞의 소재 가운데 술, 문학, 가족과 관련된 것은 낭만적인 성격을, 학문이나 여성관에 관련된 것은 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양주동의 수필은 또한 고전 고금의 유명한 시나 경구들을 자주 인용하는 특성을 보여 준다. 그는 자신이 시 창작을 했던 시인이고 문학 평론가로도 활동을 했으니 수필 작품 속에 시가 인용되는 것을 자연스러운 일이다. 다만 그의 수필처럼 시를 빈도 높게 활용한 사례는 우리 현대 수필의 역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선구적인 면이다. 산문 장르인 수필에 시적 운기(韻氣)를 불어넣어 줌으로써 감칠맛을 더하게 한다.

목차

‘新文學’에의 轉身
文·酒의 벗들
思親記
나의 文學 소년 時代
나의 雅號
靑春·돈·座右銘
어머니 回想
春宵抄
새 女性美
女性語
‘四柱’라는 것
‘先行詞’說
‘마아’란 말
‘말띠’의 迷信
原稿料
‘國寶’辨
쇄腹記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무애(无涯) 양주동(梁柱東)은 1903년 6월 24일 개성에서 태어났다. 1908년(5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1912년(9세)에 보통학교 3학년에 입학했다. 이때 신소설과 ≪삼국지연의≫를 탐독했고 작문과 산술, 영어에 재능을 발휘했다고 한다. 1914년(11세)에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1년 후 중퇴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한학과 한시 공부를 했다. 1920년(17세)에 상경해 중동학교 고등속성과에 입학했는데, 1년 만에 중학 과정을 졸업하는 능력을 보여 주었다.
1921년(18세)에 일본의 와세다대학 예과 불문학과에 입학한 이후 1925년 본과 영문학과에 진입해 1928년에 졸업했다. 와세다대학을 졸업하던 해에 평양 숭실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해 그 학교가 폐교하기까지 10년간 근무했다.
1921년에 그는 첫 시 작품인 <꿈 노래>를 발표하면서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1923년(21세)부터 문학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그해에 유엽, 백기만, 이장희 등과 시 전문지 ≪금성≫을 발간하고, 1929년에는 문예 전문지 ≪문예공론≫을 발간했다. 그는 자신이 관여하는 문예지들을 중심으로 창작 시, 번역 시, 문학 평론을 발표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금성≫ 1∼3호에 <기몽(記夢)>, <꿈 노래>, <옛사랑> 등의 창작 시와 보들레르, 타고르, 베를렌 등의 시를 번역해 발표했다.
1929년(27세)에 문예지 ≪문예공론≫을 발간하면서 <조선의 맥박>을 비롯한 시 작품을 발표하고 평론 활동도 활발하게 전개했다. <문예상의 내용과 형식의 문제>, <문제의 소재와 이동점> 등을 통해 민족 문학과 계급 문학의 절충을 주장했다. 절충주의 문학론을 통해 국민 문학과 계급 문학의 갈등을 극복하고 민족과 계급, 문학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민족 문학의 논리를 심화·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당시 순수 문학과 목적 문학, 혹은 형식주의와 내용주의가 대립하던 시절에 절충주의 문학론을 제창해 문학의 편협성을 극복하고자 했다.
1930년(17세)에 첫 시집 ≪조선의 맥박≫을 간행했다. 이 시집은 제1부 ‘영원한 비밀’에 <산 넘고 물 너머> 등 23편, 제2부 ‘조선의 맥박’에 <나는 이 나라 사람의 자손이외다> 등 14편, 제3부 ‘바벨탑’에 <기몽(記夢)> 등 16편을 싣고 있다. 전체적으로 시적 완성도가 높지는 않으나, 1부의 시 형태의 새로운 시도와 2부의 민족의식의 형상화 부분은 눈여겨볼 만하다.
한편, 1934년(31세)부터는 고시가 연구를 시작했는데, 1937년 <향가의 해독?특히 <원왕생가>에 취하야>를 발표하면서 고전 문학 연구 분야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1942년 ≪조선 고가 연구≫, 1947년 ≪여요 전주≫를 발간하면서 향가와 고려 가요 연구 분야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광복 이후 1947년(44세)에 동국대학교 교수로 부임했고, ≪여요 전주≫, ≪세계 기문선≫ 등의 저서를 간행했다. 1954년(51세) 학술원 회원 및 추천 회원으로 피선되었으며, 1956년에는 학술원상을 수상하고 ≪T. S. 엘리엇 시 전집≫을 번역, 출간했다. 1957년 연세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를 받았고, 이듬해 연세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가, 1962년 동국대학교 교수로 다시 부임해 대학원장을 지냈다.
1962년(59세)에 문화 훈장 대통령장, 1970년에 대한민국 국민 훈장 무궁화장을 수령했다. 1973년(71세) 동국대학교에서 정년퇴임했으며 1977년(75세)에 타계했다. 그가 남긴 주요 저서로는 ≪조선 고가 연구≫(1942), ≪여요 전주≫(1947), ≪국학 연구 논고≫(1962) 등의 연구서와 시집 ≪조선의 맥박≫(1930), 수필집 ≪문주반생기≫(1959), ≪인생잡기≫(1962), ≪지성의 광장≫(1969), 번역 시집 ≪영시 백선≫(1946), ≪현대 영시선≫(1946), ≪T. S. 엘리어트 시 전집≫(1955) 등이 있다.

도서소개

수필가로서 무애 양주동은 진정한 박사(博士)로서의 폭넓은 지식과 시인으로서의 풍부한 감수성, 그리고 학자로서의 냉철한 사유 등을 두루 보여 준다. 그는 한문학에 관한 이야기에서부터 한국 문학, 영미 문학, 유럽 문학, 일본 문학, 중국 문학 등과 관련된 이야기 등, 폭넓고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재미있게 들려줌으로써, 한국 현대 수필을 깊이 있고도 재미있거나, 재미있고도 깊이가 있는 장르로 만든 선구자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